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ew of Papers on Adverse Events in the Course of Oriental Medical Treatments in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JKAMS) and the Journal of Clinical Thesis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JCTKAM)

$\ll$ 한침구학회지$\gg$, $\ll$대한침구학회임상논문집$\gg$ 게재 논문 중 한방치료의 이상반응 보고사례에 대한 고찰

  • Kim, Dong-Hyuk (Dep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Seo, Chang-Wan (Dep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Back, Yong-Hyeon (Dep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Lee, Jae-Dong (Dep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Choi, Do-Young (Dep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김동혁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 서창완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 백용현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 이재동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 최도영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Received : 2011.01.07
  • Accepted : 2011.01.29
  • Published : 2011.02.20

Abstract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papers on adverse events in the course of Oriental Medical treatments in the JKAMS and the JCTKAM. Methods : We searched papers up to December 2010 in the JKAMS and The JCTKAM. Electronic and manual literature searches were performed. Results : 92 papers were retrived in total. Out of these, 62 reported the occurrence of adverse events whereas 30 reported none. Adverse events in treatments were generally transient and mild. However, this result had limitations due to the insufficient number of papers reporting adverse events and the inconsistency in the methodology according to each paper. Conclusions : Reports on adverse events are necessary in clinical research. In future research, organized case reports and systemic reviews should be carried out. Furthermore, prospective studies should be done as well.

Keywords

References

  1. Cassidy CM. Chinese medicine users in the United states. Part I: utilization, satisfaction, medical plurality. J Altern Complement Med. 1998 ; 4(1) : 17-27. https://doi.org/10.1089/acm.1998.4.1-17
  2. Astin JA, Pelletier KR, Marie A, Haskell WL.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use among elderly persons: one-year analysis of a Blue Shield Medicare supplement.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2000 ; 55(1) : M4-9. https://doi.org/10.1093/gerona/55.1.M4
  3. Ernst E. Clinical effectiveness of acupuncture: an overview of systematic reviews. In: Ernst E, White A, editors. Acupuncture, a Scientific Appraisal. Oxford : Butterworth Heinemann. 1999 : 107-27.
  4. Ernst E. Risiken Komplemetarer Therapieverfahren. Fortschritte der Medizin. 1998 ; 1/2 : 28-30.
  5. Norheim AJ. Komplikasjoner ved akupunkturbehandling. Literaturstudie for arene 1981-1992. Tidsskr Nor Laegeforen. 1994 ; 114(10) : 1192-4.
  6. Chung A, Bui L, Mills E. Adverse effects of acupuncture. Which are clinically significant? Can Fam Physician. 2003 ; 49 : 985-9.
  7. 박지연, 김송이, 채윤병, 채한, 구성태, 김승태, 신상우, 장인수, 이상훈, 인창식, 이혜정, 박히준. 한국에서 발생한 침구요법의 이반응 보고사례에 대한 체계적 분석. 대한한의학회지. 2010 ; 31(2) : 78-90.
  8. Hugh M, Richard H, George L, Rosa S. Acupuncture Research. Churchill Livingstone. 2008 : 57-76.
  9. 안창범, 이윤호. 구안괘사의 침과 물리치료효과에 대한 임상적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1985 ; 2 : 71-80.
  10. 이상훈, 최도영, 이윤호. 자침과 관련된 외상성 기흉 1례. 대한침구학회지. 2001 ; 18(4) : 205-11.
  11. 강미숙, 변임정, 송호섭, 권순정, 김기현, 강미정, 이성노, 임정은, 황현서. 요부 경근의 급성 염좌에 경근자침 및 경근이완요법이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1 ; 18(6) : 1-13.
  12. 김성환, 홍상훈, 박동일. Interferon과 Ribavirin 병용요법 시행중인 만성 C형간염 환자에서 발생한 부작용에 대한 침구치료 증례. 대한침구학회지. 2003 ; 20(1) : 244-53.
  13. 장석근, 김영화, 강재희, 김정호, 임윤경, 이현, 이병렬. 두침을 시행한 요추간판탈출증 환자 30례에 대한 임상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3 ; 20(5) : 252-60.
  14. 김성철, 김성남, 임정아, 최창민, 심은기, 구성태, 하주영, 신경림, 손인철. 월경전기증후군(Premenrual Syndrome)에 대한 침치료의 효과. 대한침구학회지. 2005 ; 22(1) : 41-60.
