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frequencies of medicinal herb combinations in the prescriptions of "Bangyakhappyeon(方藥合編)"

"방약합편(方藥合編)" 수록(收錄) 처방(處方) 내(內)의 약물(藥物) 조합 빈도(頻度) 연구

  • Baek, Jin-Ung (Division of Humanties and Social Medicine,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Lee, Byung-Wook (Division of Humanties and Social Medicine,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백진웅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인문사회의학부) ;
  • 이병욱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인문사회의학부)
  • Received : 2011.06.27
  • Accepted : 2011.07.19
  • Published : 2011.07.25

Abstract

Through analyzing the frequencies of medicinal herb combinations in the prescriptions of "Bangyakhappyeon(方藥合編)", we coul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prescription composition and author's medical thoughts. So we conducted this study that analyze combination of 324 medicinal herbs in 467 prescriptions, and found meaningful combinations of 5,045. Among these, the most meaningful combination is the one of 10 herbs, 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Angelica gigas Nakai, Ziziphus jujube Mille, Atractylodes japonica Koidzumi, Poria cocas Wolf, Zingiber officinale, Rehmanniae radix preparata, Cinnamomum loureirii, Panax ginseng C.A.Meyer, Astragalus membranaceus. This combination is Sibjeondaebo-tang(Shiquandabu-tang) without Cnidium officinale and Paeonia japonica which compose Samul-tang(Siwu-tang). It means this combination is kind of modified Sibjeondaebo-tang(Shiquandabu-tang), which is more effective in tonifying qi than tonifying blood. Prescriptions of "Bangyakhappyeon(方藥合編)" involve herbs mostly used to improve weak and frail health and the herbs which are more effective in tonifying qi than tonifying blood. Through this study, we know the author' s one of medical view points on tonifying qi and blood, attaching importance to tonifying qi relatively to tonifying blood.

Keywords

References

  1. 강성용, 최민호, 변재영, 한종현. 方藥合編에 收錄된 藥物의 頻度調査. 원광한의학회지. 1991. 제1권 1호. pp.19-31.
  2. 金亨泰, 尹暢烈. 方藥合編에 대한 연구. 대한한의학원전학회. 1991. 제5권. p.171, 193. pp.151-199.
  3. 김상찬, 변준석. 黃芩 片芩 및 條芩의 處方例에 關한 文獻的 考察(方藥合編의 上中下統 處方을 中心으로). 동서의학지. 1998. 제23권 4호. pp.78-100.
  4. 이선아, 이시형. 黃度淵의 方藥合編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의학지. 2001. 제11권 1호. pp.101-109.
  5. 송인선, 오민석, 송태원. 附子를 包含하는 方藥合 編處方에 대한 考察.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001. 제10권 1호. pp.323-336.
  6. 이중휘, 송태원, 오민석. 方藥合編에 收錄된 痺證處方에 對한 硏究.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001. 제10권 1호. pp.375-383.
  7. 박민철, 최인화. 方藥合編 皮膚外科 處方에 대한 分析. 대한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3. 제16권1호. pp.42-62.
  8. 염현식, 김희수. 方藥合編 下統 方劑의 病症 및 病理 活用에 대한 考察.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2003. 제11권 1호. pp.45-55.
  9. 박종찬, 이장천, 국윤범, 염현식, 윤용갑. 方藥合編 中 蒼朮이 配伍된 方劑의 活用에 대한 考察.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2003. 제11권 2호. pp.41-60.
  10. 조대연, 김영일, 이용숙, 강성현, 박종찬, 노의준, 윤용갑. 方藥合編 中 婦人科에 관련된 方劑의 활용에 대한 고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4. pp.1543-1547.
  11. 황상준, 오민석, 송태원. 桃仁 및 紅花를 포함하는 方藥合編 處方에 대한 考察.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004. 제13권 1호. pp.311-320.
  12. 이주호, 윤일지, 오민석. 方藥合編中 羌活 및 獨活을 포함하는 處方에 대한 考察.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005. 제14권 1호. pp.167-177.
  13. 한주원, 오민석. 方藥合編中 牛膝 및 續斷을 포함하는 處方에 대한 考察.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005. 제14권 1호. pp.179-186.
  14. 배재현, 윤일지, 오민석. 方藥合編中 生薑 및 大棗를 포함한 處方에 대한 考察.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006. 제15권 2호. pp.211-230.
  15. 신홍중, 조연행, 조창환, 오민석. 方藥合編中 遠志 및 石菖蒲를 포함한 處方에 대한 考察.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006. 제15권 2호. pp.231-238.
  16. 임영환, 국윤범. 生薑 三片과 大棗 二枚의 사용에 대한 考察 (方藥合編을 중심으로).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2006. 제14권 1호. pp.1-10.
  17. 최재영, 오민석. 方藥合編處中 鹿茸을 포함하는 處方에 대한 考察.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006. 제15권 1호. pp.161-167.
  18. 한영수, 박갑규, 엄희정, 오민석. 方藥合編 中 大黃 및 梔子를 포함하는 處方에 대한 考察.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006. 제15권 2호. pp.247-261.
  19. 이상현. 方藥合編 上統 處方에 대한 方劑學的 考察.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2009. 제17권 1호. pp.1-16.
  20. 김지훈, 구병수, 김근우. 方藥合編에 수재된 神經 精神科 관련 주요 處方에 대한 硏究.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9. 제20권 1호. pp.89-106.
  21. 黃度淵 原著, 李泰浩 編著. 新訂對譯 方藥合編(大). 서울. 행림출판사. 1992. p.133.
  22. 康舜洙. 바른 方劑學. 서울. 대성문화사. 1996. pp.200-201.
  23. 張介賓 著, 安永敏 譯. 景岳全書. 서울. 한미의학. p.26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