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mployees' Sanitation Practice Level and Sanitation Knowledge at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in Chungbuk Province

충북지역 학교급식 조리종사자의 위생지식과 위생관리 수행수준

  • Han, Jung-Sook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Lee, Young-Eu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1.01.27
  • Accepted : 2011.05.26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mployees' practice levels and knowledge of sanitation at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to examine the sanitation conditions of current school foodservice, and to suggest an effective sanitary training program.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578 subjects and 501 reponses were made available for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of windows. The main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raining through handouts was the most effective (53.2%) and lack of time caused by overwork (57.1%) made the practice of sanitation training difficult. The degree of employees' perceptions of the necessity of sanitary training programs was marked at 4.18 points. According to the foodservice employees' evaluation about the knowledge of sanitation concerning the sanitary training program contents, the area of environmental sanitation (96.3%) was the highest while food poisoning control (72.9%) was lowest. Foodservice employees' practice levels was ranked above 4 points (out of 5 points) in 9 areas. Practice levels of cleaning and disinfection management were highest while that of safety management was lowest. About the food service employees' practice levels of sanitation, the degree of practice and the application of knowledge was 4.39 points.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ractice level of sanitation and sanitation knowledge(p<.01). Thus, educational material needs to be standardized in order to improve employees' sanitation practice level.

