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and Application of Flow Induction Machine in Artificial Canal Way and Lake through Water Quality Model Test

수질모형실험을 통한 인공수로와 호수에서 흐름유발시설 효과검증 및 적용방법에 관한 연구

  • 최계운 (인천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김동언 ((주)수성엔지니어링 수력부) ;
  • 윤근호 (인천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한만신 ((재)국제도시물정보과학연구원)
  • Received : 2011.03.03
  • Accepted : 2011.04.29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water pollution problems brought about by the construction of eco-friendly waterfront space through the physical model experiment including water quality consideration. Due to the lack of water supply into the artificial ponds and canals, the water quality problems such as eutrophication, odor and so on can be occurred. There have been many numerical models on such phenomena but limited studies using physical test due to the difficulty in the verification of physical interpretation of the study area. In this study, a prototype model that is not affected by the dimensionless parameters was carried out, where unpolluted water is mixed into the contaminated water to reduce the concentration of nutrients. In addition, this study also attempt to find the optimal configuration of the flow induction machines using the scale model which will evaluate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enforcement methods to maintain the water quality objectives.

본 연구는 인공수로 또는 인공호수와 같은 환경 친화적 친수공간이 건설됨에 따라 발생되는 수질오염 문제를 수질모형실험을 통해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호소수의 개념으로 도입되는 인공수로 및 호수는 제한된 수량 공급으로 인해 수질악화, 악취발생 및 녹조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현상을 예상할 수 있는 방법은 수치해석으로만 의지해 왔고 물리적 해석에 의한 검증이 이뤄지지 않아 실제 적용에 대한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오염된 물과 오염되지 않은 물이 서로 희석되어 영양염류의 농도를 낮추는 현상에 착안하여 원형과 모형의 상사에 영향을 받지 않는 무차원의 물리적 수질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수체 내에서 흐름을 인공적으로 발생시키는 흐름유발기기의 효과 검증과 적용방법을 연구하여 목표수질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순국 (2006), "저수지.담수호의 친환경적 수질개선 방안", 농어촌과 환경,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제93호, p. 23.
  2. 김기형 (2004). 수중구조물 상태에 따른 하도흐름의 실험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3. 김영선 (2009). "골프코스에서 강수량, 관수량 및 시비관리가 연못의 수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잔디학회지, 한국잔디학회, 제23권, 제1호, pp. 1-8.
  4. 김창완 (2002), 임진강 유역 홍수피해 원인조사 및 항구 대책 수립 보고서 2권: 임진강 하류부 수리모형실험, 건설교통부 서울지방국토관리청.
  5. 이요상 (2009). "저수지 물순환 장치 설계 및 평가", 한국 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42권, 제4호, pp. 17-21.
  6. 박용섭 (2003), "합류부에서 유량 및 접근각도 변화에 따른 수리학적 특성 분석", 박사학위 논문, 인천대학교.
  7. 백용욱, 안윤주 (2008), "도심 인공호 퇴적물의 총 중금속, 용존 중금속, 생물 이용성 중금속의 연관성 규명", 한국하천호수학회지, 한국하천호수학회, 제41권, 제1호, pp. 66-72.
  8. 서울특별시 한강사업본부 (2009). 한강공원 특화사업 수리실험 보고서.
  9. 성도용 (2003). 생태개념을 도입한 호수.연못 조성 길라잡이. 한국토지공사.
  10. 전병호, 최계운, 정상만, 오경두 (2009). 수리학. 양서각, pp. 442-465.
  11. 조홍연, 조범준, 정신택 (2005). "역산이론을 이용한 연안 수질모형의 매개변수 추정",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한국해안해양공학회, 제17권, 제3호, pp. 149-157.
  12. 지재성 (2007). 부영양화호소의 수질향상을 위한 컴팩트형 조류제거 공법 개발, 환경부.
  13. 최광순 (2008), "물교환이제한적인시화호상류기수역의 부영양화", 한국하천호수학회지, 한국하천호수학회, 제41권, 제2호, pp. 216-227.
  14. 한국토지주택공사 (2009). 인천청라지구 주운시설 건설공사 실시설계보고서.
  15. 한무영 (2000). "pH를 이용한 트레이서 테스트 방법의 개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0권, 제1호, pp. 95-101.
  16. 황영만 (2009), "투수성을 고려한 도류제의 합류부 흐름 개선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박사학위 논문, 인천대학교.
  17. Davis (1980), "Destratification of reservoirs-a design approach for perforated-pipe composed-air systems", Water service.
  18. Gray, J.S., Wu, R.S., and Or, Y.Y. (2002), "Effects of hypoxia and organic enrichment on the coastal marine environment",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Vol. 238, pp. 249-279. https://doi.org/10.3354/meps238249
  19. Jennifer (2005). "Monitoring protocol for reporting impacts of salt tracer methodology on stream Biota", Forest Health and Monitoring Unit, Private and Community Forests Program, Oregon Department of Forestry, Salem, OR. pp. 5-9.
  20. Kennish, M.J. (2000), "Estuary restoration and maintenance", CRC Press. Florida.
  21. Kramer, K.J.M., and Brockmann, U.H. (1994), "Tidal estuaries; manual of sampling and analytical procedures" AA Balkema, Rotterdam.
  22. Lorenzen, M., and Fast, A. (1977), "A guide to Aeration/Circulation techniques for lake management", EPA-600/3-77-004.
  23. Moore (2003/2004). "Introduction to salt dilution gauging for streamflow measurement", Streamline Watershed Management Bulletin, Vol. 7, No. 4 Winter, pp. 20-23.
  24. Orive (2002), "Nutrients and eutrophication in estuaries and coastal waters", Klawer Academic Publishers, Dordrec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