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Fashion Involvement, Clothing Selection Criteria and Fashion Information Sources of Leisure Activities Consumers

여가활동 소비자의 패션관여와 의복선택기준, 패션정보원에 관한 연구

  • Je, Eun-Suk (Dept. of Clothing & Textil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제은숙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Received : 2011.04.21
  • Accepted : 2011.08.01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The study is intended to suggest the differentiated and subdivided indexes of the leisure fashion market and to provide the marketing strategy establishment and in-depth understanding of leisure fashion business by looking into the correlation between and among fashion involvement, clothing selection criteria and fashion information source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the questionnaire response method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by using the SPSS 16.0 statistics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As a result of research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isure activities consumer groups and fashion involveme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otional and cognitive involvement. In the tour activity group and social activity group, emotional involvement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e cognitive experience while in the hobby and sports activity group, both involvements were equally as high. 2) As a result of research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isure activities groups and clothing selection criteria, it was found that the intrinsic and extrinsic criteria were high in the hobby and sports activity group and that the intrinsic criteria was high in the tour activity group and social activity group. 3) 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isure activity groups and fashion information sources, it was found that media source, observation source and experience/personal source were high in the hobby and sports activity group. In addition, the experience and personal source were high in the social activity group. 4) In the difference between and among fashion involvement, clothing selection criteria and fashion information sources, it was found that the emotional involvement, intrinsic criteria and observation source were higher in the group of females than males. 5) In the difference between and among fashion involvement, clothing selection criteria and fashion information sources depending on the ages of leisure activities consumers, it was found that the emotional involvement and observation source were high in the group of 20-24 yrs old consumers and that the emotional involvement, intrinsic criteria and observation source were high in the group of 25-29 yrs old consumers. Also, in the group of 30-34 yrs old consumers, the emotional involvement, observation source and experience/personal source were high.