  15. 박양춘, 조정효, 손창규, 홍권의, 정인철, 강위창, 최선미. 기능성 소화불량증에 대한 침치료의 효과 : 무작위배정 대조군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7 ; 24(1) : 1-12.
  16. 변혁, 김선웅, 안지현, 김용석, 서정철, 최선미, 박지은, 이승덕, Kawakita K, Takahashi N, Sumiya E. 퇴행성 슬관절염에 대한 맞춤형 침치료 효과 검증 무작위 대조군 임상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7 ; 24(4) : 183-95.
  17. 권승구, 이윤구, 박서영, 고경모, 이윤경, 김재수, 이봉효, 임성철, 정태영, 이경민. 안면미용침의 부작용 및 안전성에 대한 조사-시술자 23인을 중심으로. 대한침구학회지. 2008 ; 25(1) : 199- 209.
  18. 김기현, 최용태, 박동석. 양지혈(陽池穴) 부근에 발생한 담핵(痰核)의 침구치료에 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1989 ; 6(1) : 83-9.
  19. 최성권, 서원희, 임희정, 오수진, 김숙경, 문익렬, 박종태. 말기 위암환자 11례에 대한 증례보고. 대한침구학회지. 2002 ; 19(4) : 208-24.
  20. 김필환, 이채우, 김원일, 윤현민. 구요법이 중년여성의 긴장성 뇨실금에 미치는 효과. 대한침구학회지. 2004 ; 21(4) : 93-106.
  21. 위종성, 원승환, 황정수, 선승호, 안영민, 손승현, 박기철, 박희수. 요통 환자에 대한 침치료와 직접구(直接灸) 병행치료에 대한 비교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4 ; 21(6) : 221-31.
  22. 박상민, 이상훈, 강미경, 정지철, 박히준, 임사비나, 장대일, 이윤호. 특발성 파킨슨병 환자의 뜸치료 효과. 대한침구학회지. 2005 ; 22(1) : 91-7.
  23. 박현애, 이재민, 이창희, 이철휘, 조인영, 이성노, 신정미. 중완, 기해혈의 링뜸 시술시 나타나는 명현반응의 빈도 및 체질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9 ; 26(6) : 11-9.
  24. 장민기, 김은정, 정찬영, 윤은혜, 황지후, 김갑성, 최인화, 이승덕. 격물구와 상용 간접구의 온열자극 비교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10 ; 27(3) : 35-45.
  25. 김수연, 권보형, 송범용. 척수경색으로 진단된 사지마비환자 1례에 대한 임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0 ; 17(4) : 200-10.
  26. 손성철, 박상동, 송인광, 윤종화. 비수술적 치료후 재발한 척추 협착증의 치험 1례. 대한침구학회임상논문집. 2003 : 30-7.
  27. 박민정, 이경윤, 박쾌환, 정애경, 신대희.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에서 슬관절방 1호의 유효성. 대한침구학회지. 2004 ; 21(3) : 249-64.
  28. 서동민, 이상훈, 이재동. 비만 환자에 대한 조위 승청탕의 효과 및 부작용에 관한 임상적 관찰. 대한침구학회지. 2005 ; 22(3) : 145-53.
  29. 류미선, 위준, 방성필, 이지은, 김재홍, 윤여충. KLSFRS- R과 ALSSS로 평가한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2례 증례보고. 대한침구학회지. 2009 ; 26(1) : 173-85.
  30. 김정은, 윤현민, 안창범, 장경전, 김철홍, 장선희, 박재홍, 구지영, 이창환, 최한나. 요천추신경총병증으로 진단된 환자 1례에 대한 증례보고. 대한침구학회지. 2009 ; 26(5) : 161-9.
  31. 윤은혜, 장민기, 황지후, 이승훈, 정원제, 이재동, 이승덕, 김경호, 김갑성, 김은정. 요통환자 대상 오적산 엑스산 투여 임상시험 이상반응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10 ; 27(4) : 195-202.
  32. 권기록, 고형균. 봉약침요법의 면역반응에 관한 임상적 연구. 2000 ; 17(1) : 169-74.
  33. 황유진, 이병철. 봉독약침 후 발생한 anaphylaxis에 관한 임상적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0 ; 17 (4) : 149-59.
  34. 이진선, 안창선, 권기록. 안면견갑상완형( Fascioscapulohumeral : FSH) 근이영양증 1례에 대한 증례보고. 대한침구학회지. 2001 ; 18(3) : 227-38.
  35. 안광현, 김기현, 황현서, 송호섭, 권순정, 이성노, 변임정, 강미숙. 족근통에 봉약침료법이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2 ; 19(5) : 149-60.
