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ublic Image of Rapists and its Comparison with their Characteristics on the National Statistics

사람들이 생각하는 강간 범죄자의 표상: 실제 국내 강간 범죄자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박지선 (국립경찰대학 행정학과) ;
  • 박인선 (서울대 심리학과 대학원)
  • Received : 2011.06.28
  • Accepted : 2011.08.16
  • Published : 2011.09.28

Abstract

We often find that we, as a social group, share stereotypes of criminals. For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stereotypes of rapists, and examined if they match their characteristics on the national crime statistics in Korea. Collecting data from 82 college students and 91 police officers, we compared stereotypes about rapist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reported on the national crime statistics. As a result, we found that both college students and police officers have distorted stereotypes of rapists which are not consistent with their characteristics. More specifically, both college students and police officers believed that rapists came from broken families and that they were likely to have more previous criminal convictions than they actually did. In addition, both college students and police officers believed that rapists tended to recidivate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e.g. 1-3 months, which is much shorter than the time that actually took for them to recidivate. Finally,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made.

강간 범죄는 강력 범죄 중에서도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그 결과 강간을 비롯한 성범죄에 대한 두려움은 우리 사회에 만연해 있다. 그러나 점차 증가하는 성범죄에 대한 두려움과 관련하여, 과연 우리가 강간범죄와 범죄자에 대해 얼마나 정확한 지식을 가지고 있고, 그에 대한 통념이 왜곡되지 않은 것인지는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문제이다. 강간 범죄와 피해자, 가해자에 대한 왜곡된 관념으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피해자의 이차적 피해와 가해자에 대한 부적절한 처벌, 그 결과로 증대되는 사회적 두려움과 악순환을 고려할 때, 사람들이 형성하고 있는 강간 범죄와 가해자에 대한 표상과 실제 국내에서 발생하는 강간 범죄와 가해자의 특성이 어떤 면에서 얼마나 차이를 보이는지를 연구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인과 경찰이 지니고 있는 강간 범죄자의 표상과 실제 발생한 강간 범죄의 차이를 다양한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그 결과, 사람들은 실제 강간 범죄 발생 특성과 강간 범죄자의 모습과는 다른 표상을 관념적으로 생성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반인과 경찰은 강간 범죄자가 실제보다 사회적으로 악조건에 처해 있으며 범행을 좀처럼 뉘우치지 않고 교정이 쉽게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등 전반적으로 강간 범죄자에 대하여 실제와 다른 왜곡된 표상을 형성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또한, 강간 사건 발생에서 검거까지 소요된 시간을 과대추정한 것으로 보아 검거 기관을 불신하는 경향 역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재상, 형법총론, 박영사, 2010.
  2. 대검찰청, 범죄분석, 대검찰청, 2010.
  3. M. Burt, "Cultural myths and supports for rape," J.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38, No.2, pp.217-230, 1980. https://doi.org/10.1037/0022-3514.38.2.217
  4. 신의진, 오태성, 이영준, 송원영, 이경숙, 유은희, "성범죄 청소년의 정신사회적 특징 : 일반범죄 청소년과의 비교,"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지, 제9권, 제1호, pp.39-52, 2005.
  5. S. Ben-David and O. Schneider, "Rape perceptions, gender role attitudes, and victim-perpetrator acquaintance," Sex Roles: A Journal of Research, Vol.55, pp.385-402, 2005.
  6. 고혜리, 남녀 대학생의 성폭행 사건 지각 차이에 대한 분석 : 성역할 고정관념과 강간통념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7. 윤병해, 고재홍, "양가적 성차별 태도에 따른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비난 차이: 강간통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1권, 제1호, pp.1-19, 2006.
  8. Z. D. Peterson and C. L. Mulenhard, "Was it rape? The function of women's rape myth acceptance and definitions of sex in labeling their own experiences," Sex Roles: A journal of Research, Vol.51, pp.129-144, 2004. https://doi.org/10.1023/B:SERS.0000037758.95376.00
  9. 박희찬, 김혜숙, "범죄자에 대한 고정관념과 처벌 관련 판단,"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24권, 제2호, pp.27-49, 2010.
  10. 이건호, 강혜자, "강간통념 수용도, 성역할 태도 및 음란물 접촉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제11권, 제3호, pp.23-40, 2005.
  11. S. S. Hinck and R. W. Thomas, "Rape Myth Acceptance in College Students: How Far Have We Come," Sex Roles: A Journal of Research, Vol.40, Nos.9-10, pp.815-832, 1999. https://doi.org/10.1023/A:1018816920168
  12. R. Iconis, "Rape Myth Acceptance In colloege Students: A Literature Review," Contemporary Issues In Education Research, Vol.1, No.2, pp.47-51, 2008.
  13. V. N. Anderson, D. Simpson-Taylor, and D. J. Herrmann, "Gender, age, and rape-supportive rules," Sex Roles, Vol.50, Nos.1-2, pp.77-90, 2004. https://doi.org/10.1023/B:SERS.0000011074.76248.3a
  14. 유재훈, 청소년의 강간통념, 성역할 태도 및 비행 행동간의 관계,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15. 김은경, 최수형, 박정선, 2008년 한국의 범죄피해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9.
  16. 강은영, 친족성폭력 피해 아동청소년 보호지원 체계 점검, 보건복지가족부, 2009.
  17. 전영실, 한국의 범죄현상과 형사정책,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