Keywords

References

  1. 안영선 (2009), 중년의 여가활동과 삶의 질에 관한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2.
  2. 하지연 (2004), 직장인 여가스포츠 활동의 참여요인 구명을 위한 탐색적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2.
  3.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7), 국민여가생활 활성화를 위한 여가정책 심포지엄, 심포지엄 자료집, pp. 29-64.
  4. 이영선 (2000), 의복중요성 지각과 의복관여;가치, 유행의사선도력 및 쇼핑행동과 관련지어, 한국의류학회지, 24(4), pp. 549-559.
  5. 김수경 (2006), 신노년층 여성의 자아지각과 여가행동에 따른 의복구매행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5-42.
  6. Parker, S. R. (1971), The Future of Work and Leisure, London: Macgibbon and Knee, pp. 263-272.
  7. 윤영화 (2003), 여성층의 여가활동 유형과 여가만족도에 관한 연구: 인천지역 20-30대 여성을 대상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2-16.
  8. Kaplan, M.(1960), Leisure in Americal: A social Inquiry, New york: willy, pp. 161-170.
  9. Lutzin, S. G. and Story, E. H. (Eds). (1973), Managing Municipal Leisure Services. Washington, DC, The International City Management Association, pp. 25-37.
  10. 김필숙 (2004), 기혼남녀의 여가활동 및 여가만족도에 따른 가족관계 적응,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57-60.
  11. 이혜선 (2005), 직장인의 여가행동과 의복구매행동 연구: 20-30대 직장인 남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0.
  12. 김수경 (2006), 신 노년층 여성의 자아지각과 여가행동에 따른 의복 구매행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9.
  13. 임번장, 정영린 (1995), 여가활동 유형과 여가 만족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34(3), pp. 56-69.
  14. 윤익모, 김홍설, 송강영 (1997), 대도시 주부의 여가활동유형이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사회학회, 8(8), pp. 1-18.
  15. Antil J. H. (1984), Conceptualization and Operationalization of Involvement,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1, pp. 203-209.
  16. Zaichkowsky, J. L. (1985), Measuring the involvement construc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2(3), pp. 341-352. https://doi.org/10.1086/208520
  17. Robertson, T. S. (1976), Low commitment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6, pp. 19-24.
  18. Bloch P. H. (1981), An Exploration into the Scaling of Consumer Involvement with a Product Clas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8, pp. 61-65.
  19. Holbrook, M. Hirschman, E. (1982), The experiental apects of consumption: Consumer fantasie, feeling and fu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9(9), pp. 256-270.
  20. Park, S. (1994), Antecedents of behavior all loyalty to a selected recreational sportfitness progra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West Virginia University, Morgantown, U.S.A. pp. 54-63.
  21. 박세혁 (1995), 사회체육 참가자의 관여도 프로파일,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 pp. 83-91.
  22. 이영경 (1987), 의복품목에 따른 제품관여수준과 유형 및 정보탐색활동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4-17.
  23. 이혜원 (2007), 의복관여와 헤어태도 및 헤어관여, 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
  24. 임경복 (2001), 소비자의 가치체계가 의복관여도와 쇼핑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5(7), pp. 1321-1331.
  25. 황진숙 (2006), 의복관여가 인터넷 위험지각과 점포선택기준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0(12), pp. 49-61.
  26. Park, C. W., and young, S. M. (1983), Types and levels of involvement and brand attitude formation, Advences in Consumer Research, 10, pp. 320-323.
  27. McQuarrie, E. F., and Munson, J. M.(1987), The Zaichkowsky personal involvement inventory: Modification and extension, Advences in Consumer Research, 14, pp. 36-40.
  28. Higie, R. A., and Feick, L. F. (1989), Enduring involvement:Conceptual and measurement issues, Advences in Consumer Research, 16, pp. 690-696.
  29. Mittal, B. (1989), A theoretical analysis of two recent measures of involvement, Advences in Consumer Research, 16, pp. 697-706.
  30. Atola, O. T. (1985), Hedonic and utilitarian aspects of consumer behavior: An attitudinal perspective, Advences in Consumer Research, 12, pp. 7-10.
  31. Sromovasam, T. C. (1987), An integrative approach to consumer choice, Advences in Consumer Research, 14, pp. 96-101. https://doi.org/10.1086/209096
  32. 신정원, 박은주 (1989), 의복선택기준 예측변인 연구, 복식, pp. 124-125.
  33. Eckman, M. & Damhorst, M. L. and Kodolph, S. J. (1990), Toward a model of the In-store Purchase Decision Process: Consumer Use of Criteria for evaluating women's apparel, Clothing and Textile Research Journal, 8(2), pp. 56-89. https://doi.org/10.1177/0887302X9000800208
  34. 이정원 (2009), 여성소비자의 추구혜택에 따른 골프웨어 구매행동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5-37.
  35. 송소진, 황진숙 (2007), 온라인 패션 구전에 따른 패션제품 관여와 인터넷 구매행동, 한국의류학회지, 31(3), pp. 410-419.
  36. 최정원, 장미순 (2010), 과시적 소비성향과 콜레보레이션 패션제품 구매동기, 선택기준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4(4), pp. 628-641.
  37. 남윤자, 김인숙 (1998), 한국노인여성들의 의복구매행동과 의복 불만, 복식문화연구, 6(4), pp. 162-174.
  38. 이은아 (2000), 주관적 연령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97(11), pp. 1254-1265.
  39. 박은주 (2001), 의류제품의 충동구매행동과 의류점포 서비스 품질, 의복평가기준 및 위험지각의 관계, 마케팅과학연구, 9, pp. 157-167.
  40. Sproles, G. B. (1979), Fashion: Consumer behavior toward dress, Minneapolis: Burgess, pp. 214-360.
  41. 김준희 (1991), 성인여성의 성격과 의복 구매행동과의 상관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53-55.
  42. 송용섭 (1997), 현대의 마아케팅론, 서울: 법문사, p. 197.
  43. 정혜영 (1995), 여대생의 패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의복구매행동, 복식, 25, pp. 201-213.
  44. Sproles, G. B. (1979), Fashion Besavior toward Dress, Minneapolis: Burgess Publishing Co., pp. 86-153.
  45. 신지혜 (1998), 성인여성의 의복쇼핑성향과 정보탐색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65-83.
  46. 노현지 (2003), 20-30대 남성 소비자의 의복구매행동 수준에 따른 쇼핑성향과 정보원 활용에 관한 연구: 서울, 경기지역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5-36.
  47. 김주희, 박옥련 (2004), 20-30대 남성소비자의 가치의식에 따른 의류쇼핑성향과 정보원 활용, 한국생활과학회지, 13(2), pp. 291-300.
  48. 이혜원 (2007), 의복관여와 헤어태도 및 헤어관여, 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9-31.
  49. 이영선 (1991), 소비자의 의복관여와 외적정보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130.
  50. 김수경 (2006), 신 노년층 여성의 자아지각과 여가행동에 따른 의복 구매행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3-48.
  51. 김준희 (1991), 성인여성의 성격과 의복 구매행동과의 상관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4-43.
  52. 김민희 (1998), 물질주의 성향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 중산층 성인여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85-87.
  53.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7), 국민여가생활 활성화를 위한 여가정책 심포지엄, 심포지엄 자료집, p. 32.
  54. 조현경 (2006), 소비주의에 따른 여가활동 및 의복쇼핑성향에 관한 연구:20-30대 여성을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2-43.
  55. 하지연 (2004), 직장인 여가스포츠 활동의 참여요인 구명을 위한 탐색적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52-60.
  56. 신혜봉, 이금룡, 임숙자 (2003), 중상층 노년여성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특성과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3(4), pp. 1-16.
  57. 한성지, 양리나, 김문숙 (2002), 50, 60대 여성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의복평가기준과 구매장소를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10(5), pp. 504-517.
  58. 이정원 (2009), 여성소비자의 추구혜택에 따른 골프웨어 구매행동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7-38.
  59. 송원영, 이명희 (2001), 인터넷 쇼핑에서의 의복구매 행동과 라이프스타일과의 관계 연구: 인터넷 이용자를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9(4), pp. 602-615.
  60. 오란채책, 유혜경 (2011), 몽골 여성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의복구매행동, 복식, 61(4), pp. 138-151.
  61. 이문영, 김용숙 (2006), 20대-30대 남성들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화장품 구매행동, 복식, 56(1), pp. 56-69.
  62. 조윤진, 최주현, 백현국 (2010), 성별과 연령에 따른 기능성 소재 의류제품 평가기준과 정보원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60(9), pp. 150-161.
  63. 박나리 외 (2007), 니트의류제품 구매행동과 평가기준, 한국의류학회지, 31(7), pp. 1064-1074.
  64. 홍병숙, 이은진, 김계연 (2002), 20-30대 여성의 니트웨어 구매행동 분석, 한국의류학회지, 26(7), pp. 1055-10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