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iation Safety Management Guidelines for PET-CT: Focus on Behavior and Environment

PET-CT의 방사선안전관리 가이드라인 개발: 행위와 환경을 중심으로

  • Jung, Jin-Wook (Cancer Imaging Center, Seoul National University Cancer Hospital,) ;
  • Han, Eun-Ok (Department of Radiologic Technology, Daegu Health College)
  • 정진욱 (서울대학교암병원 종양영상센터) ;
  • 한은옥 (대구보건대학 방사선과)
  • Received : 2011.05.12
  • Accepted : 2011.09.07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Our purpose is to specify behavior and environmental factors aimed at reducing the exposed dosage caused by PET-CT and to develop radiation safety management guidelines adequate for domestic circumstances. We have used a multistep-multimethod as the methodological approach to design and to carry out the research both in quality and quantity, including an analysis on previous studies, professional consultations and a survey. The survey includes responses from 139 practitioners in charged of 109 PET-CTs installed throughout Korea(reported by the Korean Society of Nuclear Medicine, 2010). The research use 156 questions using Cronbach's ${\alpha}$ (alpha) coefficients which were: 0.818 for "the necessity of setting and installing the radiation protective environment"; 0.916 for "the necessity of radiation protection", "setting and installing the radiation protective environment"; and 0.885 for "radiation protection". The check list, derived from the radiation safety management guidelines focused on behavior and environment, was composed of 20 items for the radiation protective environment: including 5 items for the patient; 4 items for the guardian; 3 items for the radiologist; and 8 items applied to everyone involved; for a total of 26 items for the radiation protective behavior including: 12 items for the patient; 1 item for the guardian, 7 items for the radiologist; and 6 items applied to everyone involved. The specific check list is shown in(Table 5-6). Since our country has no safety management guidelines of its own to reduce the exposed dosage caused by PET-CTs, we believe the guidelines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means great deal to the field as it is not only appropriate for domestic circumstances, but also contains specific check lists for each target who may be exposed to radiation in regards to behavior and environment.

PET-CT 사용에 따른 피폭선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행위적, 환경적 요인을 구체화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방사선안전관리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론적 설계는 질적조사와 양적조사를 병행한 다단계-다방법론적 접근으로 선행연구 분석, 전문가 자문,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분석대상은 대한핵의학회(2010년) 기준, 국내 설치된 109대 PET-CT 담당 방사선종사자의 응답지 139부이다. 연구도구는 설문지이고 크론바하 알파(Cronbach's ${\alpha}$)계수는 "방사선방어 환경구비 및 설치의 필요성" 0.818, "방사선방어 행위의 필요성" 0.916, "방사선방어 환경구비 및 설치수준" 0.722, "방사선방어 행위수준" 0.885로 모두 높게 나타났다. 환경 및 행위 중심의 방사선안전관리 가이드라인으로 도출된 점검항목은 방사선방어 환경점검으로 환자 5항목, 보호자 4항목, 방사선사 3항목,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8항목으로 총 20항목이 구성되었고, 방사선방어 행위점검으로 환자 12항목, 보호자 1항목, 방사선사 7항목,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6항목으로 총 26항목으로 구성되었다. 구체적인 점검목록은 <표 5-6>에 나타나 있다. 국내에서는 PET-CT사용에 따른 방사선피폭을 감소하기 위한 자체적인 안전관리 가이드라인이 부재한 상태이므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가이드라인은 국내 실정에 맞고 개입이 가능한 환경과 행위측면에 대해 각 피폭 대상별로 구체적인 점검내용으로 구성한 것에 의의가 있다고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대한핵의학회. http://www.ksnm.or.kr/. 2010.
  2. 진계환, 권대철, 오기백, 박훈희, 김정열, 박민수, 박대성. 방사능 측정기를 이용한 F-18 FDG 방사능의 비교. 의학물리 2009;20(3):159-166.
  3. 임창선, 김세헌. 핵의학과에서 방사선 피폭관리 실태에 대한 조사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09;10(7): 1760-1765.
  4. 손혜경, 이상훈, 남소라, 김희중. 전신 PET/CT 영상 획득 시 투과 스캔에서의 방사선 선량. 의학물리 2006;17(2): 89-95.
  5. 이병일. 핵의학 영상장비 PET/CT의 정도관리와 성능평 가. 핵의학학회지 2008;42(2):137-144.
  6. 최재걸. 핵의학 영상기기 정도관리 실태조사 연구. 식품 의약품안전청. 2008.
  7. 한은옥, 김부순. 의료기관 PET-CT의 방사선안전관리 환 경 및 행위측정도구 개발. 대한의료영상기술연구학회지 2009;8(1):57-63.
  8. http://www.icanl.org/icanl/index.htm.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