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or Analysis and Measurement Invariance Test of Mathematical Affectiveness in High Mathematical Achievement Countries

수학 학업성취도가 높은 국가의 수학-정의적 영역 요인 분석 및 측정 동일성 검증

  • Received : 2011.05.08
  • Accepted : 2011.06.09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affective factors in mathematical learning and achievement, international comparative assessment as PISA and TIMSS survey affective achievement as well as scholastic achievement. On the affective survey those items of PISA are categorized by 5 factors ; interest of mathematics, instrumental motivation, Mathematics self-efficacy, mathematics anxiety, mathematics self-concept) and those of TIMSS are categorized by 3 factors; Positive affect toward mathematics (PATM), Students' Self-Confidence in Learning Mathematics(SCM), and Students' Valuing Mathematics(SVM).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Measurement Equivalence/Invariance to find whether the constructs are well defined and divided. As a result of our analysis, some factors were overlapped in PISA whereas the items of TIMSS were categorized as intended in TIMSS study.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 questionnaire items need to be developed to understand our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Also, how questionnaire of large-scaled international assessment can give implica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questionnaire of Korean specific.

수학 학습과 성취에 있어서 인지적 영역뿐만 아리나 정의적 영역의 여러 요인이 영향을 주고 있다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교육 활동에 있어서 정의적 영역에 대한 중요성 인식은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개정이나 학업성취도 평가, 국제비교평가 연구 등에서도 확인해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수학 학습과 성취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서 정의적 요소를 살펴보기 위한 다양한 연구 방법 중에 대규모의 표집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 가장 보편적이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설문에 따른 반응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ISA 2003과 TIMSS 2007의 자료를 분석하여 수학 학업 성취도가 상대적으로 높은(상위 30%) 국가를 선정하고 각 국가의 정의적 영역 성취점수를 분석함으로써 국제비교평가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우리나라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을 잘 파악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 문항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하였고 대규모 국제비교평가의 설문문항이 우리나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 문항 개발에 어떤 시사점을 줄 수 있는지 고찰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