  36. 강영화, 김효은, 조명제, 김태우, 윤기붕, 김은영. 연부조직 손상으로 인한 경항통 환자의 봉약침 치료에 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2 ; 19(6) : 67-79.
  37. 김민수, 이은용. 삼차신경통을 동반한 안면신경 마비 환자 1례에 대한 증례 보고. 대한침구학회임상논문집. 2003 : 46-52.
  38. 신민섭, 설현, 육태한. D.I.T.I.를 통한 Bee Venom 과 BV Partner의 비교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3 ; 20(2) : 68-76.
  39. 이상훈, 홍승재, 김수영, 양형인, 이재동, 최도영, 이두익, 이윤호. 무작위 대조 이중맹검 시험을 통한 봉독 약침의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 효과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3 ; 20(6) : 80-8.
  40. 김민수, 김현중, 박영재, 김이화, 이은용. 봉독 약침이 구안와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4 ; 21(4) : 251-62.
  41. 김현중, 김민수, 박영재, 이은용. 자기요법이 봉약침 국소 알레르기반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4 ; 21(6) : 187-93.
  42. 허윤경, 이현, 문익렬, 박기범, 박형선, 서원희, 김연진, 김정근.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로 진단받은 고관절 통증 1례에 대한 증례보고. 대한침구학회지. 2004 ; 21(6) : 299-309.
  43. 김경태, 송호섭. 좌섬요통(挫閃腰痛)에 있어 봉약침(蜂藥鍼)의 효과에 대한 연구(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Double Blinding). 대한침구학회지. 2005 ; 22(4) : 113-20.
  44. 윤현민. 봉약침요법으로 발생한 Anaphylaxis에 대한 임상보고. 대한침구학회지. 2005 ; 22(4) : 179- 88.
  45. 김경태, 송호섭. 무작위 대조 이중맹검 시험을 통한 봉약침(蜂藥鍼)의 경항통(頸項痛)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5 ; 22(4) : 189-95.
  46. 이성환, 강민완, 이현, 이소열. 요각통(腰脚痛)에 대한 단침치료군(單鍼治療群), 봉약침(蜂藥鍼) 병행치료군(竝行治療群), 중성어혈약침(中性瘀血藥鍼) 병행치료군(竝行治療群)의 비교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7 ; 24(5) : 197-205.
  47. 김행범, 이로민, 이민호, 최양식, 김종인, 이윤호, 이재동.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에서 근육 내 봉독 약침과 피내 봉독약침의 효능 비교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8 ; 25(2) : 151-64.
  48. 강인, 문자영, 임명장, 조재희, 이효은. 급성기 족관절 염좌 환자에 대한 치료방법에 따른 효과 비교 연구-체침, 봉약침, 황련해독탕 약침액을 통해-. 대한침구학회지. 2008 ; 25(5) : 89-95.
  49. 곽자영, 조승연, 신애숙, 이인환, 김나희, 김혜미, 나병조, 박성욱, 정우상, 문상관, 박정미, 고창남, 조기호, 김영석, 배형섭. 중풍 후 중추성 통증환자에 대한 봉독약침의 임상효과-단일맹검 무작위배정 환자 대조군 비교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9 ; 26(6) : 205-14.
  50. 노주환, 박정아, 조성우, 윤현민, 장경전, 송춘호, 안창범, 김철홍. 중풍 환자의 상지 경직에 대한 봉약침의 효과. 대한침구학회지. 2010 ; 27(4) : 115-25.
  51. 육태한, 송범룡, 신민섭, 김병하, 박종주, 윤정훈. D. I. T. I.로 관찰한 경락약침액이 국소체온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0 ; 17(3) : 57-68.
  52. 윤민영, 조남근, 허태영, 조은희, 이옥자, 김경식. 홍화약침의 퇴행성 슬관절염에 대한 임상적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2 ; 19(2) : 189-200.
  53. 윤민영, 조남근, 허태영, 조은희, 이옥자, 김경식, 문성재. 요통환자의 홍화약침치료에 대한 임상적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2 ; 19(3) : 216-29.
  54. 정동화, 안호진, 황규선, 윤기붕, 김태우, 문장혁, 백종엽, 이상무. 홍화 약침의 견비통에 대한 임상적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2 ; 19(6) : 184- 92.
  55. 최석우, 노정두, 설현, 소웅룡, 육태한. 황련해독탕 약침액으로 희석한 BU의 신체반응에 관한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3 ; 20(5) : 227-35.
