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Factors of Related towards Cognition and Attitudes to the Brain Death

뇌사에 대한 인지와 태도에 관련된 요인

  • Received : 2011.03.03
  • Accepted : 2011.03.16
  • Published : 2011.03.30

Abstract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basic data on brain death by analyzing factors of influencing toward attitude to brain death subject to citizens of Busan City. The data was collected for 47 days from 14 July to 31 August, 2009. Among a total of 2200 cases of the questionaries, only 2042 cas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SPSS 17.0 was used, and for the specific analysis method frequency analysis to underst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In addition, examination on T-test and ANOVA analysis were conducted after analyzing the factors for participants' consciousness on brain death,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understanding of relations between participants' will to brain death and gener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ttitudes towards brain death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as high in those with will to donate their organs than those without in the attitude factors, namely, death recognition, acceptive, exclusive and religious attitude factors. Second, Significant variables for effects of attitudes towards brain death were gender, patients or their family's chronic or incurable diseases, religion, occupation and death recognition, acceptive, and exclusive attitude factors.

Keywords

References

  1. 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2010), 2009 장기이식 통계연보, pp.15-52.
  2. 황병덕, 임복희, 정웅재(2011), 부산시민의 장기기증의사에 관련된 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2(1);341-350.
  3. 법제처(2010), 장기등 이식에 관한 법률, 법률 제10334호(2010. 5.31).
  4.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2011), (http://www.konos.go.kr).
  5. 이종갑(2010), 존엄사와 안락사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 Vol.18(2);349-374.
  6. 강희영(1999), 뇌사와 장기기증 및 장기이식에 대한 간호학생의 지식과 태도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5(1);7-19.
  7. 이진아, 김소윤(2008),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의과대학생의 지식과 태도 연구, 대한이식학회지, Vol.22(1);120-129.
  8. 김명규, 정종철, 조은진, 허규하, 양재석, 변년임, 윤진숙, 방기태, 정홍수, 하종원, 김순일, 조원현, 안규리(2010), 뇌사 장기이식활성화를 위한 우리나라 장기이식운영 및 관리체계, 대한이식학회지, Vol.24(3);147-158.
  9. 안진환 역(2010), 넛지, 리더스북, pp.276-286.
  10. 권영미, 윤은자(2000). 장기공여와 이식에 대한 일반인의 주관적 특성. 대한간호학회지, Vol.30(6);1437-1454.
  11. 하희선, 홍정자, 김송철, 이승규, 송명근, 한덕종(2001),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담당의사의 관심 및 태도조사 연구, 대한이식학회지, Vol.15(1);51-57.
  12. 박양진, 강현진, 김은만, 신우영, 이남준, 서경석, 안규리, 윤병우, 박연호, 이정남, 김지현, 민승기, 김상준, 하종원(2009), 생명 연결본부: 능동적인 잠재뇌사자 발굴 신고 및 뇌사장기기증자 관리체계 구축, 대한이식학회지, Vol.23(1);43-51.
  13. 부산광역시(2009), 2009 시정백서, p.8.
  14. 주애은(1995). 뇌사, 장기기증 및 이식과 관한 장기기증희망자의 지식, 태도, 한림대학교 간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강희영(1999), 뇌사와 장기기증 및 장기이식에 대한 간호학생의 지식과 태도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5(1);7-19.
  16. 박봉임(2001),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과 뇌사 및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 고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오난숙, 박재용, 한창현(2006), 뇌사와 장기기증에 대한 대학생의 지식 및 태도-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대한보건연구, Vol.3(2);85-93.
  18. 박창균, 박광민, 이영주, 황신, 김기훈, 안철수, 문덕복, 오기봉, 조성훈, 하태용, 김건국, 김연대, 이승규(2003), 뇌사 장기기증자에서의 장기 구득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대한이식학회지, Vol.17(1);220-226.
  19. 이재명, 이영주, 경규동, 임용철, 오창권, 안정환, 민영기, 김지혜, 이미영(2010),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 출범 이후 단일기관의 10년 뇌사 기증자의 임상적 분석, 대한이식학회지, Vol.24(1);196-203.
  20. Sheldon F. Kurtz, Michael J. Saks(1996), The Transplant Paradox: Overwhelming Public Support for Organ Donation vs Under-Supply of Organ: The Iowa Organ Procurement study, Journal of Corporation Law, Vol.21;767-806
  21. Eric J. Johnson, Goldstein. Daniel(2003), Do defaults Save Lives, Science, Vol.302;1338-1339. https://doi.org/10.1126/science.1091721
  22. 서영심, 이영희(2009), 장기기증희망자의 장기기증과 장기이식에 대한 지식과 태도, 임상간호연구, Vol.15(3);95-105.
  23. 김동진(2003),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Goz, F., Goz, M. and Erkan M.(2006), Knowledge and attitudes of medical, nursing, dentistry and health technician students towards organ donation: a pilot stud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15(1);1371-1375. https://doi.org/10.1111/j.1365-2702.2006.01431.x

Cited by

  1. Attitude Favorability towards Organ Donation in Family Members of Brain Dead Organ Donors vol.28, pp.4, 2014, https://doi.org/10.4285/jkstn.2014.28.4.219
  2.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존엄사에 대한 태도요인 vol.5, pp.2, 2011, https://doi.org/10.12811/kshsm.2011.5.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