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the Exchange Rate and Industrial Activity on Export to and Import from the Southeast Asia Via Korean Port

환율과 경기가 우리나라의 대 동남아시아 항만 수출입에 미치는 영향

  • 김창범 (조선대학교 동아시아경제연구소)
  • Received : 2011.10.31
  • Accepted : 2011.12.29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determinants of trade on Southeast Asia via Korean ports using monthly data. I employ Johansen cointegration methodology since the model must be stationary to avoid the spurious results. Johansen(1988) and Johansen and Juselius(1990) propose two statistics for testing the number of cointegrating vectors: the trace and maximum eigenvalue statistics. The null hypothesis that there is no cointegrating vector should be rejected at the 5% level.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is a long-run relationship between trade and variables. This also suggests that these variables have a meaningful equilibrium relationship between trade and variables would not move too far away from each other, displaying a comovement phenomenon for the export and import. Apparently, the error correction term reflects market information in a state of disequilibrium that is bound to be corrected when moving toward the long-run level.

본고에서는 환율과 경기가 우리나라의 대 동남아시아 항만 수출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시작하기 이전에 먼저 단위근 검정과 공적분 검정을 이용하여 변수와 모형이 안정적인가를 살펴보았다. 단위근 검정 결과 1차 차분한 시계열자료는 귀무가설의 기각에 성공함에 따라 Johansen 검정을 실시하여 적어도 하나의 공적분 벡터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공적분 벡터와 VECM을 추정하였다. 추정결과 대체적으로 가격변수와 소득변수의 부호는 이론과 일치하였다. 수출의 경우 수출의 환율탄력성의 경우 그 크기의 순서는 인도네시아가, 수출의 소득탄력성의 경우는 베트남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오차수정항 크기의 순서는 베트남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입의 경우 수입과 소득의 환율탄력성의 경우 그 크기의 순서는 베트남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오차수정항 크기의 순서는 말레이시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대부분의 국가들에서 수출의 환율과 경기탄력성보다 수입의 환율과 경기탄력성이 크게 나타남으로써 수출시장 확대에는 큰 한계가 존재함을 보여주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모수원, "수출입함수의 추정과 환위험", 국제통상연구, 제6권 제2호, 2001, 39-55.
  2. 정상국, "케이프사이즈와 파나막스시장 간의 비대칭 시간가변 파급효과에 관한 분석",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7집 제3호, 2011, 41-64.
  3. 최봉호, "국내 주요항만별 항만물동량과 산업성장의 인과관계",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3집 제4호, 2007, 159-175.
  4. Dickey, D.A., and Fuller, W.A., "Distribution of the Estimators for Autoregressive Time Series with a Unit Root,"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Vol.74, 1979, 427-431.
  5. Engle, R.F., and Granger, C.W.J., "Cointegration and Error Correction: Representation, Estimation and Testing," Econometrica, Vol.55, 1987, 251-276. https://doi.org/10.2307/1913236
  6. Johansen, S., "Statistical Analysis of Cointegrating Vectors," Journal of Economic Dynamics and Control , Vol.12, 1988, 231-254. https://doi.org/10.1016/0165-1889(88)90041-3
  7. Johansen, S., and Juselius, K.,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and Inference on Cointegration―With Application to the Demand for Money," Oxford Bulletin of Economics and Statistics, Vol.52, 1990, 169-210.
  8. Osterwald-Lenum, M., "A Note with Quantiles of the Asymptotic Distribution of the Maximum Likelihood Cointegration Rank Test Statistics," Oxford Bulletin of Economics and Statistics, Vol.54, 1992, 461-471. https://doi.org/10.1111/j.1468-0084.1992.tb00013.x
  9. 한국은행(http://www.bok.or.kr)
  10. 한국무역협회(http://www.kita.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