  56. 소기숙, 최회강, 박소영, 고강훈, 김성남, 이옥자, 윤민영, 문형철, 김성철, 이정훈, 나원경. 오공약침의 안전성에 대한 임상적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4 ; 21(1) : 136-48.
  57. 허성웅, 권미정, 김홍기, 정경근, 김수민, 민영광, 안창범, 송춘호, 윤현민, 장경전. 생강약침(生薑藥鍼)이 중풍후유증으로 인한 견비통(肩臂痛)에 미치는 효과. 대한침구학회지. 2006 ; 23(5) : 145- 54.
  58. 박재우, 윤성우, 김진성, 류봉하. 만성변비에 대한 홍화약침의 효능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8 ; 25(5) : 127-37.
  59. 서정철, Charlie Xue. 플라세보 약침에 대한 무작위배정 임상시험. 대한침구학회지. 2008 ; 25(6) : 153-61.
  60. 이정훈, 이승우, 한상원. 파상풍의(破傷風) 동서 의학적 고찰과 증례보고. 대한침구학회지. 1999 ; 16(2) : 47-60.
  61. 정선희, 남상수, 김용석, 이재동, 최도영, 고형균, 안병철, 박동석, 강성길, 김창환, 이윤호. 비만환자의 전침치료 임상례. 대한침구학회지. 1999 ; 16(3) : 39-56.
  62. 김기현, 임형호, 황현서, 송호섭, 송영상, 권순정, 김경남, 안광현, 이성노, 강미숙, 전임정. 좌섬, 어혈 요통에 동기침법 및 복합치료의 유효성 및 안정성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2 ; 19(3) : 107- 14.
  63. 박은주, 김재홍, 위통순, 신정철, 한상균, 유충열, 윤여충, 채우석, 조명래. 외상성 경추척수증으로 진단받은 위증 환자 1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임상논문집. 2003 : 78-93.
  64. 김현증, 김민수, 이은용, 박영재. 요통 환자에 대한 이침의 침자수법에 따른 치료효과의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4 ; 21(1) : 159-67.
  65. 김경태, 고영진, 김은정, 류성룡, 우현수, 김창환. 차료혈 전침의 기능성 배뇨장애 환자에 대한 임상적 관찰 -배뇨일지와 뇨속검사를 중심으로-. 대한침구학회지. 2006 ; 23(4) : 101-13.
  66. 김주희, 고정민, 이승원, 김건형, 고영진, 이로민, 김창환, 박동석. 알레르기 비염 환자에 대한 압봉치료의 임상효과 연구-증상과 삶의 질을 중심으로-. 대한침구학회지. 2007 ; 24(3) : 175-85.
  67. 고민경, 김정호, 홍권의. 침도 침술 후 나타나는 두통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10 ; 27(2) : 89-95.
  68. 송호섭. 동병하치 확산을 위한 전략적 방향과 이 행방안. 대한침구학회지. 2010 ; 27(3) : 147-57.
  69. 박만용, 임나라, 김성하, 김성철. 완관절 다엽성 결절종의 초음파 진단을 통한 침도치료 임상증례 보고. 대한침구학회지. 2010 ; 27(3) : 167-72.
  70. 정지윤, 김종인, 이상훈, 강성길. 전침이 복부비만 성인의 비만관련 지표에 미치는 영향-무작위배정 단일 맹검 예비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10 ; 27(6) : 43-57.
  71. 김태우, 김효은, 조명제, 강영화, 이재동. 동씨침을 시술한 안면경련의 치험 3례. 대한침구학회지. 2003 ; 20(1) : 218-27.
  72. 박양춘, 조정효, 홍권의, 강위창, 최선미. 지속성 알레르기비염의 비폐색에 대한 침치료의 효과: 무작위배정 대조군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5 ; 22(6) : 229-39.
  73. 김성철, 임정아, 이종덕, 이상관, 이성용, 문형철, 최선미, 정영해. 근거중심의학에 근거한 퇴행성 슬관절염에 관한 침치료 임상선행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6 ; 23(1) : 187-215.
  74. 홍권의, 박양춘, 조정효, 조현경, 정인철, 강위창, 이상봉, 최선미. 만성 긴장성 두통 환자에 대한 사암침 치료효과의 Pilot 임상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7 ; 24(1) : 13-28.
  75. 이인선, 윤현민, 정경근, 김수민, 민영광, 김철홍, 박성환, 박지은, 최선미. 월경통에 사암침치료 효과에 대한 임상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7 ; 24 (3) : 63-79.
