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Candidates' Library-field Promise in the Local Election

지방선거 후보자들의 도서관분야 공약 분석

  • Received : 2011.02.18
  • Accepted : 2011.03.11
  • Published : 2011.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whether the promises of library field were, what the promises of candidates were, and whether the content of the promises showed the dissimilar tendency or discrepancy. 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was that the library-related issues should be raised in the local election in order that library-related problems in the local area were considered as the policy. The standpoint of this research was based on the notion the library-related problems could be settled if the candidates have an interest in the library field. The range of this research was limited in the election conducted in June 2. 2010. Candidates' promises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categorized and analyzed by subject.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the most candidates had interest in establishing of library infrastructure, on the other hand they had no interest in collection development, library policy, allocation of budget, and job creation for librarian.

본 연구는 지방선거 후보자들이 도서관관련 공약을 제시하였는지, 제시하였다면 어떤 공약을 제시하였는지 그리고 광역단체장 후보자들과 기초자치단체장 후보들 간에 공약 내용에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출발점은 지방정부차원에서 도서관관련 문제를 정책의 관점에서 접근하기를 기대하며, 지방선거에서 도서관 관련 이슈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는데 있다. 도서관관련 문제의 경우, 국가차원에서 해결되어야 할 문제도 있지만 자치단체장들이 관심과 의지를 갖고 다가설 경우 보다 많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 시작되었다. 연구는 2010년 6.2일 실시된 동시지방선거 후보자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도서관관련 공약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후보자들의 도서관관련 공약은 도서관인프라 구축에 관한 공약이 압도적이었으며, 다음으로 학교도서관 개방 혹은 서로 다른 관종간의 도서관 서비스 협력 제안, 책 읽는 도시 조성 등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독서진흥시책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그러나 도서구입비 지원 확대 등을 통한 장서확충 및 도서관 조직 및 인력의 확충을 통한 도서관 발전 등을 제안한 공약은 매우 미흡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2008년 총선 도서관공약조사 [online]. [cited 2010.2.10]. <포럼 문화와도서관 (www.libraryforum.kr)>.
  2. 6.2 지방선거 공약분석게시판 [online]. [cited 2010.2.10]. <포럼 문화와도서관 (www.libraryforum.kr)>.
  3. 권혜영. 1991. 제13대 국회의원선거공보 내용분석-서울지역 42개 선거구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4. 김병식. 2002. 지방자치단체장의 선거공약과 공약이행평가에서 나타난 사회복지정책정향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보, 14(2)(통권38호): 201-217.
  5. 송근원. 1994. 제14대 정책 공약의 비교평가-보건, 사회, 여성분야. 경성대학교 논문집, 15(1): 145-170.
  6. 엄기홍. 2008. 광역단체장의 선거공약과 공약이행평가: 평가지수 개발. 한국정당회보, 7(2): 217-238.
  7. 윤지웅. 2010. 새로운 정책공약 평가지표 및 방법에 대한 탐색적 접근. 2010 한국정책학회 춘계학술대회. 2010년 4월 16일. 서울: 한국정책 학회. 자료집: 297-326.
  8. 이영탁. 2002. 평가지표를 통한 역대 대통령의 업적 평가 - 취임사에 나타난 공약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9. 이 장. 1992. 14대 대통령선거 각 정당의 국가안보정책 공약에 대한 비교평가. 사회과학연구(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5: 159-178.
  10. 정대연. 1997. 사회과학방법론 사전. 서울: 백의출판사.
  11. 정창무, 용해경, 이현석. 2002. 도시개발공약이 광역자치단체장 선거에 미친 영향. 도시연구, 8: 234-252.
  12. 황경수. 2002. 제주도 지방선거 교통분야 공약의 지역별 차이 및 당선과의 관계분석. 한국지방자치학회보, 14(2)(통권38호): 219-236.

Cited by

  1. 부산시 공공도서관의 운영현황 및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vol.43, pp.4, 2011, https://doi.org/10.16981/kliss.43.4.201212.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