Keywords

References

  1. 곽동경. (1999). 급식산업의 HACCP도입 필요성 및 발전 전망. 식품산업과 영양, 14(3), 1-13.
  2. 곽동경, 조유선, 이해상. (1994). 탁아기관 급식관계자 대상 위생교육 효과 평가.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9(3), 251-257.
  3. 교육과학기술부. (2004). 학교급식개선종합대책(2003∼2007).
  4. 교육과학기술부. (2005). 학교급식위생관리지침서(2005년 2차 개정판).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5. 교육과학기술부. (2007). 학교급식종합개선대책(2007-2011).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6. 교육과학기술부. (2008). 2008년 급식위생․안전점검 항목별 평점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7. 교육과학기술부. (2008). 학교급식위생관리지침서. 서울:교육과학기술부.
  8. 김미경. (2005). 학교급식의 조리종사자의 HACCP시스템에 대한 지식 및 수행수준 연구-경북지역 직영급식 학교 중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선옥. (2006). 병원급식 조리종사자들의 위생관리 수행도 및 위생지식에 대한 비교 분석.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김소희, 이용우. (2001). 부산지역 대학 및 사업체 급식소의 위생관리 수행 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안전성학회지, 16(1), 1-10.
  11. 김숙희, 이경애, 유춘희, 송요숙, 김우경, 윤혜려, 김주현, 이정숙, 김미경. (2003). 급식유형에 따른 중․고등학생의 학교급식 만족도. 한국영양학회지, 36(1), 211-222.
  12. 김신영. (2000). 서울지역 초등학교 조리종사자의 위생관리 수행도 평가. 동덕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김정은. (2007). 학교급식의 조리종사원의 HACCP 위생교육이 위생실천에 미치는 영향-경기남부지역 직영학교중심으로-.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남은정, 김현희, 박유한, 신은경, 이연경. (2005). 단체급식소 조리종사자를 위한 위생교육매체(CD-ROM)개발 및 평가.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5), 615-620.
  15. 류경. (2000). HACCP 시스템을 적용한 작업공정별 위생관리. 국민영양, 7, 2-3.
  16. 류은순. (1999). 부산․경남지역 사업체 급식 종사자들의 위생적인 작업수행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8(4), 942-947.
  17. 류은순, 장혜자. (1995). 단체급식소 조리종사자의 위생습관에 관한연구.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11(3), 274-281.
  18. 배현주. (2005). 급식소 HACCP 관리항목에 대한 영양사의 중요성 인지도 평가.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11(1), 105-113.
  19. 보건복지가족부. (2004). 식품위생법.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20. 송동희. (2006). 서울지역 일부 레스토랑 종사자의 식품위생 관련 지식 및 수행도 평가.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송임숙. (2007). 학교급식조리종사자의 HACCP관련 지식 및 수행도 분석,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식품의약품안전청. (2005). 식중독발생현황에 관한 통계자료.
  23. 양향숙, 한은희, 손희숙, 노정옥. (2006). 전주지역 학교급식에서의 위생교육 실시현황에 대한 연구. 한국가정과학회지, 9(3), 81-87.
  24. 어금희. (1999). 초등학교 급식 조리종사자들의 위생개념 및 교육의 필요성평가.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어금희, 류경, 박신정, 곽동경. (2001). 초등학교 급식 조리종사자의 위생지식 검사를 통한 교육 필요성 평가.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7(1), 56-64.
  26. 오정희. (2005). 인천지역 HACCP적용 급식학교 영양사와 조리종사원의 위생지식 및 위생관리 실태연구.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윤미현. (2004). 포항지역 학교급식의 HACCP 시스템적용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이경은, 류경. (2004). 고등학교 급식 조리종사자들의 위생교육경험과 위생지식 및 실천과의 관계.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9(5), 597-605.
  29. 이숙희, 유경민. (2006). 학교급식 조리사의 직무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학회지, 12(1), 22-36.
  30. 이영은. (2006). 충청북도지역 학교급식의 위생교육 운영현황에 및 조리종사원의 실천수준 평가.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12(1), 68-81.
  31. 이윤주. (2003). 인천지역 단체급식소별 조리종사자의 위생실천도 및 위생지식 비교조사.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9(1), 22-31.
  32. 이지현, 고유경, 박기환, 류경. (2007). 서울지역 학교급식 위생관리 수행수준. 대한지역 사회영양학회지, 12(3), 310-321.
  33. 정혜숙. (2004). 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HACCP)적용제품 사용과 학교급식 위생적 안전상과의 관계연구.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조영란. (2000). 일부 집단 급식소 조리종사자의 위생실천도 및 지식조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최정화. (2000). 학교급식에 HACCP 시스템 적용을 위한 교육실행 사례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충청북도교육청. (2008). 2008년 학교급식운영현황. 충청북도: 충청북도교육청.
  37. 한은희. (2003). 전주지역 학교급식 조리종사자의 위생지식 및 위생관리 수행수준 평가.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한은희, 양향숙, 손희숙, 노정옥. (2005). 전주지역 학교급식 조리종사자의 위생 지식과 위생관리 수행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14(1), 124-130.
  39. 허우연. (2006). 단체급식 조리종사자의 위생태도. 지식 및 실행도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0. 홍완수, 임정미, 최영심. (2008). 서울지역 초등학교 급식조리종사자의 위생관리 수행 및 위생교육 평가.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14(4), 382-395.
  41. 홍종해, 이용욱. (1992). 식품접객업소의 위생개선을 위한 검사항목 개발과 응용에 관한 연구: HACCP모델을 이용한 기여인자 분석방법으로.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7(2), 219-231.
  42. Albrech, J. A., Summer, S. S., & Hemmeman, A. (1992). Food safety in child care facilities. Dairy Food and Environmental Sanitation, 12(12), 740-743.
  43. Barrett, B., Penner, K., Blakeslee, K., & Saver, K. (1998).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training for foodservice operators in Kansas. Dairy Food and Environment Sanitation, 18(4), 206-211.
  44. David, M. S., Rue, N., & Linton, R. (2001). Essentials of food safety and sanitation. NJ: Prentice Hall.

Cited by

  1.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Sanitary Knowledge and Sanitary Management Performance of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in Gyeongnam vol.42, pp.7, 2013, https://doi.org/10.3746/jkfn.2013.42.7.1139
  2. Foodservice Operational System and Satisfaction of Customers with Foodservice at Youth Facilities vol.44, pp.9, 2015, https://doi.org/10.3746/jkfn.2015.44.9.1374
  3. Survey on sanitary knowledge level and degree of HACCP practice in culinary staff employed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Chungnam province vol.47, pp.4, 2014, https://doi.org/10.4163/jnh.2014.47.4.300
  4.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 of Sanitation Management in Workers at Small and Medium Foodservice Industries Using HACCP Prerequisites vol.45, pp.10, 2016, https://doi.org/10.3746/jkfn.2016.45.10.14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