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rivation of HRD Policy Direction in the Field of Green Technology Using AHP Methodology

AHP방법론을 이용한 녹색기술 인력정책 방향성 도출

  • Received : 2011.06.01
  • Accepted : 2011.06.14
  • Published : 2011.06.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HRD programs for the government's priorities and HRD policy direction in the field of green technology to create green jobs. AHP methodology was employed by looking into "green job creation and HRD programs" announced by government. The empirical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important one among 37 HRD programs was green education and research capacity building in engineering college and graduate school. And fostering green social enterprise, green education and research through university-research collaboration, green workers transition training, strategic partnership for green job are presented in order in terms of the importance. It suggested green creativity(0.384), green Industry growth (0.277), s정ustainable development (0.125), green technology spill-over effect (0.089), a global collaboration (0.084 ), and green cultural diffusion (0.042) as a green technology and HRD policy direction.

본 연구는 녹색 일자리 창출을 위한 과학기술 인재양성에 대해서 정부의 인력정책과제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으며, 평가항목 간 중요도 분석을 통한 녹색기술 인력정책 방향성 제시하기 위해, 기획재정부 외 9개 부처에서 발표한 "녹색 일자리 창출 및 인력양성 방안" 핵심 추진과제를 대상으로 계층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37개 세부과제 중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된 녹색기술 인력정책과제는 이공계대학(원)의 녹색교육 및 연구역량 강화(0.284), 녹색 사정회적 기업 육성, 학 연 협력 활성화를 통한 녹색 교육 연구 연계강화, 녹색 근로자 전환 훈련체제 구축, 전략적 녹색일자리 파트너십 형성 등 인력정책 과제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평가항목의 중요도는 녹색창의성이 0.384로 가장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녹색산업 성장성(0.277), 지속가능 발전성(0.125), 녹색기술 파급효과(0.089), 글로벌 협업(0.084), 녹색문화 확산(0.042) 순으로 제시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기획재정부, "녹색 일자리 창출 및 인력양성 방안", 2009.
  2. 강윤영, "녹색성장을 위한 에너지 정책", 한국개발연구원(편) 녹색성장: 국가성장전략의 모색 세미나 자료집, 2008.
  3. 김승택, "녹색성장을 통한 일자리 창출 촉진방안", 한국개발연구원(편) 녹색성장: 국가성장전략의 모색 세미나 자료집, 2008.
  4. 박상도, "저탄소 녹색성장과 녹색기술", 대한기계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p.533, 2009.
  5. 이중만, "IT생활화를 구현하는 핵심기술도출에 관한 연구: 무선통신 기술분야", 한국통신학회 논문지, 28권, 1B호, pp.94-104, 2003.
  6. 이중만, 녹색성장을 위한 과학기술 인재육성 및 활용, KRIVET 인력양성 포럼 발표내용, 2009.
  7. 윤순진, "저탄소 녹색성장'의 이념적 기초와 실재", 환경 사회학연구, 13권 1호, pp.7-348, 2009.
  8. 전재경, "지속가능발전과 녹색성장", 서강법학, 제11권, 제2호, pp.1-292, 2009.
  9. 조진일,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학교시설의 발전방향", 한정국교육개발원, 2008.
  10. 최승호, "재생가능 에너지분야 일자리 창출전략의 문제점", 한독 사회과학 논총, 제20권, 제1호, pp.3-364, 2010.
  11. 황규희, 저탄소 녹색성장분야 인력양성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연구원, 2009.
  12. KISTEP, 녹색기술 연구개발 종합대책을 위한 연구, 2008.
  13. Saaty Th. L.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Planning, Priority Setting, Resource Allocation, New York; MacGraw-Hill, 1980.
  14. STEPI, 지식기반 사회와 저탄소 사회 패러다임의 시너지, 2008.
  15. http://www.greenk.giti.kr/news/

Cited by

  1. Determining the Priority of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Policy in Gyeongsangnam-do through AHP Analysis vol.13, pp.5,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5.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