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a Business Support System by Phase for Delivering Construction Management Contract in the Government Civil Project

공공토목사업 CM 발주를 위한 단계별 업무지원 시스템 구축

  • 채영석 (경상남도 시천시청 공단조성과) ;
  • 박서영 (경상대학교 토목공학과) ;
  • 문현석 (경상대학교 토목공학과) ;
  • 김선영 (경상대학교 토목공학과) ;
  • 강인석 (경상대학교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11.04.28
  • Accepted : 2011.06.22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Recently, the MLTM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has announced CM business guidelines, because it is expected that the CM deliveries are going to be increased for a civil engineering industry with enforcement of the CM at Risk. In this trend, The CM business guideline, which is currently announced, is for the steps after the CM contract. However, the practical business guideline from a planning phase for the CM delivery to a selection phase of a CMr (Construction Manager) is essential for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including the civil engineering projects that the frequency of the CM deliveries is not 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established a standardized process model from the planning phase for the CM delivery to the selection phase of the CMr. study configured a business breakdown structure for CM delivery. A prototype system for supporting the CM delivery was also developed, and a practical operability was verified by a case evaluation based on the developed system. Henc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tilized as a supporting system of the CM delivery business for public clients, which have not sufficient cases of the CM delivery.

위험형 CM(CM at Risk) 제도의 시행과 함께 토목시설물에도 CM계약사례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국토해양부 등에서는 CM 업무지침을 공표하고 있다. 현재 공표된 CM 업무지침은 CM 계약 이후의 업무지침이지만, CM 발주사례가 부족한 토목사설을 포함한 공공사업에서는 CM 발주 자체에 필요한 CM발주의 가획단계부터 CM 업자 (Construction Manager, CMr) 선정까지의 업무지침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발주처의 건설사업관리 발주업무를 발주 기획단계부터 CMr 선정단계까지 표준화된 프로세스 모형으로 구축하였으며, 이를 위해 CM발주 업무분류체계를 구성하였다. 또한 연구에서는 구축된 모형에 근거한 CM 발주지원 시스템을 개발하여 시스템의 실무 운영성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CM 발주사례가 부족한 발주처의 CM 발주업무 지원체계로 활용성을 가질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석, 박서영, 곽중민, 이우식, 박홍태 (2000). 공사시행 단계별 CM업무 표준화를 위한 프로세스 구축방안,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16권 제8호, pp. 3-8
  2. 김중곤, 정지현, 이학기 (2009). CM at Risk방식 도입에 따른 건설업체의 대응방안,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논문집 제11권 1 호, pp. 159.
  3. 채영석 (2009). 공공건설사업 CM 발주를 위한 프로세스 모형 기반 지원 시스템 구축, 경상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박사학위논문
  4. 우성권, 이준원 (2000). CM 발주방식에서 CM의 평가 및 낙찰자 선정 방안, 건설산업동향, 65호
  5. 이복남, 이재섭 (2009). 건설사업 발주제도 선진화 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지, 제10권 제2호, pp. 27-30
  6. Aouad G. (1997). Open Systems for Construction Information(OSCON). Draft Industrial Report. Buhu Research Centre. University of Salford. pp. 2-7
  7. CMAA Documents. (1993). Construction Management Association of America, Inc.
  8. Platt D. G. (1996). Building Process Models for Design Management. Journal of Computing in Civil Engineering. ASCE. Vol. 10. No. 3. pp. 194-203 https://doi.org/10.1061/(ASCE)0887-3801(1996)10:3(194)
  9. Luiten G. (1994). Computer Aided Design for Construction in the Building Industry. Ph. D. Thesis, Delft University of Technology. The Netherla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