  76. 변혁, 강민주, 정찬영, 박인식, 조현석, 김경호, 이승덕, 김갑성. X-ray를 통한 예풍과 하관(下關)에서의 안전한 자침 깊이에 대한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7 ; 24(6) : 69-73.
  77. 곽병민, 김민정, 김연미, 이재민, 박양춘, 조정효, 정인철, 강위창, 이상봉, 최선미, 홍권의. 만성 긴장성 두통 환자의 침치료 지속효과에 대한 임상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8 ; 25(2) : 165-77.
  78. 박인식, 정찬영, 장민기, 강미숙, 이승우, 김은정, 이승덕, 김갑성. 퇴행성 슬관절염에 대한 근위취 혈과 원위취혈 침 치료의 효과 비교에 대한 임상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8 ; 25(2) : 227-42.
  79. 윤현민, 김철홍, 박재홍, 한민석, 이인선, 최선미, 박지은, 김규곤. 원발성 월경곤란증의 침치료 효과에 대한 임상시험. 2008 ; 25(3) : 139-62.
  80. 이병철, 천미나, 양명복. 봉독약침이 장기환자의 LFT와 RFT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0 ; 17(2) : 11-8.
  81. 변임정, 이성노, 안광현, 송원섭, 권순정, 강미숙, 송호섭, 김기현. 봉약침요법을 중심으로 한 복합 치료가 배뇨곤란이 주증인 마미증후군 환자 1례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2 ; 19(6) : 205-13.
  82. 안창석, 유창길, 이동주, 권기록. 봉약침요법을 통한 족부 백선 환자 1례에 대한 증례보고. 대한침구학회임상논문집. 2003 : 23-9.
  83. 서진우, 박민정, 성인형, 김남옥, 안치권. 급성기족관절 염좌 환자의 봉약침 시술 효과에 대한 임상적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6 ; 23(1) : 95- 103.
  84. 김경태, 안병준, 강미숙, 송호섭. 만성 족관절 염좌에 대한 봉약침 요법이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6 ; 23(4) : 21-6.
  85. 고강훈, 박소영, 최회강, 소기숙, 황우준, 이건목, 김성철. 오공약침을 이용한 요추간판탈출증 치료의 임상적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2 ; 19(3) : 192-206.
  86. 최회강, 소기숙, 고강훈, 박소영, 김성남, 이종덕, 원경숙, 문형철, 김성철. 추적조사를 중심으로 한 요추간판탈출증에 대한 오공약침의 임상적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3 ; 20(3) : 238-52.
  87. 이휘용, 유정석, 육태한, 홍권의. 수종의 약침제제 견정혈 자입이 활력징후 변화에 미치는 영향-황기 약침, 산삼 약침, 생지황 약침을 중심으로-. 대한침구학회지. 2007 ; 24(5) : 207-17.
  88. 설현, 송범용, 육태한. 인삼약침과 산조인약침이 정상인의 심박 변이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9 ; 26(5) : 19-28.
  89. 조현석, 최유행, 장준혁. 편측안면경련 환자 5례에 대한 증례보고. 대한침구학회지. 2000 ; 17(4) : 188-99.
  90. 최유행, 이승덕, 김갑성. 간질성 방광염에 대한 침치료 효과. 대한침구학회지. 2001 ; 18(4) : 212-20.
  91. 강미숙, 송호섭, 권순정, 김기현, 변임정, 황현서, 이성노, 임정은. 침구 치료와 활락탕 투여가 급성 요통 및 간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1 ; 18(5) : 43-9.
  92. 이상훈, 정병식, 윤형석, 조성규, 이윤호, 김성욱. 위중혈 자락의 요통에 대한 치료효과. 대한침구학회지. 2002 ; 19(1) : 65-75.
  93. 이성노, 홍서영, 변임정, 안광현, 권순정, 송원섭, 강미숙, 송호섭, 김기현. 봉약침 치료를 병행한 흉, 요추압박골절 환자의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2 ; 19(6) : 35-48.
  94. 문장혁, 안호진, 정동화, 윤형선, 장재원, 김경선, 문익렬, 백종엽, 이상무. 고혈압 뇌출중 환자에 대한 사혈의 하압효과. 대한침구학회지. 2003 ; 20(2) : 11-7.
  95. 장순복, 박용원, 조재성, 이병철. 삼음교($SP_6$) 지 압(15분/30분)이 분만 통증, 분만 소요시간, Hemoglobin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4 ; 21(1) : 99-110.
