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stimation of Flow Loads for Landcover Using HyGIS-SWAT

HyGIS-SWAT을 이용한 토지피복도에 따른 유출부하 평가

  • Kim, Joo-Hun (Water Resources Dept.,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KICT)) ;
  • Kim, Kyung-Tak (Water Resources Dept.,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KICT))
  • 김주훈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실) ;
  • 김경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실)
  • Received : 2011.03.03
  • Accepted : 2011.04.27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is study estimates the characteristics of flow loads by classification items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by land cover change using HyGIS-SWAT. The result of analyzing the land cover change using the classification items shows that the urban area and the farmland area in Mishim-cheon and Gap-cheon are expanding while the forest area is decreasing. The result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classification items shows that peak discharge increases and total yearly discharge decreases in Mushim-cheon. The result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by data-construction period shows that peak discharge decreases but total discharge increases in Gap-cheon. Three land cover change scenarios are applicable to the expansion of urban area and farmland area. According to the result of application, urbanization influences and Farmland area expansion influences increase peak discharge, total yearly discharge and sediment concentration.

본 연구는 HyGIS-SWAT 모형을 이용하여 환경부의 대분류/중분류에 따른 유출부하 특성을 평가하고, 토지피복변화에 따른 유출부하 특성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대분류와 중분류 토지피복변화는 두 유역 모두 시가지 지역과 농업지역이 팽창하고 산림지역이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현재 지속적으로 도시화가 확대되는 추세를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분류항목특성에 따른 분석결과는 무심천유역의 경우 첨두유출은 상승하였고, 연총유출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축시기에 따른 특성 분석결과는 갑천유역의 경우 첨두유출은 감소하고, 총유출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지피복변화 시나리오는 도시화 확대와 농업지역 확대의 3가지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도시화 및 농업지역 확대 시나리오 모두 유출 및 유사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재영, 장태일, 박승우. 2007. HSPF 모형을 이용한 농촌유역에서의 대장균 모의. 대한토목학회지 11(4):99-109.
  2. 김철겸, 김남원, 2008. 충주댐 유역의 오염원에 따른 오염부하량 발생 특성.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5(2):256-267.
  3. 김철겸, 2010. SWAT-K를 이용한 비점오염 물질의 수문학적 운송특성 분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4. 환경부. 2004. 오염총량관리제도 이해.
  5. 환경부. 2007. 수질오염총량관리제 고시.훈령.규정집.
  6. Arnold, J.G. 2010. Outlook of SWAT Model as a Total Solution of Water, Pollutant, & Food Problem. 2010 Internation SWAT Conference. Korea.
  7. Kim, S.M., B.L. Benham, K.M. Brannan, R.W. Zeckoski, and G.R. Yagow. 2007. Water Quality Calibration Criteria for Bacteria TMDL Development. American Society of Agricultural and Biological Engineers. 23(2):171-176.
  8. Neitsch, S.L., J.G. Arnold, J.R. Kiniry, R. Srinivasan, and J.R. Williams. 2004.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Input/Output File Documentation Version 2005.
  9. US EPA, 2005. TMDL Model Evaluation and Research Needs. EPA/600/R-05/149. National Risk Management Research Laboratory.
  10. US EPA. 2008. Handbook for Developing Watershed TMDLs.

Cited by

  1. Comparison of Forest Carbon Stocks Estimation Methods Using Forest Type Map and Landsat TM Satellite Imagery vol.31, pp.5, 2015, https://doi.org/10.7780/kjrs.2015.3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