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aluating Suitable Analysis Methods Using Digital Terrain in Viewshed Analysis

수치지형도를 활용한 가시권 분석의 적정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 여창환 (대구대학교 도시 및 지역계획학과) ;
  • 장영진 (대구대학교 건축공학과)
  • Received : 2010.11.30
  • Accepted : 2011.03.09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enhancing the accuracy of viewshed analysis through the explanation for an analysis method of viewshed analysis using GIS.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the visible area using digital terrain in viewshed analysis depends on a visible interest area, scale of terrain, spatial resolution and surface data. In this study, we used trend analysis and RMSE analysis in order to find the effect of a visible interest area, scale of terrain, etc in viewshed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viewshed analysis depends on a visible interest area, scale of terrain, spatial resolution, surface data such as previous studies. Second, the results in forest area are reliable than those of flat area in terms of a visible interest area. Third, the results based on raster grid data are stable than those of TIN(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in terms of input surface data. Fourth, according to the result of trend and RMSE analysis, the spatial resolution for analysis is differently applied to different scales digital terrain map in viewshed analysis. In detail, it is desirable that the spatial resolution is set less than 10m(in the case of 1/1,000 digital terrain map), 20m(in the case of 1/5,000 map), 30m(1/25,000 map).

본 연구의 목적은 GIS 분석기법을 활용한 가시권 분석이 활발해 지고 있으나 분석결과의 정확도에 대한 논의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점에 착안하여 가시권 분석방법에 대한 심층적 논의를 통해 분석결과의 신뢰도를 높이는데 있다. 수치지형도를 활용한 가시권 분석은 분석 대상지의 특성, 수치지형도의 축척, 분석의 공간 해상도, 지형자료의 형태에 따라 상이하게 도출되어 분석결과의 오차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분석의 공간 해상도가 낮아지면 가시권 분석결과의 면적은 넓어지고 유효 한계해상도보다 해상도가 낮아지면 분석결과의 면적은 불안정한 변화추이를 보일 것이라는 가정 하에 공간 해상도별 가시면적의 변화추이와 공간 일치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분석 대상지와 수치지형도의 축척, 공간 해상도, 입력된 지형자료의 형태에 따라 분석결과가 상이하게 도출되어 분석결과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시영역이 산지 지형인 경우에서 안정적 분석결과가 도출되었다. 또 입력되는 지형자료의 경우는 제한된 조건에서 TIN보다 레스터 자료에서 안정적인 분석결과가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해상도별 가시면적의 변화추이와 공간 일치도 분석결과에 비춰보면 축척별 수치지형도에 따른 유효한 최소의 공간 해상도가 존재하는데, 1/1,000의 경우는 8m, 1/5,000은 20m, 1/25,000은 35m를 넘지 않은 범위에서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만규, 박종철. 2008. 수치표고모형(DEM)의 해상도가 물리 결정 일괄 매개변수수문모형의 모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 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3):151-165.
  2. 박진형, 이관수, 이삼노. 2004. DEM의 정확도 분석에 의한 도시 소유역의 유출해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7(1):28-38.
  3. 이근상, 고덕구, 채효석, 신영호. 2003. 항공레이저 측량 자료의 해상도에 따른 DEM 오차 비교평가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6(3): 33-42.
  4. 이준학, 김항덕, 오경두. 2008. GIS을 이용한 지형분석과 가변적 공간단위의 문제. 육사논문집. 64(1):579-595.
  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1. 한국지형에 적합한 수치표고모형 구축방안 연구.
  6. Lee, J. 1991. Analyses of visibility sites on topographic surface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5(4):413-429. https://doi.org/10.1080/02693799108927866
  7. Mark, A.M. and J.D. Denis. 2001. An accuracy assessment of various GISbased viewshed delineation techniques. Photogrammetric Enginnering & Remote Sensing 67(11):1293-1298.
  8. Quinn, P., K. Beven, P. Chevallier and O. Planchon. 1991. The prediction of hillslope flow paths for distributed hydrological modelling using digital terrain models. Hydrological Processes 5:59-79. https://doi.org/10.1002/hyp.3360050106
  9. Wang, J., J.R. Gary and W. Kevin. 1996. A fast solution to local viewshed computation using grid-based digital elevation models. Photogrammetric Enginnering & Remote Sensing 62(10): 1157-1164.

Cited by

  1. 비행안전구역 건물 높이 평가에서 수치지형도로 제작한 DEM의 활용성 vol.14, pp.3, 2011, https://doi.org/10.11108/kagis.2011.14.3.078
  2. 조망루트 선정을 위한 가시권 분석의 적용 -보길도 윤선도 원림(명승 제34호)을 중심으로- vol.12, pp.12,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2.12.12.787
  3. 영양 서석지원(瑞石池園)의 경관요소를 통한 외원 규모 추정 및 프랙탈 구조(Fractal Structure) vol.41, pp.5, 2011, https://doi.org/10.9715/kila.2013.41.5.0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