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een Port Strategies for Reducing Air Pollution in Port of Incheon

대기오염 저감을 통한 인천항의 Green Port 전략

  • Received : 2011.01.11
  • Accepted : 2011.03.25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In the energy-climate era, pollution emissions from port activities have a significant issue in international shipping and port community. Thus international organization such as IMO and developed countries are seeking to develop various reduction strategies against air pollution. However Korea has recently conducted several studies concerning air pollution in port industry. The main purpose of the paper is to suggest emission reduction strategies for bulk terminal in Port of Incheon, which handles large amount bulk cargoes as a gateway for the metropolitan area. For this aim, the clean air strategies of the world major ports were considered and air pollution reduction strategies were suggested. The main finding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emission reduction strategies for container terminal are should be integrated based on technologies changes, operational changes and market-based measures. Second, the emission reduction strategies for bulk terminal can be effective when use innovative measures during loading, unloading and storage process such as telescopic cascade trimming chute, snake sandwich equipment, dry fog system and dome structure. Finally, investigation on actual conditions of air pollution in Korean ports and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evaluation scheme for persisting monitoring should be conducted.

21세기 에너지기후시대를 맞이하여 세계 각국은 미래 국가성장동력으로 녹색산업을 중점 육성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역시 현정부 들어 녹색성장을 국정과제로 추진하고 있다. 이 같은 녹색혁명의 바람은 해운항만산업도 예외가 아니어서 IMO를 비롯한 국제기구와 미국, EU를 중심으로 한 세계 주요국들은 항만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을 줄이기 위한 다방면의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경우 선박이나 항만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 및 이의 저감방안에 대한 논의는 비교적 최근 들어 이루어지고 있어 선진국 항만들과는 그 격차가 큰 실정이다. 또한 최근 급격한 성장을 보이고 있는 중국 항만을 비롯한 주변 항만들과의 치열한 경쟁에서 국내 항만들이 지속가능한 우위를 확보해 나가기 위해서도 차별화된 Green Port 전략의 필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항만활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대기오염원과 인천항의 환경오염 실태 및 현황을 살펴보고, 세계 주요항만에서 시행되고 있거나 향후 도입될 예정으로 있는 청정대기 전략을 검토함으로써 인천항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수도권 관문항으로서 연간 막대한 양의 벌크화물을 취급하고 있는 인천항의 대기오염 저감방안을 컨테이너터미널과 벌크터미널로 구분하여 제시함으로써 기존연구와 차별성을 도모하였다. 항만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는 컨테이너 터미널의 경우 기술적 측면에서 청정연료사용, 배출통제장치 설치, 노후장비 교체 및 개조, 운영적 측면에서는 선박속도저감 프로그램 도입, 육상전원공급장치의 도입, RFID를 활용한 게이트 자동화, 그리고 시장기반프로그램으로 차별화된 항만이용료 프로그램의 도입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한편 벌크부두(일반부두)의 경우 선적과 하역 시 다단식 선적슈트, 고각도 컨베이어벨트, 건무시스템 등을 사용하여 비산분진과 화물유출 발생을 방지하는 한편, 화물보관 시 기존 사이로 방식 대신 돔구조물이나 폴리에스터 보관시설을 사용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동아일보, 인천 대기오염 5년째 7대 도시 중 최악 , 2009.10.13.
  2. 박노경, "국내항만의 환경관리 자가진단방법에 관한 소고", 해운물류연구 , 제42호, 2004, 43-67.
  3. 박명섭.홍난주.한능호, "선박기인 대기오염 규제를 위한 국제규범에 관한 연구", 해사법연구 , 제21권 제2호, 2009, 27-30.
  4. 부산대학교 물류혁신네트워킹연구소, 해운.항만산업의 미래 신조류 , 효민, 2009.
  5. 부산항만공사, 부산항 Green Port 건설과 탄소배출권 확보 사례 , 2009.
