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stablishment and Application of Landscape Control Point Selection Method for Landscape Assessment of Urban Development Projects

도시개발사업의 경관평가를 위한 조망점 선정체계 구축 및 적용

  • Jang, Cheol-Kyu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ongHo Co. Ltd.) ;
  • Jung, Sung-Gwa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Kyung-Tae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Institut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1.05.29
  • Accepted : 2011.06.27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is study furnishes basis data for plan foundation and proper valuation of view by presenting objective and concrete selection standards and ways of Landscape Control Point(LCP) on valuation of development projects. To sum up the results of study, it establishes the prospect, publicity and direction of view as a selection standard LCP on precedent studies. The prospect, which includes visual range, direction of view, geographical features, and visibility, sets up as a valuation basis picking out the available places which have alterations according to direction and distance in practice. In the case of publicity, to select the place as there presentative area where public activities often happen than others, thirteen evaluation indexes including administration facilities, educational facilities, commercial facilities and so on. And variation of landscape is set up as an assessment index to know how much the land has changed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development. To apply the selection standards to sample places, the preliminary LCP is founded by analyzing both the prospect and published; a series of courses for selecting the final LCP is founded by analyzing the preliminary LCP and variableness of landscape on a basic of placed which have many alterations of view. At last, in the case of a selection system for LCP, the preliminary LCP is founded by analyzing both the prospect and publicity; a series of courses for selecting the final LCP is found by analyzing the preliminary LCP and variableness of landscape. Applying selection standards and the assessment index to the Sam-deok 3 residence improvement area, in the case of prospect, the southern distant view area has the largest extent. Next,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using the system of publicity show that a five-lane road is taking up the largest area. Hence, a total of 48 preliminary LCPs are set up by analyzing both the prospect and publicity. The results of analyzing landscape variation, one of the valuation indexes, show that Sam-deok dong around the post office has the highest rate of variation at 28.07%. Finally, three LCPs in each part, which are close range, middle range and distance view, are selected; thus, a total of nine LCPs are selected. The selected LCPs that go through a series of practical courses like a GIS program have a lot of professional opinions and are expected to secure objectivity of landscape assessment.

