DOI QR코드

DOI QR Code

A Numerical Study on Performance-Based Design for Pier and Superstructure in Pile Supported Modular Pedestrian Pier

말뚝지지형 조립식 보도 잔교의 상부 및 교각 성능기반설계에 대한 해석연구

  • 유상량 (상명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 박종섭 (상명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 윤기용 (선문대학교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11.06.06
  • Accepted : 2011.10.11
  • Published : 2011.10.31

Abstract

There are making many pedestrian piers in the West Coast due to the increase of tourism population. The Coastal and Harbor Design Specifications(2005) are used to design domestic pedestrian piers, but the Specifications produce very conservative design for the pedestrian piers because of the heavy design loads. This paper presents the comparisons and evaluations of several domestic and foreign design criteria to determine the design load of the pedestrian piers. Numerical analyses using finite-element program MIDAS were performed to suggest some of performance-based design sections in pile supported modular pedestrian piers(PSMP). Five of analyses parameters and Four of loading conditions were applied to 324 analyses models. Deflections, stresses, and natural frequencies from the analyses results were investigated to evaluate the design sections.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e performance-based design sections of the PSMP based on the specifications and the design parameters considered in this paper.

서해 연안역 관광인구 증가로 인해 관광용 보도잔교가 서해안에 널리 설치되고 있다. 국내 관광용 보도잔교의 설계기준은 별도로 존재하지 않으며,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2005)을 이용하며 검토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연안역 관광용 보도잔교의 설계하중을 결정하기 위해 국내 외 설계기준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조립식 보도잔교 설계의 성능기반 최적설계단면을 제안하기 위하여 범용구조해석프로그램 MIDAS을 이용하여 변수별 수치해석이 실시되었다. 5개의 해석매개변수를 활용하여 총 324개의 모델에 대해 해석을 실시하고, 각 매개변수별 조립식 잔교의 처짐과 응력에 미치는 영향 비교 및 진동에 대한 동적거동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조립식 보도잔교의 설계 간편성을 극대화하고 안정성을 고려한 설계변수별 최적단면을 제안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References

  1. 강효기, 박종섭, 김대규, 윤기용 (2009) 연안 및 다양한 안전시설 설계기준에 대한 고찰, 한국산학기술학회 추계 학술발표논문집, pp. 350-353.
  2. 국토해양부 (2005) 항만 및 어항설계기준.
  3. 국토해양부 (2005) 도로교 설계기준.
  4. 국토해양부 (2005) 건축구조설계기준.
  5. 국토해양부 (2009) 항만시설물의 안전시설 설계지침.
  6. 박상길, 김기현, 김우생, 박병열, 강덕훈 (2006) 잔교식 안벽의 상부와 Pile에 작용하는 파압분포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 학술발표대회논문집, pp. 552-556.
  7. 서울특별시 (2001) 시설물 설계 및 시공편람 - 소규모 강교 및 보도육교.
  8. 성증수, 이영휘, 송기능, 박정근 (2007) 보도교 진동사용성 기준 검토 및 TMD 적용성-화성동탄 보도교, 한국강구조학회지, 제19권, 제1호, pp. 79-88.
  9. 이병식, 윤재영, 임남형, 이관호, 박종섭 (2011) 친환경적 연안역개발 보고서(2차년도), 공주대학교.
  10. 일본도로협회 (2005) 도로교 시방서.
  11. 채영수, 문하중, 김대규 (2005) 계측에 의한 잔교기초말뚝의 변위 및 응력 연구, 대한토목학회 2005년 정기학술발표대회논문집, pp. 4285-4288.
  12. 한국전력공사 (2004) 가공송전용 철탑설계기준-1111.
  13. 환경부 (2002) 방음벽의 성능 및 설치기준.
  14.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ortation Officials (1994). Standard Specifications for Structural Supports for Highway Signs, Luminaires, and Traffic Signals. Washington, D.C., USA.
  15. Buslov, Valery M. and Scola, Philip T. (1991) Inspection and Structural Evaluation of Timber Pier: Case Study, ASCE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Vol. 117, No.9, pp. 2725-2741. https://doi.org/10.1061/(ASCE)0733-9445(1991)117:9(2725)
  16. Department of Defense(2005), Unified Facilities Criteria, Design for Piers and Wharves, USA.
  17. Zueck, R.F. and Blount, T.A. (2007) Open-Ocean Roll-on/Roll-off Cargo Pier on San Nicolas Island, Proceedings of the Eleventh Triennial International Conference, No. 238, pp. 78-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