  6. 송계의․한철환, "항만의 환경오염 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제23집 제1호, 2007, 95-113.
  7. 인천광역시, 대기질 개선 종합계획 2002-2004 , 2005.
  8. 임종섭, "항만환경규제에 따른 Green Port 구축방안",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제26집 제2호, 2010, 99-118.
  9. 정봉민 외, "컨테이너 항만개발과 환경문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2004.
  10. 정봉현, "녹색성장과 친환경적 항만관리정책의 방향:광양항을 중심으로", 해양물류연구 , 제3권, KMI, 2009, 88-112.
  11. 조경두․김정숙, "인천항 대기환경 현황분석 및 관리방안", 인천발전연구원 , 2009.
  12. 조경두, "항만대기오염관리를 위한 기초연구", 인천발전연구원 , 2010.
  13. 조동오, "LA/LB항과 부산항의 저탄소 항만운영에 관한 비교연구: 비용부담을 중심으로", 해양환경안적학회지 , 제16권 제2호, 2010, 223-228.
  14. 최동현 외, "항만환경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2001.
  15. 최동현 외, "주요 항만 오염실태 및 관리방안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2000.
  16. 토머스 프리드먼, 코드 그린 , 21세기북스, 2008.
  17.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항만의 대기오염 규제와 정책시사점", KMI 현안분석 , 2005.
  18. 한철환, "World Major Ports' Clean Air Strategies and Its Implications", 제6회 광양항 국제포럼 및 제3회 AJSL 국제학술대회 , 2010, 183-210.
  19. AAPA, Green Ports: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Technology at U. S. Ports, 2001.
  20. Bailey, D., Solomon, G., "Pollution Prevention at Ports: clearing the ai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view, Vol.24, 2004, 749-774. https://doi.org/10.1016/j.eiar.2004.06.005
  21. Bill Sylte, B., McGuire, T., Calkins, D., Environmental impacts of international shipping : Case Study of the ports of Los Angeles and Long Beach, OECD, 2010.
  22. Darbra, R., Ronza, A., Casal, J., Stojanovic, T., Wooldridge, D., "The Self Diagnosis Method: A New Methodology to Assess Environmental Management in Seaports", Marine Pollution Bulletin, Vol.48, 2004, 420-428. https://doi.org/10.1016/j.marpolbul.2003.10.023
  23. DCMR Rijnmond Environmental Agency, and ROM Rijmond, Rijnmond Regional Air Quality Action Program, 2006. 1-25.
  24. Eelco den Boer and Gijs Verbraak, Environmental impacts of international shipping : A Case Study of the ports of Rotterdam, OECD, 2010.
  25. Gallagher & Talyor, International Trade and Air Pollution; The Economic Costs of Air Emission from Waterborne Commerce Vessels in U.S, Global Development and Environment Institute Working Paper No.01-08, Tufts University, 2003, 1-12.
  26. Greenport Journal, Gothenburg goes even greener, November 2009.
  27. ICCT, Air Pollution and Greenhouse Gas Emission from Ocean-going Ships, 2007.
  28. Lin, B., Lin, C., "Compliance with International Emission Regulations: Reducing the air pollution from Merchant Vessels", Marine Policy, Vol.30, Issue.3, 2006, 220-225. https://doi.org/10.1016/j.marpol.2005.01.005
  29. Natural Resources Defense Council, Harboring Pollution; The Dirty Truth about U.S Ports, 2004. 3, 1-72.
  30. Natural Resources Defense Council , Harboring Pollution; Strategies to Clean Up U.S Ports, 2004. 8, 1-85.
  31. Port of LA/LB, San Pedro Bay Ports Clean Air Action Plan. 2006.
  32. Tzannatos, E. "Cost Assessment of Ship Emission Reduction Methods at Berth: the case of the Port of Piraeus", Maritime Policy and Management, Vol.37 No.4, 2010, 427-445. https://doi.org/10.1080/03088839.2010.486655
  33. Port of Rotterdam, Working Together ; toward a sustainable port,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