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valuation of A Youth Reading Promotion Program: Focusing on '1318 Bookworm Program'

청소년 독서진흥 프로그램 운영평가 - '1318 책벌레들의 도서관 점령기'를 중심으로 -

  • 하은혜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 장윤금 (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권나현 (명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Received : 2011.05.20
  • Accepted : 2011.06.14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is study purposed to evaluate a youth reading promotion program that is designed and operated by the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 Young Adults. The study specifically assessed the '1318 Bookworm Program' by conducting an in-depth survey and a focus group interview for school librarian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program between 2007 and 2010. According to the study findings, the program participant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program outcomes. The librarians believed that the program brought positive effects on the cognitive,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s of the participated teens. Among the 1318 program operation process, namely designing, planning, and implementation, both planning and implementation processes were the determining factors for the outcome satisfaction. Finally, study participants expressed the needs for increasing the number of the certified professional school librarians active in the field, expanded organization structure, and further research on youth reading promotion programs in order to facilitate the program support and to enhance its efficiency. They also suggested diversified program contents development and the dissemination of manuals for youth reading promotion programs.

본 연구는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이 청소년의 독서흥미를 고취하기 위하여 전국 학교도서관을 대상으로 수행하고 있는 청소년 독서진흥 프로그램의 운영을 심층적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07년부터 2010까지 이루어진 '1318 책벌레들의 도서관점령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교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그 운영전반에 대한 체계적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또한 독서진흥 프로그램의 경험이 풍부한 학교도서관 사서들과의 표적집단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조사분석 결과 첫째, 사업성과에 대한 응답자의 만족도는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학생들의 인지, 정서, 사회성 발달에 효과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둘째, 기획과정, 계획과정, 운영과정의 만족도 중 계획과정, 운영과정의 만족도가 성과만족도를 예측하는 영역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서술형 문항에서 프로그램의 원활한 지원과 효율성을 위해 전문인력 충원 및 연구와 조직 확대의 필요성이 거론되었으며 다양한 콘텐츠 및 매뉴얼 개발과 보급 등이 제언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철완. 2005. 학교도서관 활성화 사업에 대한 효과분석과 만족도 조사연구.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2.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2007. 연차보고서 2006-2007. 서울: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3.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2008. 연차보고서 2007-2008. 서울: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4.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2009. 연차보고서 2008-2009. 서울: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5.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2010. 연차보고서 2009-2010. 서울: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6. 김영석. 2007. 우리나라의 효율적인 공공도서관 확충 방안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1): 29-48.
  7. 장윤금. 2010.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전략적 추진과제 운영 평가 및 발전방안 연구. 서울: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8. 정형숙. 2006.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업적 자아개념 및 학습습관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학과.
  9. 조미아. 2006.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독서교육의 영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10. 조현성. 2006.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중장기 발전방안. 서울: 문화관광정책연구원.
  11. 최상희. 2009. 공공도서관의 독서 프로그램 운영 현황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 2009(-): 203-210.
  12. 한윤옥. 2008. 독서교육과 자료의 활용.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13. Lance, K. C., Hamilton-Pennell, M. J. Rodney, and J. Marcia. 2000. Information Empowered: The School Librarian as an Agent of Academic Achievement in Alaska Schools. Revised Edition. Anchorage, AK: Alaska State Library.
  14. Lance, K. C., M. J. Rodney, and C. Hamilton-Pennell. 2002a. How School Librarians Help Kids Achieve Standards: The Second Colorado Study. Spring, TX: Hi Willow Research and Publishing.
  15. Lance, K. C., M. J. Rodney, and C. Hamilton-Pennell. 2002b. How School Librarians Improve Outcomes for Children: The New Mexico Study. Sante Fe, NM: New Mexico State Library.
  16. Lance, K. C., M. J. Rodney, and C. Hamilton-Pennell. 2005. Powerful Libraries Make Powerful Learners: The Illinois Study. Canton, Il: Illinois School Library Media Associations.
  17. Lance, K. C., M. J. Rodney, and B. Russell. 2007. How Students, Teachers, and Principals Benefit from Strong School Libraries: The Indiana Study. Indianapolis, IN: Association for IndianaMedia Educators.
  18. Lance, K. C., M. J. Rodney, and B. Schwarz. 2009. How Idaho Librarians, Teachers, and Administrators Collaborate for Student Success. Idaho: Idaho Commission for Libraries.
  19. Miller, J., J. Want, and L. Whitacre. 2003. Show me Connection: How School Library Media Center Services Impact Student Achievement. Jefferson City, MO: Missouri State Library.
  20. Rodney, M. J., K. C. Lance, and C. Hamilton-Pennell. 2002. Make the Connection: Quality School Library Media Programs Impact Academic Achievement in Lowa. Bettendorf, IA: Mississippi Bend Area Education Agency.
  21. Rodney, M. J., K. C. Lance, and C. Hamilton-Pennell. 2003. The Impact of Michigan School Librarians on Academic Achievement: Kids Who Have Libraries Succeed. Lancing, MI: Libraries of Michigan.
  22. Smith, E. G. 2001. Texas School of Libraries: Standards, Resources, Services, and Students' Performance. Austin, TX: EGS Research & Consulting.
  23. Sullivan, A. K. and H. R. Strang. 2003. "Bibliotherapy in the Classroom: Using Literature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Child Education, 79(2): 74-80.
  24. Todd, R. J., C. C. Kuhthau, and OELMA. 2004. Student Learning through Ohio School Libraries: The Ohio Research Study. Columbus, OH: Ohio Educational Library Media Association.

Cited by

  1. 청소년의 도서관이용이 민주시민역량에 미치는 영향 vol.23, pp.4, 2011, https://doi.org/10.14699/kbiblia.2012.23.4.199
  2. 공공도서관 독서마라톤 프로그램이 독서량과 도서관 이용빈도에 미치는 영향 vol.44, pp.2, 2011, https://doi.org/10.16981/kliss.44.2.201306.97
  3. 청소년 독서유효성 영향요인 연구 vol.45, pp.3, 2011, https://doi.org/10.16981/kliss.45.3.201409.271
  4. 청소년의 도서관 인식 및 정보원 이용에 관한 조사연구 vol.49, pp.3, 2011, https://doi.org/10.4275/kslis.2015.49.3.351
  5. 도서관에 대한 인식과 정보 이용 분석 연구 - 청소년과 대학생의 차이를 중심으로 - vol.26, pp.3, 2011, https://doi.org/10.14699/kbiblia.2015.26.3.291
  6.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독서문화진흥사업에 대한 실증적 평가 연구 vol.50, pp.4, 2011, https://doi.org/10.16981/kliss.50.4.201912.273
  7.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의 독서문화진흥사업 평가와 스마트 시대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vol.31, pp.2, 2020, https://doi.org/10.14699/kbiblia.2020.31.2.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