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Korean Consonant Perception Test

자음지각검사 (KCPT)의 개발

  • 김진숙 (한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언어청각학부/대학원, 청각언어연구소) ;
  • 신은영 (한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언어청각학부/대학원, 청각언어연구소) ;
  • 신현욱 (한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언어청각학부/대학원, 청각언어연구소) ;
  • 이기도 (한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언어청각학부/대학원, 청각언어연구소)
  • Received : 2011.04.26
  • Accepted : 2011.07.04
  • Published : 2011.07.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Korean Consonant Perception Test (KCPT), that is a phonemic level including elementary data to evaluate speech and consonant perception ability of the normal and the hearing impaired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KCPT was completed with meaningful monosyllabic words out of possible all Korean monosyllabic words, considering articulation characteristics, the degree of difficulty, and the frequency of the phonemic appearance, after assembling a tentative initial and final consonants testing items using four multiple-choice method which were applied to the seven final consonant regulation and controlled with the familiarity of the target words. Conclusively, the final three hundred items were developed including two- and one-hundred items for initial and final testing items, respectively, with the evaluation of the 20 normal hearing adults. Through this process, the final KCPT was composed upon the colloquial frequency following identification of no speakers' variances statistically and elimination of the highly difficult items. The 30 hearing impaired were tested with KCPT and found that the half lists, A and B, were not different statistically and the initial and final testing items were appropriate for evaluating initial and final consonants, respectively.

본 연구의 목적은 말지각평가의 기초 자료가 되고 청각장애 자음지각능력의 정량적 정성적 평가가 가능한 음소단위의 한국어자음지각검사 (Korean Consonant Perception Test, 이하 KCPT)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KCPT는 조합 가능한 모든 한국어 단음절어 중 유의미 단음절어만 분류하여, 7종성발음규칙을 적용하고 목표단어의 친숙도를 조절한 사지선다형 초 종성검사문항 시안을 작성한 후, 각 단어들의 조음 특성, 난이도, 음소 출현빈도수를 고려하여 완성되었다. 이를 정상인 20명을 대상으로 평가하여 난이도가 높은 문항을 제거하고 화자 간 변수가 없는 것을 통계적으로 확인한 후 회화체 빈도수에 맞도록 최종문항을 작성하였다. 세부적 수정을 거쳐 초 종성검사문항 각 200개와 100개로 구성된 총 300개 문항을 개발하였다. 30명의 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검증하여 A와 B로 구분한 절반목록간 차이도 없음을 확인하고 초성검사문항은 초성자음지각평가에 종성 검사문항은 종성자음 지각평가에 적절한 도구임을 검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M. C. Flynn, R. C. Dowell, "Speech perception in a communicative context: an investigation using question/answer pairs," JSHR, vol. 42, pp. 540-552, 1999.
  2. C. R. Smith, "Residual hearing and speech production in deaf children," JSHR, vol. 18, pp. 795-811, 1975.
  3. 서영란, 김진숙, 고도흥. "연령과 역치에 따른 청각장애아동의 음운적 특성," 음성과학, 8권, 2호, 133-142쪽, 2001.
  4. A. S. House, M. H. L. Hecker, K. D. Kryter, "Psychoacoustic speech tests: a modified rhyme test," Tech Doc Rep US Air Force Syst Command Electron Syst Div, vol. 86, pp. 1-44, July 1963.
  5. E. Owens, E. D. Schubert, "Development of the california consonant test," JSHR, vol. 20, pp. 463-474, 1977.
  6. A. S. House, C. E. Williams, M. H. L. Hecker, K. D. Kryter, "Articulation-Testing Methods: Consonantal Differentiation with a Closed-Response Set," J. Acoust. Soc. Am., vol. 37, no. 1, pp. 158-166, 1965. https://doi.org/10.1121/1.1909295
  7. E. Owens, "Consonant error and remediation in sensorineural hearing loss," JSHD, vol. 43, pp. 331-347, 1978. https://doi.org/10.1044/jshd.4303.331
  8. 신혜정, "청각장애 아동과 건청 아동의 어두파열음 VOT 지각 비교," 언어치료연구, 15권, 3호, 79-97쪽, 2006.
  9. 남아미, "모음환경이 청각장애인의 파열음 지각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4.
  10. 이지영, 이승환, "심도 감각신경성 청각장애아동의 자음지각 및 자음산출 연구," 언어청각장애연구, 5권, 2호, 159-175쪽, 2005.
  11. 김진숙, 임덕환, 홍하나, 신현욱, 이기도, 홍빛나, 이정학, "한국표준일반용 단음절어표 개발," 청능재활, 4권, 2호, 126-140쪽, 2008.
  12. 김광해, 등급별 국어교육용 어휘, 박이정, 서울,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