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Geomorphological Environments of High-Density Residential Zone in Bronze Age around Asan City, Central Korea - A Case Study of Yongdoocheon and Onyangcheon Basin -

충남 아산의 청동기 시대 주거지 밀집 구역의 지형환경 분석 - 용두천과 온양천 유역을 사례로 -

  • Park, Ji-Hoon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Kongju Nat'l Univ.) ;
  • Park, Jong-Chul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Institute, Kongju Nat'l Univ.)
  • 박지훈 (공주대학교 지리교육과) ;
  • 박종철 (공주대학교 지리정보과학연구소)
  • Received : 2011.06.20
  • Accepted : 2011.08.04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A number of the Bronze Age dwelling sites have been found and excavated in the Yoodoocheon, Onyangcheon and Baekseokdong basins. Two basins are located near Asan and Onyan in the Chungnam Province of South Korea. Baekseokdong is located in Cheonan, Chungnam. 207 dwelling sites are concentrated around the area of $1.3km^2$ in the Baekseokdong. 177 dwelling sites are sparse and distributed over the area of $1.3km^2$ in the Yongdoocheon and Onyangcheon basins. Most of the Bronze Age dwelling sites in those areas located on the hill. The hills have similar geomorphological environments except for slight differences in geological faces. This study analyzes geomorphological environments of the high-density residential zone of the Bronze Age in the Yoodoocheon and the Onyangcheon basins, and then compares them with the results in Baekseokdong. Study results show that high-density residential zone consists mainly of specific micro-landforms such as the Crest slope, the Crest flat and the Upper side slope, and southeast-facing aspect. A lot of Gentle slope lands were distributed in terms of terrain slope but it is far from specific geomorphological environments. This is not weighted in specific value. Our results show that the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 derived from this study is major considerations to develop dwelling sites in the Bronze Age. This can be useful to discover the possible dwelling sites over other Chungnam hill regions.

