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Basic Study on Required Performance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Fire Resistance Wall on High-rise Building

초고층 건축물용 내화벽체 요구성능 및 개발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연구

  • 김대회 (한국화재보험협회부설 방재시험연구원) ;
  • 박수영 (한국화재보험협회부설 방재시험연구원)
  • Received : 2011.01.19
  • Accepted : 2011.08.12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Recently the interest in disaster prevention on super tall buildings is increasing. Especially in fire, against increasing of evacuation time due to high-rise, It is being tried to minimize the fire spread in building. Fire compartments using the fire-resistant wall and door, typical method to control the fire spread in buildings, delay the fire spread to other compartments and consequently evacuation time increases. But the existing provisions adjure only 2-hour fire resistance with maximum limit regardless of the super tall buildings, so this is a obstacle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fire resistance wall in super tall buildings. In this study, we reviewed the fire resistance ratings of the wall, and presented the development directions for the fire resistance wall in super tall buildings considering fire resistance,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the wall.

최근 초고층 건축물의 방재분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화재발생 시 고층으로 인한 피난시간의 증가에 대비하여 건축물내의 화재전파를 최소로 억제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방화구획은 건축물에서 화재전파를 억제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내화성능이 있는 벽체와 방화문을 이용하여 화재발생 시 해당구획내에서 연소가 종료되거나 타 구획으로의 화재전파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난시간을 확보하게 된다. 그러나 현행 건축법에는 초고층건축물을 고려치 않은 최대 2시간 내화성능만은 요구하고 있어 초고층 건축물용 방화벽의 개발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내화벽체의 성능등급에 대하여 검토하였으며, 향후 초고층 건축물용 내화벽체 개발을 위하여 내화성능, 시공성, 사용성 등을 고려한 제품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내 내화구조 기준 개선연구(I), (II)(2000.3).
  2. 국토해양부,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2010.4).
  3. 대한주택공사, 공동주택 건식경량 내벽체 개발연구(1997).
  4. 유영동, 초고층 아파트 건식벽체의 유형분류와 차음 성능에관한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2009. 5).
  5. International Code Council, International Building Code(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