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the Mimesis in Media Costume Design

미디어의상 디자인에 표현된 미메시스 연구

  • Yang, Su-Mi (Dept. of Clothing & Textil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won, Mi-Jeong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0.12.27
  • Accepted : 2011.02.11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Since Homeros in Greece, Mimesis was thought to be an art to imitate the nature, and it means an imitation of the nature classically. Mimetic theories were set to be a kind of art work in the era of Renaissance, and the terminology of mimesis was widely used to replace it with an originality in the 15th centu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esthetics of mimesis expressed in media costume design. For this purpose, I investigated the theories of the mimesis, categorized the definition, then applied those categories for media costume design. Documentary studies were conducted through aesthetics, fashion books and demonstrative studies were processed by analyzing photos from collection fashion magazines and media DVD, video, fashion site of internet. In the history of aesthetics, the mimesis could be defined into three categories; the external representation mimesis, the internal symbol mimesis and the multiful meta mimesis. In media costume, the representation mimesis included design historical point of view, a period that of 1900s and ancient representation mimesis. The internal mimesis included symbol of religion, character, riches, psychology and fear mimesis. The multiful meta mimesis included hybrid and distortion mimesis. Analysis on the mimesis expressed in media costume design fashion may provide an excellent method for understanding human aesthetic in costume.

Keywords

References

  1. 구민경. (2003). 예술과 현실의 관계에 비추어 본 미메시스.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7.
  2. 권혜수. (2008). 영화 의 복식과 색채 상징성 : 엘리자베스 1세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4.
  3. 김유선. (2009). 영화의상디자인, 커뮤니케이션북스, p. 2.
  4. 김희숙. (2005). 꽃의 이미지를 활용한 패션 조형 연구: 미메시스 개념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박진배. (2001), 영화, 디자인으로 보기2, 서울: 디자인하우스, pp.53-55.
  6. 더글라스 켈너, (2003), 미디어 문화, 김수정, 정종희 역, 새물결, p. 512.
  7. 신혜경 (2009). 대중문화의 기만 혹은 해방 벤야민&아도르노, 김영사, p. 149.
  8. 양수미, 권미정. (2009). 2000년대 패션에 표현된 미메시스 연구. 한국복식학회지. 59(10), pp. 38-50.
  9. 양수미, 권미정. (2010). 패션 컬렉션의 헤어 디자인에 표현된 추상 미메시스 연구, 대한미용과학회지, 6(2), pp. 141-149.
  10. 양수미, 권미정, 양삼석. (2010). 현대메이크업과 헤어에 표현된 미메시스 연구,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11(1), pp. 61-78.
  11. 양숙희, 한수연. (2008). 패션과 영상, 숙명여자대학교 출판부, p. 5.
  12. 양희영, (2009). 현대패션에 나타난 재현과 되기 현상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3(2), pp. 200-212. https://doi.org/10.5850/JKSCT.2009.33.2.200
  13. 이미연, 강태임. (2008). 영화 '왕의 남자'에 나타난 복식에 관한 연구, 한경대논문집, 40, p. 32.
  14. 이송림. (2009). 밀리터리룩의 시뮬라시옹 현상, 동덕여자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130.
  15. 이주영. (1998). 루카치 미학연구. 철학박사 학위논문시리즈 제15권. 서광사, p. 57.
  16. 정미정. (2004). 미메시스이론을 적용한 실내설계연구:자연 이미지가 표현된 상업공간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최광진. (2004). 현대미술의 전략, 아트북스, p.33.
  18. 최성만. (1999). "발터 벤야민(W. Benjamin)에서 미메시스와 역사적 경험". 사회철학연구회 원례학술발표.
  19. 최원경, 김혜리, 조윤경. (2009). 퓨전사극드라마 '주몽'과 '태왕사신 기'에 나타난 전투복 스타일링 비교, 한국복식학회지, 59(5), pp. 101-114.
  20. 한은희, 한자영, 유송옥. (2005). 명성황후가 등장하는 TV사극에 나타난 의상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지, 55(6). pp. 62-75.
  21. 竹內敵雄. (2003). 미학예술학사전, 미진사, pp. 243-245.
  22. 캐서린 스푸너. (2008). 다크 컬쳐, 곽재은 역, 사문난적.
  23. 문화계 복고풍, 악극공연 등 향수 자극 2001, 04. 25일자.
  24. 문화일보 기사, 방송 3사 '외화 시리즈' 경쟁, 2006, 11. 08일자
  25. 매일경제 기사, 제81회 아카데미 시상식 <공작부인:세기의 스캔들>, 의상상 수상 2009, 02. 23일자
  26. 스포츠조선기사, '원초적 본능' 캐서린역 샤론 스톤 '악녀중 악녀', 2010년 05월 13일일자.
  27. 중앙일보기사, 한복의 재발견, 2006, 03. 21일자
  28. 헤럴드 경제 뉴스, 18C 마리 앙투와네트가 웬 컨버스운동화? 2010, 04. 05일자
  29. 씨네21 비평 http://www.cine21.com/Article/article_view
  30. http://www.onmoviestyle.com/series_site/
  31. Adorno, T. W. (1970). Asthetische Theorie. Bd.7, Suhrkamp, Frankfrut/M, p. 169.
  32. Benjamin, W. (1933). Uber das mimetische Vermogen. in W. Benjamin, Gesammelte Schriften II-1, Suhrkamp, pp. 210-213.
  33. Danto, A. (2004). 예술의 종말이후, 이성훈, 김광우역, 예술과 문화. p. 12.
  34. David, B. (1992). Glamour in Fashion. London: Guinness Publishing, p. 101.
  35. David P. Szatmary. (1996). Rockin' in Time: A History of Rock-and-Roll. New Jersey: Prentice Hall, p. 68.
  36. Deborah N. L. (2007). Dressed, Newyork,: Harper Collins Publishers, p. 19.
  37. Fruchtl, J. (1986). Mimesis: Konstellation eines Zentralbegriffs bei Adorno. KOnigshausen & Neumann, WUrzbrug, pp. 211-212.
  38. Gadamer, H. G. (1900). Wahrheit und Methode. 이길우외 3인 역 (1996). 진리와 방법. 문학동네, p. 171.
  39. Hegel, G. W. F. (1986). Vorlsungen Uber die Asthetik I. Werke, Bd.13, Suhrkamp, Frankfrut/M, p. 15, p. 178, p. 190.
  40. Jung, W. (1995). Von der Mimesis zur Simulation, 장희창 역(2006). 미메시스에서 시뮬라시옹까지. 경성대학교출판부. pp. 15-99.
  41. Lukacs, G. (1963). Die Eigenart des Asthetischen I. Werke, Bd.11, Luchterhand, pp. 352-353.
  42. Robin. T. Lakoff &. Scherr L. (1984), Face Value: The Politics of Beauty , Boston: Routledge & Kegan Paul, p. 95.
  43. Sheppard, A. (1987), Aesthetics -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art. (유호전 역). 동문선. p. 17.
  44. Tatarkiewicz, W. (1980). A history of six ideas, 손 효주 역(1990). 미학의 기본 개념사. 미진사, p. 311.
  45. Umberto, Eco. (2004). Storia della Bellezza. 이현경 역(2005). 미의 역사. 열린 책들, p. 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