  96. 강미경, 이상훈, 홍장무, 박상민, 강중원, 박히준, 임사비나, 장대일, 이윤호. 특발성 파킨슨병 환자의 전침치료 효과. 대한침구학회지. 2004 ; 21(5) : 59-68.
  97. 장순복, 김혜진, 김민옥, 최인선, 맹웅재. 삼음교 (三陰交, $SP_6$) 지압 시기별 복식 자궁절제술 환자의 장운동 차이. 대한침구학회지. 2005 ; 22(5) : 11-20.
  98. 김홍훈, 김대중, 김성남, 최성용, 김경식, 조은희, 조남근. 수장부(手掌部) 다한증(多汗症)의 치험 3례에 대한 증례보고. 대한침구학회지. 2005 ; 22(6) : 251-7.
  99. 고정민, 김종인, 이재동, 남상수, 최도영. 침과 봉독약침으로 치료한 CRPS 제1형 환자 1례. 대한침구학회지. 2009 ; 26(3) : 165-70.
  100. 장진영, 조성연, 김소정, 김용석, 남상수. 신문혈 (神門穴) 레이저침 시술이 정신적 스트레스를 가한 성인의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10 ; 27(5) : 51-8.
  101. Yamashita H, Tsukayama H, White AR, Tanno Y, Sugishita C, Ernst E. Systematic review of adverse events following acupuncture: the Japanese literature. Complementary Therapies in Medicine. 2001 ; 9(2) : 98-104. https://doi.org/10.1054/ctim.2001.0446
  102. White A, Hayhoe S, Hart A, Ernst E, BMAS and AACP. British Medical Acupuncture Society and Acupuncture Association of Chartered Physiotherapists. A Survey of Adverse Events Following Acupuncture(SAFA): a prospective study of 32,000 consultations. Acupunct Med. 2001 ; 19(2) : 84-92. https://doi.org/10.1136/aim.19.2.84
  103. Ernst E, White AR. Prospective Studies of the Safety of Acupuncture: A Systematic Review. Am J Med. 2001 ; 110(6) : 481-5. https://doi.org/10.1016/S0002-9343(01)00651-9
  104. Hitoshi Yamashita, Hiroshi Tsukayama. Safety of Acupuncture Practice in Japan: Patient Reactions, Therapist Negligence and Error Reduction Strategies. eCAM. 2008 ; 5(4) : 391-8.
  105. Vincent C, Coulter A. Patient safety: what about the patient? Qual Saf Health Care 2002 ; 11 : 76-80. https://doi.org/10.1136/qhc.11.1.76
  106. Elmar Peuker, Timm Filler. Guidelines for case reports of adverse events related to acupuncture. Acupuncture in Medicine. 2004 ; 221(1) : 29-33.
  107. KGCP 의약품 임상시험 관리기준.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 제2008-39호. 2008. 6. 27.
  108. Ernst G, Strzyz H, Hagmeister H. Incidence of adverse effects during acupuncture therapy-a multicentre survey. Complementary Therapies in Medicine. 2003 ; 11(2) : 93-7. https://doi.org/10.1016/S0965-2299(03)00004-9
  109. Hitoshi Yamashita, Hiroshi Tsukayama. Safety of Acupuncture Practice in Japan: Patient Reactions, Therapist Negligence and Error Reduction Strategies. eCAM. 2008 ; 5(4) : 391-8.
  110. MacPherson H, Thomas K, Walters S, Fitter M. A prospective survey of adverse events and treatment reations following 34,000 consultaions with professional acupuncturists. Acupunct Med. 2001 ; 19(2) : 93-102. https://doi.org/10.1136/aim.19.2.93
  111. MacPherson H, Scullion A, Thomas KJ, Walters S. Patient reports of adverse events associated with acupuncture treatment: a prospective national survey. Qual Saf Health Care. 2004 ; 13 (5) : 349-55. https://doi.org/10.1136/qshc.2003.009134
  112. Witt CM, Pach D, Brinkhais B, Wruck K, Tag B, Mank S, Willich SN. Safety of acupuncture: results of 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with 229,230 patients and introduction of a medical information and consent form. Forsch Komplementmed. 2009 ; 16(2) : 91-7. https://doi.org/10.1159/000209315
  113. Witt CM, Pach D, Reinhold T, Wruck K, Brinkhaus B, Mank S, Willich SN. Treatment of the adverse effects from acupuncture and their economic impact: A prospective study in 73,406 patients with low back or neck pain. Eur J Pain. 2010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