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of Children in Low-Income and Single-Parent Family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참여가 저소득층 한부모가족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 Kim, Jung-Hee (Dept. of Child-Care Counselling & Education. Digital Seoul Culture Arts University) ;
  • Chung, Da-Wn (Dept. of Child Arts & Child-Care Education. Daegu Polytechnic University)
  • 김정희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아동상담보육학과) ;
  • 정다운 (대구산업정보대학 아동미술보육과)
  • Received : 2011.08.29
  • Accepted : 2011.10.07
  • Published : 2011.10.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research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the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s of children in low-income and single-parent families. It was performed for 24 sessions with Lee Hyeon-Jin's(2006) and Shin Ji-Hye and Kim Gui-Bok's(2009) group art therapy program. The evaluation was performed with Park Mi-Ran's self-esteem questionnaire(2007) and Kim Taehee's peer-relationship questionnaire(2005). The subjects are 26 elementary students in low-income and single parent family who are in the 2, 3, and 4 grade and use A-regional children center and B-regional children center which are located in Gyeongbuk province. Means, standard deviations,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were conducted. Firstly, the change in self-esteem of both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is investigated before and after their taking group art therapy program. There are statistically meaningful enhancements in self-esteem of experimental group. But there are no statistically meaningful enhancements in self-esteem of control group. Secondly, peer-relationships in both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do not change between before and after taking group art therapy program. Thus, the program of group art therapy is thought to be effective therapy improving the self-esteem of child in low-income single-parent family.

Keywords

References

  1. 강윤정. (1999). 결손가정아동의 대인관계증진을 위한 자기표출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곽효정. (2002). 아동의 자아 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효과에 대한 사례연구: 이혼 가정 아동을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경남. (2008). 소조활동 중심의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또래관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영미. (2002). 저소득가정 아동의 부모특성 및 가정환경과 아동방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태준. (1992). 정상가정 아동과 결손가정 아동의 결손유형에 따른 성격 특성, 적응요인 및 일탈행위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태희. (2005). 자기성장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개념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진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화정. (2002).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효지. (2010).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남현우, 이지현. (1999). 집단미술치료를 통한 저소득층가정 아동의 자아개념 증진. 미술치료연구, 6(1), 57-72.
  10. 말치오디. (2010). 김동연.이재연. 홍은주 역. 아동미술 심리이해. 서울: 학지사.
  11. 문지연. (2005). 음악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박미란. (2007).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이용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한일장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박인숙. (2006). 집단미술치료가 복지시설아동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박정옥. (2003). 결손가정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서영숙, 김진숙. (2004). 방과후 아동지도의 연구동향. 방과후 아동지도연구, 1(1), 2-37.
  16. 송도영. (2008). 교실원예 활동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청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신지혜, 김귀복. (2009). 미술치료가 ADHD 아동의 문제행동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한국생활과학회지, 18(2), 341-351. https://doi.org/10.5934/KJHE.2009.18.2.341
  18. 양강순. (2009). 한부모 가정 아동과 양부모 가정 아동의 자아 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비교연구. 안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어주경. (1998). 저소득 가족의 경제적 어려움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유경순. (2008).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언어장애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또래관계 향상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이경은. (2005). 저소득층 아동의 또래관계 향상을 위한 협동작업 중심의 집단 미술치료 사례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이근매. (2004).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결손가정 아동의 또래관계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정서.행동장애연구, 20(1), 357-372.
  23. 이수정. (2007).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저소득 가정 아동의 공감능력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이인자. (2007). 자아존중감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이정숙, 전숙영. (2001). 아동의 대인관계 개선 프로그램의 개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5), 15-32.
  26. 이종문. (1999). 심리극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자기표현 향상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이지혜. (2003). 저소득층 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한 독서치료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이현진. (2006). 협동작업중심의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또래관계 및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임선영. (2010). 한부모가족 아동의 자아존중감 프로그램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임수양. (2001).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개발론. 서울: 학문사.
  31. 임영희. (2002). 아동의 사회정서발달 프로그램을 통한 결손가정 아동의 정의적 특성 및 학업성취도 변화.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정계숙. (2008). 한부모 가족 아동의 사회.정서적 유능성 발달 : 동거 부모와 주 양육자의 영향. 아동학회지, 29(3), 207-222.
  33. 정여주. (2007).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8(4), 97-111.
  34. 정익현. (2001). 결손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사례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조금란. (2003). 한부모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대인관계 증진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조은정. (2011). 집단놀이치료가 한부모가정 아동의 또래지지와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7. 지규남. (2002).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나사렛대 석사학위논문.
  38. 최보가, 전귀연. (1993). 자아존중감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1). 대한가정학회지, 31(2), 41-54.
  39. 최신현. (2009). 협동작업 중심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또래관계와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0. 최인경. (2008).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분노표현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한국미술치료학회. (2004). 미술치료연구총서, 1-5, 한국미술치료학회.
  42. 한선화. (1997). Satir 가족치료이론을 바탕으로 한 집단 상담이 여고생의 자아존중감 및 자녀-부모간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3. 홍순혜. (2004). 부모의 이혼이 청소년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양육부모의 경제수준 및 양육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17, 151-177.
  44. 홍옥순. (1984). 집단 상담을 통한 지도가 학급내의 인간 관계변화에 미치는 영향. 현장교육의 이론과 실제II. 서울: 갑을출판사.
  45. 홍유희. (2008). 협동작업 중심의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아동의 또래관계 및 사회성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6. Coopersmith, S. (196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W. H. Freeman.
  47. Kramer, E. (1993). Art as therapy with children(2nd rd.). Chicago: Maganolia Street Publishers.
  48. Richardson, R. B., & Rayder, N. F. (1987). Self esteem research guides: School achievement and self-esteem. California: S. N.
  49. Rubin, J. A. (2005). Child art therapy. N. Y: John Wiley & Sons.
  50. Walker, E. M. (1991). Changing self-esteem: The impact of self-esteem changes on at-risk student achievement. Newark Board of Education, N. J. Office of Research, Evaluation and Testing.
  51. Wasserman, T. R. (1988). Improving first grade students' affective behavior through implementing a self-esteem program. Dissertations, M. S. Practicum, Nova University.

Cited by

  1. An effect of the group art-therapy on abused children's depression, anxiety, self image -Children's Art Therapy Department of complex convergence perspective vol.13, pp.12, 2015, https://doi.org/10.14400/JDC.2015.13.12.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