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Visitor Satisfaction for Bukhansan Dulegil

북한산 둘레길 이용객 만족도에 관한 연구

  • Cho, Woo-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 Yun, Hui-Ja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 Im, Seung-Bi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Rural System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조우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
  • 윤희재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
  • 임승빈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Received : 2011.07.11
  • Accepted : 2011.08.24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Since Jeju Ollegil opened in September 2007 and attracted the sensation of popularity throughout the country, the interest in 'Walking Trails' has increased, and the central ministries and the local governments composite and assign various 'Walking Trails'. Walking trails are not tours on which people go to see one spot and move to another spot by vehicle, but a long linear journey that leads people to see, to feel and to experience a region's landscape and culture while walking on the trail. 'Walking Trails' are efficient routes to discover and to use a former way and to link the various ecological regions' histories and cultural resources, so it is most important to select a route. Although the routes were selected by considering the various planning factors and giving each route a specified theme, some problems like the inconvenience of visitors caused by lack of facilities have occurred. After designation and construction of the trails, they were not properly evaluated by visitors. Therefore, it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suggest a better way to construct the trails by surveying visitor satisfaction and by analyzing the impact of planning a route on visitor satisfaction at Bukhansan Dulegil which was completed. For this study, with a questionnaire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o identify the important planning factors for selecting a route, a survey was conducted on visitor satisfaction for each section and their intention to revisit and to recommend that trail.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ection that was identified in the field research, the trails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and satisfaction of each type and each type was analyzed. In addition, analyzing the impact of planning factors on satisfaction, the impact of satisfaction on revisiting and recommending and visitors' perception of the theme, further improvement for better construction of the trail was presented. Satisfaction of sectors with strong natural elements was higher; 'walking comfort' was the highest planning factor affecting satisfaction. In addition, satisfaction was surveyed to have high influence on revisiting and recommending.

2007년 9월 제주 올레길이 개장되고, 선풍적인 인기몰이를 하면서 전국적으로 '걷는 길'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였고, 이에 따라 중앙부처 및 지방자치단체들도 다양한 '걷고 싶은 길'을 지정하거나 조성하고 있다. '걷고 싶은 길'은 차량에 의한 이동과 장소 중심의 단절된 점적 관광에서 벗어나 직접 걸으면서 지역의 경관 및 문화를 보고, 느끼고, 체험하는 연속적인 긴 선적 여행길이다. '걷고 싶은 길'은 이미 형성되어 있는 길을 발굴하여 최대한 활용하고, 지역에 존재하는 다양한 생태, 역사, 문화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연계하는 길로서, 노선 선정이 제일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걷고 싶은 길'의 노선 선정 시 다양한 계획요소를 고려하고 노선 및 구간별로 다양한 테마를 부여하여 지정되거나 조성되었지만, 편의시설 부족 등에 따른 이용객의 불편함과 같은 여러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길 지정 및 조성 이후 이용객들의 평가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조성이 완료되어 많은 이용객들이 이용하고 있는 북한산 둘레길을 중심으로 이용객들의 만족도를 조사하고, 노선 선정 시 고려한 계획요소들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더 나은 길 조성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문헌조사를 통하여 노선 선정 시 중요한 계획요소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이용객을 대상으로 각 구간별 만족도, 재방문 의사, 추천의사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조사를 통하여 파악한 구간별 특정을 기준으로 5개의 유형으로 길을 분류하고, 구간별 만족도와 유형별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계획요소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만족도가 재방문 의사 및 추천의사에 미치는 영향, 이용객들이 인지하는 구간별 테마를 분석하였다. 구간별 만족도는 자연적 요소가 강한 구간이 높게 나타났으며, 만족도에 영향력을 미치는 계획요소로는 '보행쾌적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만족도는 재방문 의사 및 타인에게 추천하려는 의사에 대하여 높은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공원관리공단(1999) 국립공원 자연학습탐방 프로그램 및 자연해설 기법 개발에 관한 연구.
  2. 권태호(2010) 가야산국립공원 탐방로 보행시설에 대한 탐방객 평가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4(3): 293-301.
  3. 김상범, 최자운, 정대영, 김은자(2010) 지역 활성화를 위한 테마길 조성 방안. 농촌지도와 개발 17(3): 587-606.
  4.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8) 서울시 생태관광을 위한 생태탐방로 조성방안.
  5. 심규원, 이주희, 나혜현(2010) 팔공 올레의 방문동기․만족도․행동의도의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4(3): 21-28.
  6. 심현남(2011) 안동시 낙동강유역 문화경관을 이용한 탐방로 계획.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유기준, 권태호(2004) 국립공원 탐방로 이용에 대한 이용객 인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4): 437-445.
  8. 유기준, 조우, 조근식(2008) 북한산국립공원 도봉지역 탐방로 보행시설에 대한 탐방객 평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2(2): 145-151.
  9. 윤인용, 양병이, 문수영, 장대희(2010) 지역단위 생태문화탐방로 노선선정 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0(1): 233-237.
  10. 이승주, 한봉호, 강현경, 이수동, 김상범(2009) 농촌전통테마마을 활성화를 위한내곡리여산팔경마을 생태탐방로노선설정방안연구. 농촌계획 15(3): 61-79.
  11. 전북발전연구원(2008) 생태.문화탐방로 지역단위계획을 위한 기본모형 연구.
  12. 전북발전연구원(2009a) 전라북도 마실길 조성을 위한 노선선정 방안 및 선정노선의 특성분석.
  13. 전북발전연구원(2009b) 스토리가 있는 전라북도 문화생태탐방로 조성 방안.
  14. 정휘, 양병이(2008) 광역 탐방로 노선설정을 위한 계획요소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6(5): 35-41.
  15. 제주관광공사(2010) 제주 올레길 이용객 실태조사 보고서.
  16. 조우, 김지석, 김종엽, 이경재(2009a) 북한산국립공원 우이령길의 생태적특성을 고려한 탐방로 조성방안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9(2): 111-114.
  17. 조우, 유기준, 최송현(2009b) 유니버셜디자인을 적용한 숲길 보행시설에 대한 이용객 평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3(1): 78-89.
  18. 조은경, 한상열, 유리화, 김재준(2009) 지리산길 조성에 따른 산촌지역 주민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3(4): 1-11.
  19. 한봉호, 최진우, 유기준, 노태환(2010) 북한산국립공원 둘레길 조성계획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 193-197.
  20. 환경부(2007) 전국단위 국토생태탐방로 조성계획 연구.
  21. 환경부(2008) 생태문화탐방로 조성 가이드라인 연구.
  22. http://www.moleg.go.kr
  23. http://www.me.go.kr

Cited by

  1. The Study on the Satisfaction and Image of Passenger at Section Seven, in Olle-gil vol.18, pp.3, 2012, https://doi.org/10.7851/ksrp.2012.18.3.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