본 연구는 개발 사업의 경관평가에 있어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조망점 선정기준 및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올바른 경관평가 및 계획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먼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조망점 선정기준인 조망성, 공공성 및 경관변화성을 설정하였으며, 각각의 선정기준의 평가지표를 구축하였다. 조망성의 경우 거리와 방향에 따라 경관변화와 실제 조망 가능한 지역을 추출하기 위해 시거리, 조망방향, 지형요소, 가시권을 평가지표로 하여 GIS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공공성은 공적 활동이 일어나는 장소로 행정시설, 교육시설 등 13개 평가지표를 설정하고, AHP 분석을 통해 지표별 중요도를 바탕으로 공공성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경관변화성은 대상지의 조성 전후 자연경관의 변화율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선정기준을 실제 사례지에 적용하기 위해 먼저 조망성 및 공공성의 분석 결과를 중첩하여 예비조망점을 선정하고, 각각의 예비조망점에서 경관변화성을 분석하여 경관 변화가 큰 지역을 중심으로 최종 조망점을 선정하는일련의 과정을 구축하였다. 조망점 선정기준을 대구광역시 삼덕3 주거개선지구에 적용한 결과, 조망성은 남쪽 원경지역이 가장 넓은 범위에서 대상지를 조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공성은 5차선 이상의 도로가 가장 넓은 면적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조망성 및 공공성을 중첩 분석하여 총 48개의 예비 조망점을 설정하였으며, 각각의 예비 조망점에서 경관변화성을 분석한 결과, 삼덕동 우체국 지점이 28.07%로 가장 큰 경관변화율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최종적으로 근경, 중경, 원경지역에서 각각 3개씩 총 9개의 조망점을 선정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선정된 조망점은 다수의 전문가 의견이 반영되었으며, GIS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등 일련의 과정을 통해서 선정되었기 때문에 경관평가의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태현(2008)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한 경관분석 조망점 선정. 한밭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호성, 김윤학, 조용준(2010) 아파트 조망경관의 인지 및 가치특성에 관한 연구:해안입지 아파트를 대상으로. 대한건축학회지연합논문집 12(1): 65-75.
  3. 건설교통부(2006) 도시 이미지 구현을 위한 경관 조성방안. 연구보고서.
  4. 김종렬(2006) 조망경관 관리를 위한 건축물 높이 규제 방법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대구광역시(2009) 2009 대구기본통계.
  6. 대구광역시(2010) 2010 시정현황.
  7.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2001) 단지계획. 서울:보성각.
  8. 대한주택공사(2008) 개발대상지 도시경관 향상을 위한 경관계획체계 수립. 연구보고서.
  9. 방재성, 송병화, 양병이(2008) 조망점의 선정기준과 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6(1): 70-79
  10. 변병설(2000) 경관평가기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수탁과제 연구보고서.
  11. 서윤희, 임재만(2003) 대구지역 아파트의 조망가치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37:113-125.
  12. 서주환, 양희성(2004) AHP기법을 활용한 경관 평가법 작성에 관한 연구 -경관통제점에서의 평가-. 한국조경학회지 32(4):94-104.
  13. 양병이(2002) 도시내 조망보호를 위한 경관관리방안: 서울시 우면산 조망보호를 위한 경관관리를 중심으로. 환경논총 40:149-169.
  14. 이상복(2010) GIS기반 도시경관분석도구 개발 및 활용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이우성(2006) 도시의 지속가능성 평가를 위한 통합적 지표 개발 및 적용.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인성(1998) 수치변환척도 및 단순화 방식 적용에 따른 계층분석과정(AHP)의 일관도 및 정확도 분석. 국토계획 33(3):347-362.
  17. 이종화(2009) 주거지 계획 이론의 변화에 따른 국내 생활권 계획의 특성 분석.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호식(2005) 사전 경관영향평가를 위한 조망점 위치결정에 관한 연구: 골프장을 사례로.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임승빈(1990) 고층건물의 경관영향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6(2):153-161.
  20. 임승빈(1991) 경관분석론.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1. 조용준, 이정형, 남승진, 박종철, 정영덕, 홍안희, 장상근, 손승광, 김영석, 김현숙, 강권, 박현흥, 유창균, 이봉수, 이정림 역(2006) 일본의 경관계획. 서울:태림문화사.
  22. 조용호, 곽성남(2007) GIS공간분석과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조망점 위치결정방법 모델링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정보학회지 9(2):35-45.
  23. 조용호(2008) GIS와 AHP에 기반한 조망점 위치선정 방법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채병선, 서종주(1996) 중소도시의 도시공간특성에 따른 경관형성방안에 관한 연구(I). 국토계획 31(6):123-145.
  25. 최윤, 조동범(1994) 도시주변 능선녹지를 배경으로 하는 아파트 경관 시각적 영향 -물리적 경관변수 및 주시점분석에 의한 다각적 접근-. 한국조경학회지 22(2):81-103.
  26. 한국조경학회(2004) 도시경관계획 및 관리. 서울:문운당.
  27.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2002) 환경영향의 합리적 예측 평가를 위한 기법 연구. 한국환경기술개발원 연구보고서.
  28. 홍관종, 정윤희, 임승빈(2010) 경관영향평가의 조망거리 기준 설정 연구. 한국조경학회 2010춘계 학술논문발표회 초록집. pp. 29-34.
  29. 환경부(2008) (고시․훈령․예규 등)환경영향평가 관련 규정집 2008.
  30. Saaty, T. L.(1980)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New York. McGraw-Hill
  31. Stephen, Kaplan(1975) An informal model for the prediction of preference, in E. H. Zube, R. O. Brushand J. G. Fabos (ed.) Landscape Assessment. Dowden, Hutchinson & Ross. Inc., Stroudsburg.
  32. Zube, E. H., Brush R. O. and Fabos J. G.(1975) (ed.) Landscape Assessment. Dowden, Hutchinson & Ross. Inc., Stroudsburg.
  33. 篠原修(1982) 新体系土木工学59土木景観計画. 技報堂出版.
  34. http://construct.mltm.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