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AISY Service Interface for the Print-Disabled

독서장애인을 위한 DAISY 서비스 인터페이스 구성에 관한 연구

  • 배경재 (동덕여자대학교 사회대학 문헌정보학과)
  • Received : 2011.08.18
  • Accepted : 2011.09.06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is research intended to identify empirical recommendations for designing the DAISY service interface and used a case-based method. The case of this research was LG Digital Talking Book Library(http://voice.lg.or.kr) of LG Sangnam Library. A group of experts evaluated the current DAISY interface serviced by the web. After evaluation, major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and these recommendations were used to develop the new DAISY Interface. Major recommendations were consideration of the reading flow of the screen-reader program, prevention of perception as an error about the time delay, development of web-based software, support for convenient functions and prevention of shortcut key overlap and so on.

본 연구는 독서장애인을 위한 DAISY 서비스 인터페이스 구성에 대한 경험적인 권장사항을 밝히기 위한 연구로서 실제 서비스 사례를 기반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서비스 사례는 LG 상남도서관에서 제공 중인 책읽어주는 도서관 서비스(http://voice.lg.or.kr)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웹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DAISY 플레이어(S/W)의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전문가 집단이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신규 DAISY 플레이어를 개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전문가 집단의 현재 인터페이스 평가 결과 신규 인터페이스에 반영해야 할 주요 개선사항이 도출되었으며, 주요 개선사항으로는 스크린리더의 화면 낭독 흐름 고려, 소프트웨어 동작 지연시 오류 인식 방지, 웹 기반 소프트웨어의 개발, 다양한 부가기능의 제공, 단축키 충돌 방지 등이 제시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민경, 김은정, 정지윤, 이경희, 이종우. 2010. DAISY 표준을 준수하는 플래시 기반 전자책 설계 및 구현.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524-527.
  2. 방송통신위원회. 2010.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0(Korean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2.0). 서울: 방송통신위원회.
  3. 배경재, 곽승진. 2006. 시각 장애인의 정보접근성 향상을 위한 유비쿼터스 도서관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 . 정보학회지, 37(2): 273-290.
  4. 장보성, 김규환, 이현정. 2009. DAISY 포맷 기반의 디지털음성도서 개발 및 서비스 방안 연구. 한국도서관 . 정보학회지, 40(3): 295-315.
  5. 전광일, 김제만, 권혁, 홍은지. 2010. 시각장애인용 전자책 기술. 정보과학회지, 28(10): 40-48.
  6.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2008년 장애인 실태조사.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정책보고서 2009-16.
  7. Burgstahler, S., D. Camden, and B. Fraser. 1997. "Universal Access: Designing and Evaluating Web Sites for Accessibility." Choice, 34: 19-22.
  8. Craven, J. and H. Booth. 2006. "Putting Awareness into Practice: Practical Steps for Conducting Usability Test." Library Review, 55(3): 179-94. https://doi.org/10.1108/00242530610655984
  9. DAISY Consortium. [online]. [cited 2011.3.1]. .
  10. DAISYpedia. [online]. [cited 2011.3.1]. .
  11. Dixon, J. M. 1999. "Levelling the Road Ahead: Guidelines for the Creation of WWW Pages Accessible to Blind and Visually Handicapped Users." Library Hi Tech, 14(1): 65-68.
  12. Kwak, Seung-Jin and Kyung-Jae Bae. 2009. "Ubiquitous Library Usability Test for the Improvement of Information Access for the Blind." The Electronic Library, 27(4): 623-639. https://doi.org/10.1108/02640470910979589
  13. Morgan, G. 2003. "A Word in Your Ear: Library Service for Print Disabled Readers in the Digital Age." Electronic Library, 21(3): 234-239. https://doi.org/10.1108/02640470310480489
  14. Reading Rights Coalition. [online]. [cited 2011.3.1]. .

Cited by

  1. 독서장애인용 모바일 전자책뷰어 인터페이스 설계 vol.16, pp.1, 2011, https://doi.org/10.9717/kmms.2013.16.1.100
  2.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 시각장애인용 음성도서 서비스 모델 구축 및 평가 vol.32, pp.2, 2015, https://doi.org/10.3743/kosim.2015.32.2.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