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Mindfulness and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of the Marital Middle-aged Women

중년기여성의 삶의 기대, 마음챙김,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이희연 (서울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전혜성 (고려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1.03.23
  • Accepted : 2011.07.11
  • Published : 2011.07.28

Abstract

This paper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mindfulness and social support of marital middle-aged women on depression. This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2009 to June, 2009 and 182 responses from the survey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s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earch findings could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s. First, the mean score of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mindfulness, social support of the marital middle-aged women were higher, while, the mean score of depression are lower relatively. Second, among the main factors,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social support were the significant predictor to explain depression of marital middle-aged women. Third, the depression of marital middle-aged women was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mindfulness.

본 연구는 중년기 여성의 우울을 감소시키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삶의 기대, 마음챙김, 사회적 지지의 영향력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1개의 원격대학에서 2009년 3월에서 6월까지 중년기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는 총 182부이며 SPSS 15.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및 ANOVA 분석, Pearson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삶의 기대(p<.001), 사회적 지지(p<.05)가 중년기여성의 우울에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즉, 우울수준이 높아지고, 삶의 기대가 높을수록, 사회적지지가 높을수록 우울수준이 낮았다. 한면, 마음챙김 변인은 우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년기 여성의 우울 감소를 위한 실천적인 개입방법에 대한 제언과 가족내 중년기 여성들의 정신건강 증진이 가족전체에 미칠 긍정적인 영향을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연합신문(www.yonhapsisanews.com), 2010.
  2.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신경정신의학, 하나의학사, 1997.
  3. 김교헌, "한국 청소년의 우울과 자살". 한국심리학회지:사회문제, 제17권, 제10호, pp.55-68, 2003.
  4. 오명옥, 고효정, 박청자, "중년기 여성의 위기감과 자아 정체감과의 관계". 한국모자보건학회지, 제4권, 제1호, pp.17-31, 2000.
  5. 김영숙, 최규련, "중년기여성의 내적통제성과 자아존중감이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가족관계학회지, 제11권, 제3호, pp.173-199, 2006.
  6. 박명희, "중년기 여성의 실존적 영적 안녕과 희망, 자아힘 돋우기(self-empowerment)",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9권, 제2호, pp.222-233, 2003.
  7. 임효영, 김경신, "중년기 기혼여성의 사회적지 원망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제39권, 제12호, pp.189-203, 2001.
  8. 오명자, 김병욱, 김미례, "중년기 여성의 주부생활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3권 제4호, pp.499-520, 2008.
  9. B. L. Fredrikson, "Cultivation positive emotion to optimize health and wellbeing," Prevention and treatment, Vol.3, pp.1-24, 2000. https://doi.org/10.1037/1522-3736.3.1.31a
  10. S. L. Shapiro, J. A. Astin, S. R. Bishop, and M. Cordova, "Mindfullness based stress reduction for health care," Stress management, Vol.13, No.2, pp.164-175, 2005.
  11. R. A. Baer, G. T. Smith, J. Hopkins, J. Krietemeyer, and L. Toney, "Using self-report assessment methods to explore facets of mindfullness assessment," Vol.13, No.1, pp.27-45, 2006. https://doi.org/10.1177/1073191105283504
  12. 김정호, "삶의 만족 및 삶의 기대와 스트레스 및 웰빙의 관계: 동기상태이론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2권, 제2호, pp.325-345, 2007.
  13. Kabet-Zinn. 명상과 자기치유(상,하). Full catastrophe using the wisdom of your body and mind to face stress, pain and illness, 장현갑, 김교헌 공역. 서울:학지사, 1998.
  14. J. House, The Nature of Social Support in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M.A: Addison Wesley, 1981.
  15. I. G. Sarason, G. R. Pierce, and B. R. Sarason, "Social Support and Interactional Processes: A Triadic Hypothesis," J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Vol.7, pp.495-506, 1990. https://doi.org/10.1177/0265407590074006
  16. K. K. Trobst, R. L. Collins, and J. M. Embree, "The Role of Emotion in Social Support Provision: Gender, Empathy and Expressions of Distress," J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Vol.11, No.1, pp.45-62, 1994. https://doi.org/10.1177/0265407594111003
  17. A. DeLongis and S. Holtzman. "Coping in context: The role of stress, social support, and personality in coping," J of Personality, Vol.73, pp.1-24, 2005. https://doi.org/10.1111/j.1467-6494.2004.00302.x
  18. G. S. Passage : Predictable Crisis of Adult life. N.Y. : Dutton, 1976.
  19. M. Fooden, Women's mental health. New York: Gordian Press, 1993.
  20. A. T. Back, Depression: Causes and treatment.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69.
  21. V. E. Frankle,. 로고세라피의 이론과 실제. The Will to Meaning: Foundations and applications of Logotherapy, 이봉우역. 분도출판사. 1990.
  22. 박금자, 이경혜, "중년여성의 우울 구조모형",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8권, 제1호, pp.69-84.
  23. 박성현, 마음챙김 척도 개발.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24. J. Teasdale, Z. Segal, J. Williams, V. Ridgeway, J. Soulsby, and M. A. Lau, "Prevention of relapse/recurrence in major depression by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J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68, No.4, pp.615-623, 2000. https://doi.org/10.1037/0022-006X.68.4.615
  25. S. R. Bishop, M. Lau, S. L. Shapiro, L. Carlson, and F. Anderson, Mindfulness: A proposed operational definition,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in press), 2004. https://doi.org/10.1093/clipsy.bph077
  26. 원두리, 김교헌, "한국판 5가지 요인 마음챙김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건강, 제11권, 제4호, pp.871-886, 2006.
  27. 전겸구, 김교헌, "한국 주부의 생활스트레스와 대처양상", 한국심리학회지:건강, 제8권, 제1호, pp.1-39, 2003.
  28. 신희석, "생의 의미가 중년 주부의 우울 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7권, 제1호, pp.29-45, 2000.
  29. N. Mascaro and D. H. Rosen, "Existential meaning's role in the enhancement of hope and prevention of depressive symptoms," J of Personality. Vol.73, pp.985-1014, 2005. https://doi.org/10.1111/j.1467-6494.2005.00336.x
  30. 현경자, "역경 극복을 돕는 성인 한국인의 긍정성 탐색: 긍정적 태도 척도 개발과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제23권, 제2호, pp.13-32, 2009.

Cited by

  1. Effects of the Social Activity and Leisure Activity of the Rural Elderly on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vol.14, pp.4,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4.189
  2. Influence of Spiritu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vol.26, pp.2, 2014, https://doi.org/10.7475/kjan.2014.26.2.181
  3. Factors Influencing Middle-aged Women's Depression vol.16, pp.1, 2016, https://doi.org/10.15384/kjhp.2016.1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