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Investigation into the State of Doctors' Linkage and Oriental Medical Treatment at All Postpartum Care Center in Seoul

서울시 소재 산후조리원의 의료인 연계 및 한방의료 현황 조사

  • 장석우 (제인한방병원 한방부인과) ;
  • 허수정 (제인한방병원 한방부인과) ;
  • 조현주 (제인한방병원 한방부인과)
  • Received : 2011.10.28
  • Accepted : 2011.11.07
  • Published : 2011.11.25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ll postpartum care center in Seoul about its state of doctors' linkage and oriental medical treatment. Methods: From May 1st 2011 to July 10th 2011, survey was done using a selfmade questionnaire by phone or visit. There were 12 categories including the state of doctors' linkage in postpartum care centers, treatment form of oriental medical doctors, utilization of herbal medicine and so on. The data collected was analyzed using Excel 2007 FOR WINDOWS. Results: 1. The doctors' linkage with postpartum centers included pediatricians(96.1%), oriental medicine doctors(61.2%), and gynecologists(34.0%). Of those postpartum centers, 66% had both pediatrician and oriental medical doctor which were the vast majority. 2. Out of 70 postpartum centers providing herbal medicine, 9 of them were supplied of herbal medicine by herb sellers(not doctor). Where as, at 63 oriental medical doctors-affiliated centers, 85.7% of them had oriental medical doctors' examinations. 3. Out of 70 postpartum centers providing herbal medicine, personalized prescription amounted to 35(50.0%), same prescriptions amounted to 34(48.6%), and 1(1.4%) refused to answer. 4. Out of all the patients that received explanation about the effects of herbal medicine, 62.9% had them explained by oriental medical doctors.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s that oriental medical doctors are actively involved with postpartum care centers but problems surfaced regarding individualized prescription insufficiency and the lack of administration. In the near future, if the expertise expand in the areas of pediatrics as well as obstetrics and gynecology, oriental medicine will have a more solid role in postpartum care part.

Keywords

References

  1. 김소연, 조홍윤, 손희천. 산후조리에 대한 전통, 양방, 한방적 비교와 한방산후조리원의 운용에 관한 고찰. 대한의료기공학회지. 2001;5(1):199-231.
  2. 보건복지가족부. 연세대학교 의료복지연구소. 산후조리원의 소비자 가격 실태조사. 2009;52-3.
  3. 오승희. 산후관리 인식도와 산후풍의 실태조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0; 13(2):482-500.
  4. 허지원, 김성란. 산후조리의 실태 및 산후조리에 대한 인식 조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1;14(1):409-423.
  5. 오재성 등. 산후조리에 관한 인식 조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1;14(3): 146-155.
  6. 변상현 등. 산후풍의 인식 차이 조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6;19(4):148-158.
  7. 정재중 김동일. 일부 지역 산후조리원 종사자와 한의사의 산후조리에 대한 인식조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6; 19(4):131-147.
  8. 정재중 김동일. 일부 산후조리원 재원산모와 미혼여성의 산후조리에 대한인식조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6; 19(4):117-130.
  9. 배경미, 이인선. 한국인, 재미교포, 미국인의 산후풍과 산후조리에 대한 인식 조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10; 23(2):131-144.
  10. 강구형, 백승희. 출산전 여성의 한방산후조리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 조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0;13(1): 376-402.
  11. 박영애, 박영선, 김동철. 산후 역절풍 1례 임상경과 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7;20(3):246-258.
  12. 조현정 등. 분만 후 치골결합분리 환자 1례의 임상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8;21(2):263-272.
  13. 임현정, 신선미, 유동열. 산후 우울증환자 2례에 대한 임상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9;22(2):163-171.
  14. 박지영 등. 산욕 초기 입원치료를 받은 산모들의 한방치료 만족도 조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9;22(4):174-187.
  15. 박장경 등. 협진 의뢰 산모의 한방산후조리 현황 분석 및 만족도 조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10;23(1):108-123.
  16. 유은광. 여성건강을 위한 건강증진행위 : 산후조리 의미의 분석. 간호학탐구. 1993;2(2):37-65.
  17. 유은광. 여성의 건강상태와 산후조리 경험과의 관계 연구. 대한간호. 1997; 36(5):74-90.
  18. 대한산부인과학회. 산과학 제4판. 서울:칼빈서적. 2007:477.
  19. 황나미, 이인영. 산후조리원 운영 및 이용자 관리현황과 제도화 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1:33-34.
  20. 송병기. 한방부인과학. 서울:행림출판. 1992:98-108, 473-474.
  21. 김영미, 최은정, 이호승. 산후풍의 치료에 관한 임상보고. 대한의료기공학회지 1999;3(1):162-171.

Cited by

  1. 산모의 한약 복용이 모유에 미치는 영향 - HPLC와 LC/MS/MS를 이용한 생화탕 지표성분 분석 - vol.26, pp.4, 2013, https://doi.org/10.15204/jkobgy.2013.26.4.048
  2. 산후 한의진료를 받은 고위험산모와 일반산모의 한의진료 체중변화에 대한 후향적 분석 vol.34, pp.3, 2011, https://doi.org/10.15204/jkobgy.2021.34.3.0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