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Landscape of Seonyoo-do Park Captured in One-Person Media Focusing on Blogs

1인 미디어 블로그(Blog)가 포착한 선유도공원 경관

  • Received : 2011.05.31
  • Accepted : 2011.06.25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is study starts from the hypothesis that the information society has affected the layman's interpretation and production of content. Specifically, the manner and contents of communication concerning the landscape of Soonyoo-do Park in blogs are surveyed and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is phenomenon are discussed. The following topics are dealt with. Firstly, what is the landscape of Seonyoodo Park as captured by bloggers? What type of landscape do bloggers respond to? Secondly, what is the unique way that bloggers capture and interpret the landscape? Thirdly, What are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discovered from the landscape as captured and interpreted by bloggers? Thus, 1,000 blog posts concerning Soonyoo-do Park, as culled from the Internet, were categorized into three areas, First are blog posts browsed by keywords such as 'photo', 'a photographer's visit', 'a good p1ace for taking photos', and 'landscape'. These are focused on the visual aspects of the landscape. The second category is posts under the keywords 'domestic travel', 'Seoul travel', 'travel', and 'recommendation'. They contain introductory information on Seonyoodo Park; that is, they focus cm the more utilitarian functions of Seonyoodo Park as a place. The third one is posts that record personal experiences. The subjects for photography are the bloggers themselves and their companions. As a result of studying the way bloggers deal with landscape, it was found that first, people have developed the ability to capture the landscape and interpret the landscape actively and independently. This process can be regarded as the reproduction of landscape and place. In addition, the recording of their appreciation and feeling overlaps with evaluation and assumption. One negative aspect, however, is that many bloggers dramatize and repeat similar scenes. This can be seen as a make-up of imag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nclude difficulty in interpretation because blogs, which are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very subjective and personal. In addition, it was not easy to categorize posts because there were diverse images and a broad range of writing. Nevertheless, practitioners of landscape architecture should continue to monitor and use one-person media like blogs, because the relationship between modern man and the landscape can be better understood through them.

