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xamination of Pre-Menopause Women's Bone Mineral Density and Its Related Factors by Using the Dual-Energy X-Ray Absorptionmetry

이중에너지 X선 흡수계측법을 이용한 폐경 전 여성의 골감소증 관련요인

  • Yeo, Jin-Dong (Deparment of Radiological Technology, Sorabol College) ;
  • Jeon, Byeong-Kyu (Deparment of Radiological Technology, Daegu Health Collage)
  • Received : 2011.02.14
  • Accepted : 2011.02.22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actors that affect the bone mineral density of pre-menopause women by using the dual energy x-ray absorptionmetry, ultimately contributing to preventing women's osteoporosis that tends to be aggravated since menopause. Out of the subjects, 20.2% were suffering osteopenia. Age was found most important in estimating the level of bone mineral density. Meanwhile, the older women were, the significantly lower their bone mineral density was. It was found that taking exercise has a more positive effect on boss mineral density than not taking. Exercising in a suitable amount was helping women keep their bone mineral density better. Preferring meat to vegetarian diets were significantly affecting women's bone mineral density. Meanwhile, it was found that the shorter menstrual cycle is, the significantly lower bone mineral density is. A multi=regression analysis of bone mineral density and its related factors showed that the older women were, the significantly lower their bone mineral density was. In other words, age was found as the most risk factor of osteoporosis.

이중에너지 X-ray 골밀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폐경 전 여성들을 대상으로 골밀도에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폐경기 이후에 증가하는 골다공증의 예방에 기여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골감소증은 20.2%였으며, 골밀도 수치를 예측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인자는 연령 이었다. 연령이 높을수록 유의하게 낮은 골밀도를 보였다. 운동에 있어서는 운동을 안하는 것보다 운동을 하는 것이 골밀도에 더 좋은 영향을 미치며, 적정한 운동을 하는 것이 골밀도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생활에 따른 골밀도는 채식 위주의 식사보다는 육식위주의 식사를 선호하는 경우 골밀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생리주기가 짧을수록 골밀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골밀도와 관련요인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에서는 연령이 증가할 유의하게 골밀도가 낮게 나타나 연령이 골다공증의 위험요인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장준섭, 골조소증의 발생기전과 치료, 최신의학, Vol.31, No.1, pp.11-14, 1988.
  2. 정화재, 골조소증,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ol.2, No.1, pp.113-121, 1990.
  3. 임승길, 골다공증의 치료, 대한내과학회지, Vol.58, No.6, pp.698-702. 1998.
  4. 문명상, 최영길, 장준섭, 나수균, 김광원, 골다공증, 대한골대사학회, Vol.2, No.1, pp.12-13, 1991.
  5. Dikenson RP, Hutton WC, Scott JRR, The mechanical propertics of bone in osteoporosis. J. Bone and Joint Surg, Vol.63, No.B, pp.233- 243, 1981.
  6. Cooper C, Atkinson EJ, Incidence of clincally diagnosed vertebral fracture, a population based study in Rochester, Minnesota, Vol.7, No.2, pp.221-227, 1992.
  7. Alekel L, Clasey JL, Contributions of exerecise body composion, and age to bone mineral density in premenopusal women. Med Sci Sports Exerc, Vol. 27, No.11, pp. 1477-1485, 1995.
  8. Aloial JF, Vaswani AN, Yeh JK, Ross P, Ellis K, Cohn SH, Determinants of bone mass in postmenopausal women. Arch Intern Med, Vol.14, No.1, pp.1700, 1983.
  9. 장숙랑, 최영호, 최분기, 강성현, 정진 영, 최용준, 김동현, 춘천지역 폐경 후 여성 골다공증 유병율과 관련요인, 예방의학회지, Vol.39, No.5, pp.389- 396, 2006.
  10. Genant HK, Cooper C, Poor G, et al, Interim report and recommendations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Task-Force for Osteoporosis. Osteroporos Int, Vol.10, pp.259-264, 1999. https://doi.org/10.1007/s001980050224
  11. 임수, 신찬수, 김기수, 김수연 ,농촌지 역 50세 이상 남녀인구에서의 요골 과 종골의 골밀도 인자, 대한내분비학회지, Vol.18, No.2, pp.193-205, 2003.
  12. 안명환, 박동구, 이동철 서재성, 김세동, 안종철, 연령증가에 따른 골밀도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탐 색적 연구,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 28, No.7, pp.2369-2379, 1993.
  13. May H, Murphy S, Khaw KT, Alcohol consump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in older men. Gerontolgy, Vol.41, No.3, pp.152-158, 1995. https://doi.org/10.1159/000213676
  14. 오한진, 갱년기 골다공증의 치료, 가정의학회지, Vol.21, No.1, pp.20-27, 2000.
  15. Heaney RP, Gallagher JC, Jhohston CC, Neer R, Parfitt AM Whedon GD, Calcium nutrition and bone health in the elderly. Am J Clin Nutr, Vol.36, pp.986-990, 1982. https://doi.org/10.1093/ajcn/36.5.986
  16. 배성욱, 폐경 전 후 여성이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경산대학교 보건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17. Massey LK, Whiting SJ, Caffeine, urinary, calcium, calcium metabolism and bone. Journal of nutrition, Vol.123, No.9, pp.1611-1614, 1993.
  18. 박미혜, 폐경기 여성에서 골다공증 위 험인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994.
  19. 우선옥, 배상수, 김동현, 여성골다공증 의 위험요인에 관한 환자 대조군 연구, 예방의학회지, Vol.28, No.3, pp. 606-622, 1988.
  20. 이종석, 백지선, 구은주, 배철영, 신동 학, 폐경여성의 골다공증에 관한 조사, 가정의학회지, Vol.15, No.2, pp.113-120, 1994.

Cited by

  1. The Bone Mineral Density Impact Factors of Adult Women before the Menopause - based on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vol.9, pp.3, 2015, https://doi.org/10.7742/jksr.2015.9.3.147
  2. 복합운동이 폐경 전 성인여성의 신체조성 및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vol.11, pp.2, 2011, https://doi.org/10.7742/jksr.2017.11.2.145
  3. 복합운동이 폐경 전 성인여성의 신체조성 및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vol.11, pp.2, 2011, https://doi.org/10.7742/jksr.2017.11.2.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