충남 아산과 온양 근교의 용두천과 온양천 유역 그리고 천안 백석동에서는 청동기 시대 주거지가 다수 발견되었다. 백석동에는 약 $1.3km^2$에 207기의 주거지가 집중해 있고 용두천과 온양천 유역에는 $49.2km^2$에 177기의 주거지가 산발적으로 분포해 있다. 이 지역들의 청동기 시대 주거지는 대부분 구릉지에 입지해 있으며, 구릉지의 지형환경은 일부 지질적 차이를 제외하고는 매우 유사하다. 본 연구에서는 충남 용두천과 온양천 유역의 청동기 시대 주거지 밀집 구역의 지형환경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백석동 연구 결과와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이 지역들의 주거지 밀집구역은 정부평탄면과 정부사면, 상부곡벽사면의 사면 미지형과 남동 사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면경사는 완경사지가 많이 나타나지만 사면 미지형과 사면방향에 비해 특정 경사면에 편중되는 경향이 적어 주거지 밀집 구역의 특징적인 지형환경으로 규정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지형환경 특징은 일부 사례 지역에 국한된 것이 아니고 충청남도 일대의 구릉지에 입지했던 청동기 시대 주거지들의 밀집에 주요한 요인이었을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권중. 2004. 북한강유역 청동기 시대 주거 유형과 중기 설정 시론 - 용암리 유적을 중심으로. 문화사학 22:7-38.
  2. 김만규, 장동호, 박종철, 김용민, 신종국, 송의정, 심상육. 2006. 유적지 평면도 전산화를 통한 지리정보시스템 개발과 고고학적 활용 방안 연구. 한국지형학회지 3(3):21-33.
  3. 박성우. 2009. 인천지역 청동기 시대 주거지의 현황과 성격. 사림 34:317-352.
  4. 박종철, 박지훈. 2011. 충남 천안 백석동 청동기 시대 주거지 밀집 구역의 지형환경.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7(3):297-312.
  5. 박지훈. 2011. 곡교천 유역 청동기 시대 취락의 입지와 환경 복원- 호서지역 청동기인들의 가거지에 대한 지형적 인식에 주목하여-. 가경고고학연구소. 천안.
  6. 박지훈, 박종철. 2011. GIS분석을 이용한 천안 백석동유적그룹의 청동기 시대 주거지 입지의 최적 지형환경-구릉사면의 미지형별 경사도에 주목하여-. 한국지형학회지 18(1): 1-16.
  7. 박지훈, 오규진. 2009a. 지리적 관점으로 본 아산 용두천 유역 및 주변지역에 있어서 청동기 시대 주거지의 최적 입지환경. 한국사진지리학회지 19(2):69-82.
  8. 박지훈, 오규진. 2009b. 지리적 관점으로 본 충남 천안천 유역 및 주변지역에 있어서 청동기 시대 주거지의 최적 입지환경. 한국지형학회지 16(1):67-87.
  9. 박지훈, 오규진. 2010. 천안 백석동유적그룹 청동기인들의 지형인식과 주거지 입지선택- 구릉사면의 미지형과 청동기 시대 주거지와의 대응관계에 주목하여 -.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0(4):207-223.
  10. 박지훈, 장동호. 2009. 충남 아산 근교 구릉지 소유역에 있어서 사면 미지형과 청동기 시대 주거지 분포와의 대응관계. 한국지형학회지 16(2):43-61.
  11. 오규진, 허의행. 2006. 청동기 시대 주거지 복원 및 실험 - 전기주거지를 중심으로 -. 야외고고학:175-201.
  12. 이금삼, 조화룡. 2000. DEM을 이용한 한반도 지형의 경사도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3(1):35-43.
  13. 이진영, 박준범, 양동윤, 김주용, 홍세선, 정계옥. 2005. GIS 중첩분석을 이용한 요지유적 분포 예측의 시범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8(4):165-175.
  14. 이진영. 2006. GIS를 이용한 남한의 고고유적 입지 예측모델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9쪽.
  15. 장용구. 2006. 모바일 GPS/GIS 기술을 이용한 유적 지표조사 시스템 구현.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2):91-101.
  16. 장호식, 서동주, 이현재, 이종출. 2003. GPR을 이용한 매장문화재의 위치해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83-87쪽.
  17. 충남대학교박물관, 삼성전자. 2001. 아산 테크노콤플렉스 지방산업단지 조성부지내 아산명암리 유적. 25쪽.
  18. 충청문화재연구원. 2008a. 온양-음봉간 지방도 4차로 확.포장공사(제2공구)내 문화유적 시굴조사 약보고서. 20쪽.
  19. 충청문화재연구원. 2008b. 아산 탕정 제 2일반지방산업단지 조성부지 내 I-2지점(가지 역) 문화유적 발굴조사 -아산 용두리 진터유적-. 28쪽.
  20. 충청문화재연구원. 2008c. 아산 탕정 제2일반 지방산업단지 조성부지내 I-2지점(나지역) 문화유적 발굴조사. 28쪽.
  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1. 한국지형에 적합한 수치표고모형 구축방안 연구. 1-178쪽.
  22. 한국고고환경연구소, 대전지방국토관리청. 2008. 아산시 국도대체우회도로(배방-탕정) 건설공사 구간내 문화유적 발굴조사. 지도위원회의 자료. 14쪽.
  23. 황상일, 윤순옥. 1998. 대구분지의 자연환경과 선사(先史) 및 고대의 인간생활. 대한지리학회지 33(4):469-486.
  24. 田村俊和. 1996. 微地形の分類と地形發達達-谷頭部斜面を中心に-, 恩田裕一ほか編 水文地形學-山地の水循環と地形変化の相互作用. 古今書院,. pp.177-189.
  25. Ciminale, M., H. Becker and D. Gallo. 2007. Integrated technologies for archaeological investigation; the Celone Valley project. Archaeological Prospection 14(3B):167-181. https://doi.org/10.1002/arp.312
  26. Craig, N., M. Aldenderfer and H. Moyes. 2006. Multivariate visualization and analysis of photomapped artifact scatters.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33(11B):1617-1627. https://doi.org/10.1016/j.jas.2006.02.018
  27. Jenks, G.F. 1967. The Data Model Concept in Statistical Mapping, International Yearbook of Cartography 7. pp.186-190.
  28. Llobera, M. 2001. Building past landscape perception with GIS: understanding topographic prominence.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28(9B):1005-1014. https://doi.org/10.1006/jasc.2001.0720
  29. Neubauer, W. 2004. GIS in archaeology— the interface between prospection and excavation. Archaeological Prospection 11(3B):159-166. https://doi.org/10.1002/arp.231
  30. Silverman, B.W. 1986. Density Estimation for Statistics and Data Analysis. New York: Chapman and Hall. 76pp.

Cited by

  1. GIS를 이용한 울산지역 선사유적 입지분석 및 분포예측 vol.15, pp.3, 2012, https://doi.org/10.11108/kagis.2012.15.3.023
  2. Lo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Naju Oryangdong Site using Geomorphological and GIS Analysis vol.53, pp.None, 2011, https://doi.org/10.35300/bjclab.1.53.201508.139
  3. A Study on Estimating Ganghwa Goryeo Capital City Relict Zone through Geomorphological Information Analysis vol.28, pp.1, 2011, https://doi.org/10.35149/jakpg.2018.28.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