본 연구는 영화, 소설, 풍경화와 같은 재현 매체를 이용한 경관 연구의 연장선상에서 1인 미디어인 블로그(blog)에서의 선유도 경관의 소통 방식과 내용을 검토하였다. 여기에는 정보화 사회의 영향으로 일반인들도 경관 해석과 이에 따른 결과물 생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는 전제가 있었고, 조경 분야에서는 이러한 현상의 가능성과 한계점에 대해 논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다루는 바는 첫 번째는 블로그에서 많은 호응을 얻고 있는 선유도공원의 경관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에 대한 것이다. 두 번째는 블로그에서의 경관 포착 방식과 해석의 특성이다. 여기에는 전분가 집단 내 담론과의 관계도 포함된다. 세 번째는 블로그에서 포착하고 해석한 경관을 통해 발견할 수 있는 가능성과 한계점은 무엇인가에 대한 것이다. 인터넷에서 검색된 '선유도공원' 관련 블로그 1,000건을 포스팅의 목적에 따라 세 가지로 유형화했다. 첫 번째는 '사진, 출사, 사진 찍기 좋은 곳, 풍경'이라는 키워드로 검색되는 블로그의 포스트들이다. 이들은 선유도공원 정관의 시각적 측면에 집중하고 있다. 두 번째는 '국내 여행, 서울 여행, 여행, 추천'이라는 키워드로 검색되는 것들로서, 여가시간을 보낼 수 있는 공간으로서 선유도 공원에 대한 소개를 주고 담고 있다. 즉, 공간으로서의 효용가치를 다룬다. 그리고 마지막은 선유도공원에서의 개인적인 경험을 기록한 포스트들로서 사진의 피사체는 자신이나 동반한 이들이 된다. 검색 결과, 세 번째 유형이 가장 많았다. 이 세 가지 유형을 토대로 블로그들이 경관을 다루는 방식을 살펴볼 때, 먼저 사람들은 경관을 기록하는 차원을 넘어 연출하는 등 경관 포착 능력을 향상시키고 있고, 주체적이고 능동적으로 경관을 해석하고 있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경관과 장소의 재생산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감상과 느낌의 기록은 전문가들이 평가하고 추측했던 바를 보다 구체적이고 체험적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더 나아가서 전문가 담론에서 언급되지 않았던 것들과 공원의 유지관리 및 운영에 대한 언급도 있어 전문가 실천에 대한 모니터링 자료로 활용 가능함을 보여준다. 그러나 부정적 측면도 있었다. 블로거들은 경관을 극화시키거나 비슷한 장면을 반복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일종의 이미지화장술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는 먼저 연구 대상인 블로그 자체가 주관적이고 개인적이라 해석에 어려움이 있었다는 것이다. 더불어 하나의 포스트에 다양한 사진이 포함되고 날의 범위도 넓어 내용의 유형화와 계량화에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블로그 같은 1인 미디어를 통해 경관과 현대인의 관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기에, 조경분야는 이를 어떻게 바라보고 활용해야 할 지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운구(2010) 강운구 사진론. 서울:열화당.
  2. 김연금, 김해경, 최기수(2009) 인사동 경관의 사회 구성론적 해석. 한국조경학회지 36(6):91-101.
  3. 김영민(2011) 비평의 숲과 동무공동체. 서울:한겨레출판.
  4. 김인 역(2006) 사진의 고고학: 빛을 향한 열망과 근대의 탄생. Batchen, Geofferey, 서울:이매진.
  5. 배정한(2002) 시간의 정원, 발견의 디자인:선유도공원이 전하는 말. 환경과 조경 171:84-89.
  6. 배정한(2009) 선유도, 문화를 생산하는 공원 (서울학연구소 편, '한강의 섬'). 서울:마티. pp.157-178.
  7. 배정희, 정인모 역(2010) 공간 장소 경계, Schroer, Marcus. 서울:에코리브르.
  8. 서영애와 조경진(2008) 영화에 나타난 센트럴 파크의 문화 경관 해석: 우디 앨런 영화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지 20(2):62-78.
  9. 성종상(2002) 선유도공원-다시 우리 곁으로 온 섬, 선유도. 환경과 조경 170:50-57.
  10. 심혜련 역(2005) 미학의 경계를 넘어, Welsch, Wolfgang. 서울:향연.
  11. 이규목(2002) 한국의 도시경관. 서울:열화당.
  12. 이은숙(1993) 문학작품 속에서의 도시경관:채만식의 탁류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5:1-27.
  13. 이재원 역(2005) 사진에 관하여, Susan Sontag. 서울:이후.
  14. 정영철 역(1999) 공간과 장소, Yi Fu Tuan. 서울:태림문화사.
  15. 월간 환경과 조경 편집부(2006) 한국의 공원. 파주:조경. pp.284-289.
  16. 최문희(2005) 인터넷 매체 서비스 이용자의 심리적 변인에 관한 연구 (인터넷 게임, 채팅, 블로그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광고홍보학과 박사학위논문.
  17. 황기원(1989) 경관의 다양성에 관한 고찰. 한국조경학회지 17(1): 55-68.
  18. 2006년 9월 14일, 경향신문. '이곳을 담으면 '그림'이 된다'.
  19. 2009년 6월 1일, 매일경제. '초여름 수도권 사진 찍기 좋은 곳'.
  20. 2010년 3월 9일, 중앙일보. '파워 블로거가 본 영등포구'.
  21. http://blog.daum.net/black4/77. 관광사진 이야기.
  22. http://blog.naver.com/amen0204/110088003580. 티티러브의 사진 그리고.
  23. http://blog.naver.com/bebeyj.Youn'sstory
  24. http://blog.naver.com/coward10/120109902345. 보헤미안 하늘마루... 비상을 꿈꾸다.
  25. http://blog.naver.com/milos78/112370536. Which Moon.
  26. http://blog.naver.com/qldmlwjwn/120071618600. 꿈꿔왔던 행복한 삶을 위해.
  27. http://blog.naver.com/winwin1001.그린팩토리.
  28. http://enjoyholic.tistory.com/180.Enjoyholicstory.
  29. http://kino1210.blog.me/150096166530. 엔니오 C.
  30. http://lemonsign.tistory.com/99. 놀이처럼 살아가기.
  31. http://www.consumernews.co.kr.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2011년 5월 30일.
  32. http://www.cyworld.com/sambit2/2398195.Pix&Dots.
  33. http://www.dt.co.kr/contents.htm. 2003년 6월 5일, 디지털 타임스, '출사 베스트 7'.
  34. http://www.momonews.com. 2010년 7월 21일, 인터넷 신문 모모뉴스, '도심 속에 숨겨진 비밀의 정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