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arine Debris in Coastline : Daekwang Beach In Imja Island, Jeollanam-Do, Korea

해안표착물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전라남도 신안군 임자도 대광해수욕장

  • 장선웅 (부경대학교 공간정보시스템공학과) ;
  • 오승열 (부경대학교 공간정보시스템공학과) ;
  • 김대현 (오션테크) ;
  • 윤홍주 (부경대학교 공간정보시스템공학과)
  • Received : 2011.04.05
  • Accepted : 2011.06.23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A study on the occurrence and movement of marine debris is required for protecting the marine environment and ecosystem from marine pollu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how annual production and movement characteristics through analysis for the flow path, composition and the sources of marine debris. This study analyzed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marine debris collected in the region of $100\;m{\times}20\;m$($=2,000\;m^2$) at the Daekwang Beach in the Yellow Sea. During the collection period from 2008 to 2010, the total weight of the marine debris was 1,445 kg in this site. The most marine debris was plastic amounting to 46.5% of the whole collection; the rest were styrofoam(20%) and wooden material(12.6%). The amount of marine debris mused from foreign country observed 155.5 kg, more than 90% of them was plastic came from China such as buoys. Additionally, this study analyzed seasonal change if marine environment to understand occurrence amount change if marine debris. 2009 and 2010 was high occurrence ratio in season that the north wind is very strong and the occurrence rate appeared highest by 40% in the summer(July) of 2008 that appeared westbound tidal current. Overall, marine Debris mused from foreign country was high occurrence ratio in January, May and then November has a lot of quantity secondly. While, occurrence ratio was the highest by 46% summer(July) in 2008, but in 2009 and 2010 showed the lowest rate to 4%.

해양오염으로부터 해양환경 및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해양쓰레기 발생 및 이동에 관한 집중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해안표착물의 조성과 발생원 분석을 통해 연간 발생량 및 특성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전라남도 신안군 임자도 대광해수욕장을 대상으로 $100\;m{\times}20\;m$($=2,000\;m^2$) 구역을 설정하여 분포량 및 발생 특성을 분석한 결과,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총 1,445 kg의 해안표착물이 수거되었다. 가장 많은 양을 차자하는 품목은 플라스틱으로서 평균 46.5%, 스티로폼 20%, 목재 12.6% 등으로 나타났다. 외국 기인 발생량은 총 155.5kg으로 이중 90% 이상이 플라스틱류로 대부분 중국 기인의 플라스틱과 어업용 부표였다. 한편, 해안표착물의 발생량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해양 환경의 계절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2009년과 2010년은 북풍 계열의 풍향과 풍속이 우세한 계절에 발생 비율이 높았으며, 2008년은 조류의 흐름이 타 연도의 동일 계절과 달리 서향의 왕복성 흐름을 보인 여름철(7월)에 발생률이 40%(409개)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외국 기인 해안표착물의 계절별 변화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1윌, 5월에 발생률이 높았으며 11월이 다음으로 많은 양을 차지하였다. 한편, 2008년에는 여름철 (7월) 발생률이 46%로 가장 높은 데 비해 2009년과 2010년에는 4%의 가장 낮은 비율을 보임으로서 상반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상숙, 강화영(2005), 전남지역 해안에서 수거한 바다쓰레기 발생량 및 성상분석, 한국폐기물학회지, 제22권, 제2호, pp. 203-212.
  2. 이영복, 박순, 류청로, 김헌태, 윤한삼(2007), 낙동강 하구 사주 해안에서 수거한 쓰레기 종류 및 분포량 추정,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제10권, 제3호, pp. 148-154.
  3. 전혜진, 안희수(1997), 조석잔차류와 해상풍에 의한 황해와동 중국해의 해수 순환과 부유물 이동 모델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제18권, 제6호, pp. 529-539.
  4. 정일현, 김대기, 박현주, 이충만(2008), 신안군 도서지역의 해양쓰레기 발생량 기초조사,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연구회발표논문집, pp. 172-175.
  5. 조동오(2004), 해양폐기물의 국가간 이동에 관한 APEC의 동향 및 대응방향, 해양수산동향. 제1128권, pp. 1-10.
  6. 한국해양수산개발원(2001), 해양환경보호정책 집행의 실효성 제고 방안, p. 177.
  7. 한국지질자원연구원(2003), 서해 연안역 현생지질 및 육상 습지 연구, p. 236.
  8. 한국해양수산개발원(2004), 해양쓰레기의 국가 간 이동에 대한 정책방향 연구, p. 124.
  9. 해양수산부(2003), 해양폐기물 종합처리시스템 개발연구(V), p. 219.
  10. Alexander, C. R., C. A. Nittrouer, D. J. DeMaster, Y. A. Park and S. C. Park(1991), Macrotidal mudflats of the southwestern Korean coast : A model for interpretation of intertidal deposits. J. Sedim. Petrol., 61, pp. 85-824.

Cited by

  1.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technique for detecting beach litter using a Micro-Unmanned Aerial Vehicle vol.30, pp.3, 2014, https://doi.org/10.7780/kjrs.2014.30.3.2
  2. Behavior Characteristics of Foreign Marine Debris into the West Sea of Korea in Winter using Satellite Tracked Drifters vol.22, pp.4, 2019, https://doi.org/10.7846/jkosmee.2019.22.4.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