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lternative Evaluation Model for Benefit Measurement of Public Transportation by the Open of Urban Railway: Seoul Metro Line 9

도시 철도개통에 따른 대중교통이용 편익측정을 위한 대안적 평가모델 : 지하철 9호선을 사례로

  • 주용진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연구원 융합도시연구센터)
  • Received : 2011.07.13
  • Accepted : 2011.08.29
  • Published : 2011.08.30

Abstract

In accordance with low carbon and green growth paradigm, a subway is one of major public transit systems for resolving traffic congestion and decreasing traffic accidents. In addition, as subway networks expand, passengers' travel pattern in the subway network change and consequently affect the urban structure. Generally, new subway route has been planned and developed, mainly considering a travel demand forecast. However, it is desired to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forecast model regarding change of travel accessibility and passenger demand pattern according to new subway line. Therefore, in this paper, an alternative method, developed based upon a spatial syntax model, is proposed for evaluating new subway route in terms of passenger's mobility and network accessibility. In a case study, we constructed subway network data, mainly targeting the no 9 subway line opened in 2009. With an axial-map analysis, we calculated spatial characteristics to describe topological movement interface. We then analyzed actual modal shift and change on demand of passengers through the number of subway passenger between subway stations and the number of passenger according to comparative bus line from Smart Card to validate suggested methods.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provides quantitative means of visualizing passenger flow in subway route planning and of analyzing the time-space characteristics of network. Also,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be utilized for predicting a passengers' pattern and its impact on public transportation.

저탄소 녹색성장 패러다임에 맞춰 지하철은 대중교통 활성화를 위한 도시 교통의 핵심 운송 수단이다. 지하철은 대량 수송 교통체증완화 교통사고 감소 등의 역할 뿐 아니라 노선 확장에 따라 도시 공간과 네트워크상의 승객 수요의 변화를 촉진시킨다. 현재 수요예측을 주축으로 노선계획이 이루어지고 있어, 지하철 노선 변화에 따른 교통 접근성과 승객 수요 변화를 위한 실증적인 연구가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사전사후 분석을 통해 지하철 개통에 따른 대중교통 영향성을 네트워크의 연결성, 승객 이동성 측면에서 정량적으로 예측 할 수 있는 대안적 평가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이다. 우선 2009년 개통된 서울시 지하철 9호 선을 중심으로 도시 철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공간 구문 모델을 통해 9호선이 개통됨에 따른 네트워크의 위상적 변화 패턴을 분석하였다. 또한, 모델 측정 결과를 검증하기위해, 서울시 교통 카드시스템의 역간 지하철 승차 인원수와 버스 노선별 승차 인원수 자료를 이용하여, 경쟁 노선을 대상으로 버스 이용객의 수단 전환과 주요 환승역에서 승객 수요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방법론을 통해 지하철 노선 계획에 있어 승객수요변화를 가시화하고 노선 추가에 따른 전후 시공간적 변화 분석이 가능하였으며 향후 주변 대중교통의 영향성과 실제 대중교통 이용자의 이동패턴에 대한 효과적인 공간적 변화 분석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

References

  1. 0. Cadwallader, M, 1985, Analytical Urban Geography: Spatial Patterns and Theories, Prentice-Hall Inc., New York.
  2. A. Chiaradia, B. Hillier, Y. Barnes and C. Schwander, 2009. "Residential property Value Patterns in London", Ref015.
  3. B. Hillier, 2007, Space is the machine, University of Cambridge Press, Cambridge.
  4. E. Koseoglu and D. E. Onder, 2009, "Defining Salient Elements of Environment and Memory Subjective and Objective Landmarks in Ayvalik, Turkey", Proceedings of the 7th International Space Syntax Symposium.
  5. H. K. Kim and D. W. Sohn, 2002,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 use density of office buildings and urban street configuration," Cities, vol. 19, no. 6, pp. 409-418. https://doi.org/10.1016/S0264-2751(02)00071-9
  6. Z. Xinqi, Z. Lu, F. Meichen and W. Shuqing, 2008, "Extension and Application of Space Syntax A Case Study of Urban Traffic Network Optimizing in Beijing", Power Electronics and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pp. 291-295.
  7. H. Yu, J. Tosu and J. Long, 2009. Space syntax analysis of Foshan street network transformation in support historic area redevelopment, Yildiz Technical University.
  8. 김영욱, 2003, "Space Syntax를 활용한 공간구조속성과 공간사용패턴의 상호 관련성 연구," 국토계획, 제38권, 제4호, pp. 7-17.
  9. 신행우, 2007, "토지이용에 따른 보행특성에 관한 연구-Space Syntax를 활용한 보행네트워크 분석과 보행량의 상호관련성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8권, 제3호. pp. 83-94.
  10. 연경환, 황희연, 2008,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청주시 가로망 형태 분석," 국토계획, 제43권, 제1호, pp. 27-42.
  11. 오충원, 2004, "GIS와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이용한 도시공간구조 분석," 지리학연구, 제38권, 제4호, pp. 573-583.
  12. 이병욱, 이승재, 2005, "Space Syntax를 이용한 서울시 버스개편의 접근성 효과분석", 대한교통학회지, 제23권, 제8호, pp. 163-170.
  13. 전철민, 2006, "GIS 기반 Space Syntax를 이용한 대중교통 접근성",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제8권, 제3호, pp. 25-33.
  14. 주용진, 이수일, 하은지, 전철민, 2010, "그린스코어 : 지속가능 친보행 환경을 위한 측정 모형 개발", 한국공간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15. 주용진, 2011, "토지이용-교통 통합적 분석을 통한 도로 기반 도시 형태학적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정보학회지 제19권, 제3호, pp. 63-72.
  16. 채훈, 김태호, 최유란, 2009, "청계천복원사업에 따른 보행자네트워크의 변화와 건축물 용도의 변화관계연구", 서울도시연구, 제10권, 제1호. pp. 169-182.
  17. 한기봉, 강인준, 김나영, 최현, 위성영상을 활용한 지하철건설 전후의 공간환경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GIS학회 2007 공동춘계학술대회 논문집
  18. 황희연, 윤두원, 2007, "공간구문론에 의한 청주 원흥이 생태공원 가로망 배치의 적합성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 제42권, 제5호, pp. 177-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