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a Risk Visualization System for Natural Disasters based on GIS

GIS 기반 풍수해 위험도 표출 시스템 개발

  • 황현숙 (부경대학교 정보시스템 협동과정 대학원) ;
  • 김창수 (부경대학교 IT융합응용공학과)
  • Received : 2011.07.25
  • Accepted : 2011.09.28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As natural disasters have recently occurred on a large scale, the damage caused by them have increased. In particular, there are houses and shopping malls close to beaches or mountains in Busan Metropolitan City where some areas are vulnerable on disasters. It is difficult to analyze detail causes of the damage using its documentations or existing information systems which are mostly developed based on the transaction. We design and develop a GIS-based visualization system to display relative risks of the damage occurred by natural disasters such as flooding, wave-storms, landslides, and windstorms. First, we construct a spatial database based on the risks by considering the association among data each natural disaster. Next, we develop an visualization system based on the risks from the analysis results each disaster. In case of flooding, the system shows the risks as to a river which is divided into some districts. In case of wave-storms, the system expresses damage areas as to the occurred typhoons. The system displays the risks according to the divided water press or rainfall in case of dangerous rock slides and soil slides. The system expresses damage areas according to the categorized damage level and the wave frequency in windstorms. This system can support mangers to realize dangerous areas in case a similar disaster occurs, so they can execute a speed response. In addition, the system can be utilized in constructing hazard maps based on the damage history records.

자연재해가 큰 규모로 점점 증가됨으로써 그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부산은 주거 및 상가들이 해안가 또는 산지에 많이 밀집해 있기 때문에 자연재해에 취약한 지역이다. 재해로 인한 피해 이력 데이터는 대부분 문서 산출물과 집계 위주의 정보 시스템이므로 이를 활용하여 지역별 상세한 피해 원인을 분석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홍수해, 해일, 산사태, 풍해 등 4가지 풍수해에 대해 조사 및 연구한 재해위험도 분석 결과를 지도 기반에서 검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 및 개발한다. 우선, 분석된 결과 데이터를 이용해 각 풍수해별로 연관성을 고려하여 위험도를 기준으로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다음으로 각 풍수해별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표출 시스템을 개발한다. 홍수해(침수)의 경우, 행정구역 및 하천에 따라 위험도를 수준별로 표시하고 해일의 경우, 발생한 태풍에 따라 분석된 피해 위험 영역을 지도에 표시한다. 산사태에서는 위험한 암반사면, 토사면의 산지를 선정하여 수압 및 강우량 기반으로 위험의 정도를 표출한다. 풍해의 경우, 피해등급 및 강풍 빈도에 따라 피해영역을 표출한다. 개발한 GIS 기반 위험도 표출시스템은 유사한 재난이 발생될 경우 관리자가 피해 가능성이 높은 위험한 지역을 인식하게 도와줄 수 있어, 관리자는 빠른 대응에 임할 수 있다. 또한 위험 영역이 피해 이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성되었기 때문에 재해위험지도를 작성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석규, 송인호, 고광용 (2007) 지형정보를 활용한 영산강 유역의 재해위험지도 작성, 한국지적정보학회 논문집, 한국지적정보학회, 제9권 제2호, pp. 121-131.
  2. 김태훈, 김계현, 심재현, 최우정 (2008) 웹 GIS를 이용한 실시간 자연재해 피해정보 관리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집, 한국 공간정보시스템학회, 제10권, 제4호, pp. 103-107.
  3. 부산광역시 재난방재과 (2009) 부산시 풍수해 저감특성조사 및 피해영향분석 연구용역 중간보고서, pp. 1-355.
  4. 부산광역시 재난방재과 (2010) IT 기반 풍수해 예측 및 대응시스템 구축 보고서.
  5. 소방방재청 고시 제2006-6호 (2006) 재해지도 작성기준 등에 관한 지침, pp. 1-78.
  6. Abbas, S.H, Srivastava, R.K., and Tiwari, R.P. (2009) GIS-based Disaster Management : A Case Study for Allahobad Sadar subdistrict(India), Management of Environmental Quality : An International Journal, Emerald, Vol. 20, No. 5, pp. 33-51. https://doi.org/10.1108/14777830910922433
  7. Coppola D.P. (2011)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Disaster Management, Elsevier, pp. 1-576.
  8. Government of Japan (2005), Disaster Management in Japan, pp. 1-45.
  9. Hristidis, et al. (2010) Survey of Data Management and Analysis in Disaster Situations, Journal of Systems and Software, Vol. 83, pp. 1701-1714. https://doi.org/10.1016/j.jss.2010.04.065
  10. Jeon, T.G., Hwang, H.S. and Kim, C.S. (2010) A UIS-based System Development to Express the Damage History Information of Natural Disasters,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ol. 13. No. 12, pp. 1739-1747.
  11. Kikuchi, R (2003) Flood Hazard Map Manual for Technology Transfer, International Training Program on Total Disaster Risk Management, pp.
  12. Lan, H.X., Martin, C.D., Froese, C.R., Kim, T.H., Morgan, A.J., Chao, D. and Chowdhury, S. (2009) A Web-based GIS for Managing and Assessing Landslide Data for the Town of Peace River Canada, National Hazards Earth System Sciences, Copernicus Publications, Vol. 9, pp. 1433-1443. https://doi.org/10.5194/nhess-9-1433-2009
  13. Tomaszewski, B. (2011) Situation Awareness and Virtual Globes : Applications for Disaster Management, Computers & Geosciences, Elsevier, Vol. 37, pp. 86-92. https://doi.org/10.1016/j.cageo.2010.03.009
  14. West, R. (2001) Understanding ArcSDE ArcGIS Edition, ESRI Press, pp. 1-60.
  15. Zeiler, M. (2001)Exploring Arcobjects Arcgis Edition, ESRI Press, pp. 1-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