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view on Science and Invention-gifted Students Having Social and Emotional Problem

사회-정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과학영재에 대한 고찰

  • Received : 2011.07.15
  • Accepted : 2011.09.24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search the solution for the difficulties of science and invention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with social and emotional problems that they are face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has shown that the gifted students were feeling difficulties of low self-esteem in their peer relationships,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skills. They were feeling less confident in their stress processing capacity and their multi-processing capacity. Some were also troubled with the intense expectations from their environment and theirselves which led them to feel confusion in their identities and their future. Therefore, instead of education focused on academic achievement and cognitive activity, present education for the gifted must focus on helping to solve the student's social and emotional problems and to strengthen social and emotional skills they need. To achieve this, the education for the gifted students should include a social-emotional learning program, and it should also run a continued and personalized consultation program for gifted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과학 발명 영재학생들의 사회-정서적 어려움의 정도를 알아보고 이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 해보는 것이다. 연구 결과 영재학생들은 낮은 자아 존중감으로 또래 관계 맺기, 의사소통과 협동에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자신의 스트레스 처리능력, 다중처리능력에 대한 자신감이 부족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영재교육원, 가족, 학교로부터의 과도한 기대로 인해 자신의 영재성에 대한 의심, 자아 정체성의 혼란, 진로에 대한 고민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현재 영재교육의 학업적 성취와 인지활동 위주의 교육에서 벗어나 영재들이 사회-정서적 어려움을 해결하고 영재성을 키울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영재교육에 학생들이 사회-정서적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지속적이고 개별화된 영재상담 프로그램의 운영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홍원 (2003). 초등 영재학생의 지적‧정서적 행동 특성 및 지도 방안 연구. (수탁연구보고서 CR2003-25).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 박춘성, 이정규 (2008). 영재아와 일반아간 학교 및 가정 부적응 유형차이-초등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영재교육학회지, 7(2), 121-139.
  3. 송의열 (2002). 영재 아동의 사회 정서적 특성과 스트레스 대처 행동의 이해. 한국영재교육학회지, 1(2), 65-69.
  4. 윤여홍 (2000). 영재의 심리적 특성과 정서발달을 위한 상담. 한국심리학회지, 19(1), 79-99.
  5. 이예승 (2004). 청소년의 학교 스트레스, 자아 탄력성 및 학교 적응에 관한 연구: 여자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6. 조현철 (2010). 영재학생들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능력, 학교적응, 스트레스정도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간 관계. 한국영재교육학회지, 9(1), 121-140.
  7. Chan, D. W. (2003). Assessing adjustment problems of gifted students in Hong Kong: The development of the student adjustment problems inventory. Gifted Child Quarterly, 47, 107-117. https://doi.org/10.1177/001698620304700202
  8. Geiger, R. W. D. (1997). Meeting the needs of the highly gifted: A parent's perspective. Roeper Review, 19(3), 4-6.
  9. Griggs, S. A., Dunn, R. S. (1984). Selected case studies of the learning style preferences of gifted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28(3), 115-119. https://doi.org/10.1177/001698628402800304
  10. Hollingworth, L. S. (1942). Children above 180 IQ Stanford-Binet; Origin and development. Oxford, England: World Book.
  11. Kathleen M. (1994). A developmental view of a gifted child's social and emotional adjustment. Roeper Review, 17(2), 105-109. https://doi.org/10.1080/02783199409553635
  12. Moon, S. M., Kelly, K. R., & Feldhusen, J. F. (1997). Specialized counseling services for gifted youth and their families; A needs assessment. Gifted Child Quarterly, 41(1), 16-25. https://doi.org/10.1177/00169862970410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