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ime Use of Double Income Paid Workers

맞벌이 임금근로자 남녀의 생활시간구조분석

  • 이승미 (우석대학교 실버복지학과) ;
  • 이현아 (여성가족부 장관정책보좌관실)
  • Received : 2011.03.31
  • Accepted : 2011.05.06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time use of dual income paid workers. The data was selected from the '2009 Korean Time Use Survey' by the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re were 2799 respondents who were paid workers with dual income. There were big differences in time use between men and women. The result showed that men's time allocation focused on 'labor and leisure' and women's time allocation focused on ‘labor and housework'. This means the women among dual income paid workers faced difficulties in dual burden of work-family balance. Regression analysis on time use dividing men and women showed that age, education, income, working type and the presence of preschool childre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ime allocation. We found the income effects on time use which reduced paid working time and increased housework and leisure time. Significantly, younger men who have preschool children spend more time in housework. We could find the possibility of a change in men's time allocation.

Keywords

References

  1. 김수정, 김은지(2007). 한국 맞벌이 가구에서 가사노동과 경제적 의존의 관계. 한국사회학, 41(2), 147-174.
  2. 김진욱(2005). 근로기혼여성의 이중노동부담에 관한 실증연구:가사노동분담에 관한 협조적 적응, 이중노동부담, 적응지체가설의 검증. 한국사회복지학, 57(3), 51-72.
  3. 김진욱(2008). 일하는 어머니들의 이중노동부담에 관한 실증 연구. 사회복지정책, 35, 197-220.
  4. 보건복지부(2011). 새로마지플랜 2015-제2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 관계부처합동.
  5. 성지미(2006). 맞벌이 여성의 시간 분배 결정요인. 노동정책연구, 6(4), 1-30.
  6. 세계일보(2010. 12. 21). 30-50대 근로자 10명 중 7명 '맞벌이'.
  7. 손문금(2005). 맞벌이부부 여성의 이중부담과 시간의 특성: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송혜림(1988). 남편의 가사노동 협력에 대한 부인의 기대 및 남편의 협력실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유소이, 최윤지(2002). 성인남녀의 생활시간 실태 및 결정요인 분석 : 유급노동시간, 가사노동시간, 육아시간 및 여가시간.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3(3), 53-68.
  10. 윤소영(2002). 독신의 시간사용과 여가활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미혼 및 기혼집단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6), 209-217.
  11. 이기영, 김외숙, 서창원, 이승미(1994). 도시근로자가정 부부의 생활시간구조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2(1), 31-46.
  12. 이기영, 송혜림, 이승미, 민순선, 서지원(1996). 도시 남성근로자의 생활시간구조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1), 97-112.
  13. 이기영, 이승미(1994). 가정생활주기에 따른 도시근로자가정부부의 생활시간 구조. 대한가정학회지, 32(3), 11-26.
  14. 이기영, 이연숙, 김외숙, 조희금(1996). 한일양국간 도시부부의 생활시간 비교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4), 145-162.
  15. 이승미(1994). 남편의 가사노동 참여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충북가정학회지, 3(1), 23-31.
  16. 이연숙, 이기영, 김외숙, 조희금, 주인숙, Zick, C. D.(2002). 한미 양국간 가족의 시간사용 비교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3), 139-156.
  17. 이현아, 이기영(1994). 남편의 생활시간구조와 가족생활시간에 관한 부부의 지각.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2(1), 145-160.
  18. 임정빈(1981). 도시주부의 생활시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19(2), 73-85.
  19. 임정빈, 임혜경(1992). 1980년과 1990년 도시주부의 생활시간 비교. 대한가정학회지, 30(4), 261-278.
  20. 조영희(2004). 한부모가족의 부, 모의 생활시간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1), 139-151.
  21. 조희금(1993). 생산직 기혼여성의 생활시간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31(3), 1-13.
  22. 조희금(1997). 사무직 기혼여성부부의 생활시간구조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35(1), 1-14.
  23. 차승은(2008). 중년의 일, 가족, 여가시간 배분유형과 유형결정요인: 취업한 기혼 남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6(1), 103-116.
  24. 채로, 이기영(2004). 맞벌이부부의 가사노동시간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265-281.
  25. 통계청(2009). 2009년 사회조사. 서울: 통계청.
  26. 통계청(2010), 2009년 생활시간조사. 서울: 통계청.
  27. 한경미(1991). 취업주부의 시간사용과 영향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9(2), 171-190.
  28. 한영선, 윤소영(2009). 미취학자녀를 둔 도시 맞벌이 부부의 여가시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7(2), 81-95.
  29. 한지수, 홍공숙(2007). 노부모와 동거하는 기혼여성자녀의 시장노동 참여 및 참여시간 결정요인: 기혼여성자녀와 노부모와의 시간자원 이전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5(6), 61-75.
  30. 허경옥(1994). 부인과 남편의 가사 및 육아시간 결정요인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2(2), 90-105.
  31. 허경옥(1997). 부인과 남편의 시간배분구조 분석: 가정생산모델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5(1), 319-338.
  32. Becker, G.(1965). A Theory of the Allocation of Time. Economic Journal 75, 493-517. https://doi.org/10.2307/2228949
  33. Gershuny, J., Godwin, M., & Jones, S.(1994). The Domestic Labor Revolution : A Process of Lagged Adaptation in M. Anderson et al., The Social and Political Economy of the Household. Oxford University Press. 161-197.
  34. Gronau, R.(1977). Leisure, Home Production, and Work: The Theory of the Allocation of Time Revisited.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85(6), 1099-1123. https://doi.org/10.1086/260629
  35. Mincer, J.(1962).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A Study of Labor Supply. in Aspects of Labor Economics. Princeton: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Cited by

  1. Differences in Time Deficit and Tim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Child Care Time of Dual-earner Couples with Preschool Children vol.31, pp.4, 2013, https://doi.org/10.7466/JKHMA.2013.31.4.097
  2. 미취학 자녀를 둔 맞벌이 가정의 시간빈곤 수준과 삶의 질: 개인유지시간을 기준으로 한 시간빈곤 여부에 따른 집단 간 비교 vol.55, pp.1, 2011, https://doi.org/10.6115/fer.2017.004
  3. 대학생의 취업여부별 시간사용과 시간부족감의 성차 분석 vol.23, pp.3, 2011, https://doi.org/10.22626/jkfrma.2019.23.3.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