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mily Strengths and Related Variables in Adult Males and Females

성인남녀의 가족건강성 관련변인

  • Lee, Seon-Mi (Department of Family Environment & Welfa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이선미 (전남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과)
  • Received : 2011.03.31
  • Accepted : 2011.06.01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ive variables which influence family strengths. In particular, influencing variabl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sex, generation, and family pattern. There were 703 participants aged over 20 years in Gwangju and Seoul. All participa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s of family strengths were higher than the median. Regarding subdimensions, 'value system sharing' had the lowest score. 2. Family strengths were related to its subdimension and some variables. 3. Family strengths were influenced by living condition, self-esteem, depression, the cognition of family function, and family value orientations. However, the influencing variabl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sex, generation, and family patterns. In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family strengths,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lue system sharing', enhance self-esteem, and reduce depression. Further, when we deal with family strengths, it is necessary to vary methodology.

Keywords

References

  1. 강수정(2007). 농촌 생활개선회원들의 결혼만족도와 가족건강성 연구.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희경(2005). 가족의 건강성과 학령기 아동의 자아탄력성.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3), 93-102.
  3. 경지영(2000). 여성노인이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 경향과 우울정도와의 관계: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권대희, 오윤자(2004). 청소년기 자녀가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1), 115-127.
  5. 김경신(1998). 가족가치관의 세대별 비교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6(10), 145-159.
  6. 김명자(2004). 부모와 대학생 자녀의 가족생활에 관한 가치의식과 가족건강성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3), 55-80.
  7. 김인숙, 유영준(2004).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의 가족인식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6(1), 283-307.
  8. 노은여, 권정혜(1997). 결혼생활 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이 기혼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II-자아존중감의 변동성과 남녀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16(2), 41-54.
  9. 박민자(2006). 행복가족의 요소와 의미. 가족과 문화, 18(4), 183-205.
  10. 박수선(2006). 가족건강성과 건강가정정책-대학생들이 인식하는 가족개념 및 가족기능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정희, 유영주(2000). 도시가족의 건강성 및 주부의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전업주부와 취업주부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2), 156-174.
  12. 배경의, 김은하(2007).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 건강성, 가족기능, 자아정체감과 우울과의 관계. 아동간호학회지, 13(3), 357-366.
  13. 서병숙(1994). 건전가정 육성을 위한 실천적 과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2(2), 275-279.
  14. 송경희(2004). 중학생이 지각하는 가족의 건강성과 가족의식에 관한 연구- 제주도를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송정아(1995). 한국도시 부부의 건강한 결혼관련 변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3(1), 69-78.
  16. 신수진(2002). 한국 가족 연구의 사회문화적 접근을 위한 소고. 한국가족관계학회지, 7(2), 21-41.
  17. 양순미(2001). 농촌가족의 건강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양순미, 유영주(2000). 부모와 자녀세대가 인지한 농촌가족의 건강성 및 관련변인의 특성 연구-맏자녀가 중등학교 이상에 다니는 농가 중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5(1), 67-91.
  19. 양옥경(2000). 한국 가족개념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6, 69-99.
  20. 양옥경(2001). 가족개념에 관한 대학생의 의식연구. 한국가족복지학, 7, 175-199.
  21. 어은주(1996). 한국 도시 가족의 건강성 및 관련 변인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어은주, 유영주(1995). '가족의 건강도'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3(1), 145-156.
  23. 어은주, 유영주(1997). 도시가족의 건강성 및 관련변인연구-자녀교육기 가족의 주부를 대상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5(4), 269-285.
  24. 옥선화, 성미애, 신기영(2000). 도시 및 농촌 거주자의 가족 및 친족관련 가치관 비교. 대한가정학회, 38(9), 1-18.
  25. 유계숙(2004). 건강가족의 요소에 관한 연구-가족체계와 건강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2), 25-42.
  26. 유계숙, 유영주(2002). 서울시민의 가족개념 인식 및 가치관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0(5), 79-94.
  27. 유영주(2004). 가족강화를 위한 한국형 가족건강성 척도 개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2), 119-151.
  28. 유영주, 김순옥, 김경신(2008). 가족관계학. 서울: 교문사.
  29. 이경희, 유영달(2006). 동거부모형태에 따른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기능성과 심리적 안녕. 가족과 문화, 18(2), 115-138.
  30. 이영숙, 박경란(2002). 청년과 중년의 가족 개념 비교분석. 대한가정학회지, 40(10), 217-230.
  31. 이정숙(2007). 기혼남녀의 가정건강성과 건강가정기본법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8(4), 579-597.
  32. 임정아, 이인수(2006). 청소년기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 연구. 아동교육, 15(2), 37-62.
  33. 장문선(2004). 결혼만족 및 우울에 대한 인지-대인관계 접근과 그 치료적 개입의 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 전혜정, 민성혜, 이민영, 최혜영(2009). 결혼이주여성 가족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한국가족복지학, 14(2), 5-27.
  35. 조성욱(1987). 결혼만족도와 자아개념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조희금, 김경신, 정민자, 송혜림, 이승미, 성미애 외(2010). 건강가정론. 서울: 신정.
  37. 지영숙, 이영호(1998). 한국가정의 건전도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6(4), 233-250.
  38. 최선희(2001). 한국인의 건강성 영역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학회 2001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9-22.
  39. 최정혜(2005).주말부부의 결혼만족도와 가족건강성-주말부부 남편과 아내의 비교-. 대한가정학회지, 43(3), 11-26.
  40. 최정혜(2006). 맞벌이부부의 가족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 대한가정학회지, 44(6), 47-58.
  41. Farrell, M. P., & Barnes, G. M.(1993). Family system and social support: A test of the effects of cohesion and adaptability on the functioning of parents and adolescent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5(1), 119-132. https://doi.org/10.2307/352963
  42. Radloff, L.(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 385-401. https://doi.org/10.1177/014662167700100306
  43. Rosenberg, M.(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44. Thornton, A., & Young-DeMarco, J.(2001). Four decades of trends in attitude toward family issues in the U.S.: The 1960s through 1990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3(4), 1009-1037.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1.01009.x

Cited by

  1. 장애인가족의 스트레스가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 :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vol.14, pp.4,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4.14.04.267
  2. 기혼 성인의 가족건강성에 대한 영향요인 : 원가족경험요인을 중심으로 vol.15, pp.9,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5.15.09.184
  3. 가족의례가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vol.16, pp.12,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6.16.12.622
  4. Developing a Prediction Model for Family Health in Families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vol.28, pp.4, 2011, https://doi.org/10.12934/jkpmhn.2019.28.4.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