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mpirical Study on the Needs and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al Program for Successful Aging

성공적 노후 교육프로그램의 수요도 및 효과성에 대한 실증적 연구

  • 정종보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
  • 임왕규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1.06.22
  • Accepted : 2011.09.02
  • Published : 2011.09.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one was to investigate the elderly people's educational needs on successful aging(Study 1), and the other was to construct the educational program for successful aging and evaluate its effectiveness(Study 2). For Study 1, data were collected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the 166 elderly people participating in the government job creation projects for the aged in Gwangju and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means-of-different tests.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elderly people strongly desired the education successful aging in terms of health care, finance, social participation, leasure, social network and self acceptance. In Study 2, the educational program for successful aging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1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evaluated using one-group pretest-posttest experimental design. Data were collected from 34 voluntary participants in the program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and analyzed using the paired samples t-test technique. It was found that the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elderly people's understanding of successful aging in terms of health care, finance, social participation, leasure, social network and self acceptance.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ementation of the educational program designed in this study was recommended to improve the elderly people's quality of life and th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dvanced. successful aging, educational needs, educational program, effectiveness.

본 연구는 성공적 노후 교육에 대한 노인들의 수요도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성공적 노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성을 평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우선 166명의 광주지역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교육수요도를 파악한 결과, 대다수의 응답자들이 성공적 노후를 위한 노후생애설계교육을 희망하고 있으며, 교육내용의 측면에서는 성공적 노후 이해, 건강관리, 재무, 사회참여, 여가, 관계, 자아정립, 실천계획수립의 각 영역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조사결과에 근거하여 노인들의 욕구에 부합하는 성공적 노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34명의 교육프로그램 지원자들을 대상으로 교육프로그램을 시행하여 교육내용 이해도의 측면에서 이 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본 교육프로그램은 교육내용 이해도의 측면에서 노년기변화, 성공적 노후 이해, 건강관리, 재무, 사회참여, 여가, 관계, 자아정립, 실천계획수립에 대한 이해도를 뚜렷하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성공적 노후 교육프로그램을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들을 대상으로 우선 실시를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2011.
  2. 한국일보, 2011.3.18 기사.
  3. 문화일보, 20111. 3.9 기사.
  4. 성혜영, 유정헌, "성공적 노화 개념의 인식에 관한 연구-Q방법론적 접근-", 한국노년학, 제22권, 제2호, pp.75-93, 2002.
  5. 김동배,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60권, 제1호, pp.211-231, 2008.
  6. 김신일, "퇴직교원의 노후준비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교육부 정책연구과제 보고서, 1999.
  7. 전길양, 송현애, 고선주, 김일명, "노년기 준비교육 프로그램-풍요로운 노후가꾸기-", 한국노년학, 제20권 제1호, pp.69-91, 2000.
  8. 이순희, "노인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한국노년학, 제21권, 제2호, pp.85-98, 2001.
  9. 전영숙, "노인 여가교육 프로그램이 노인의 여가 인식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10. R. P. Abeles, Life-Span Perspectives and Social Psychology(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1987.
  11. C. D. Ryff, "Beyond Ponce de Leon and Life Satisfaction: New directions in quest of Successful Aging,"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ral Development, Vol.12, pp.35-55, 1989. https://doi.org/10.1177/016502548901200102
  12. M. M. Baltes and P. B. Baltes,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Successful Aging: The Model of Selective Optimization with Compensation," In Baltes, P. B, and Baltes, M. M,(Eds.), Successful Aging: Perspectives from Behavioral Science(1-34),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13. R. J. Havighurst, and R. Albrecht, Older People, New York: Longmans, 1953.
  14. J. W. Rowe and R. H. Kahn, Successful Aging, New York: Dell Publishing a Division of Random House, 1998.
  15. R. E. Lane, "Quality of Life and Quality of Person: A New Role for Government?," Political Theory, Vol.22, pp.219-252, 1994. https://doi.org/10.1177/0090591794022002002
  16. M. P. Lawton, Aging, Stress, Social Support and Health, London: John Wiley & Sons, 1991.
  17. 강신옥, "노인의 생산적 활동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공주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18. P. T. P. Wong, Persocal Meaning and Successful Aging, Canadian Psycholgy, Vol.30, No.3, pp.516-525, 1989. https://doi.org/10.1037/h0079829
  19. K. L. Chou and I. Chi, "Successful Aging among the young-old, and oldest-old Chines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2002.
  20. D. L. Charbonneau-Lyons, P. M. Mosher-Ashley, and M. Standford-Pollock, "Openions of College Students and Independent-living Adults regarding Successful Aging," Educational Gerontology, Vol.28, pp.823-833, 2002. https://doi.org/10.1080/03601270290099822
  21. L. Ricciardelli, "Positive Relationship in the Lives of People Aging Successfully" Australian Journal of Psychology, Vol.55, pp.227-227, 2003.
  22. E. A. Phelan, L. A. Anderson, A. Z. LaCroix, and E. E. Larson, "Older adults' views of "Successful Aging"-How do they compare with researchers' definitions?," Journal of the American Geratrics Society, Vol.52, No.2, p.211, 2004. https://doi.org/10.1111/j.1532-5415.2004.52056.x
  23. 박경란, 이영숙,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한국노년학, 제22권, 제3호, pp.53-66, 2002.
  24. 김은숙, 김귀분, "노인의 소망", 성인간호학회, 제14권, 제3호, pp.438-448, 2002.
  25. 김미혜, 신경림,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후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5권, 제2호, pp.35-52, 2005.
  26. 백지은, "한국노인들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 비교문화적 접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27. 김대현, 김석우,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서울: 학지사, 2010.
  28. 황오성, "노인대학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분석",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29. 이정화, "노인건강상태별 보건교육 요구도 조사 연구-서울시 거주 일부 수검노인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30. 이수명, "퇴직전 교육프로그램 구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31. 허정무, "퇴직예정자 사회적응 교육프로그램개발연구", 교육부정책연구과제, 자료집, 2000.
  32. 김경신, "노인을 위한 가족생활 교육프로그램개발", 한국노년학연구회, 제5호, pp.51-70, 1996.
  33. 김미혜, 정순돌, 이금룡, "재가노인의 우울증 예방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연구", 한국사회복지학, Vol.44, pp.318-345, 2001.
  34. 하재연, "치료레크레이션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35. 지혜련, "치매간호중재 프로그램이 경증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일상생활 수행능력 및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36. 박인수, "노인종합복지관 여가프로그램 참여가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37. 보건복지부, 2010.
  38.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08.
  39. G. F. Posner, Models of Curriculum Planning, In L. E. Beyer, & M. W. Apple, The Curriculum: Problems, Politics, and Possibilities,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8.
  40. 홍석태, 양해술, "한국 중고령자의 노인교육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5호, pp.298-299, 2008. https://doi.org/10.5392/JKCA.2008.8.5.287

Cited by

  1. Effects of the Occupation and Activity Nature of the Middle-Aged on Retirement Preparation vol.11, pp.11,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1.296
  2.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An Integrative Approach vol.13, pp.6,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6.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