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K-ADL·K-IADL and Quality of life in Day Hospital Program for Stroke Patients

뇌졸중 환자의 낮병원 프로그램이 도구적·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박창식 (호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 송병호 (단국대학교 특수교육학과)
  • Received : 2012.10.11
  • Accepted : 2012.11.05
  • Published : 2012.11.28

Abstract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how to have an influence on activities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in day hospital program for the stroke patient. 41 experimental groups and 41 control groups in National rehabilitation hospital selected and examined K-ADL, K-IADL and quality of life.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control group in activity daily living performance and instrumental activity daily living performance. also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control group all of total items in quality of life. age and economic state of general characteristic had an effect on K-ADL, K-IADL and quality of life and economic state, scholarship, marriage, job, helper had effect on quality of life. pain, social function, mental health, physical role in item of quality of life had effect on K-ADL and limit of physical role had best effect on K-IADL. Consequently we found that it needs to continuous rehabilitation to maintain body function, to prevent secondary disability, to improve social integration and quality of life for stroke patient actually.

본 연구는 낮병원 프로그램을 받은 뇌졸중 환자들의 일반적인 특성과 삶의 만족도 중 어떤 항목이 도구적 일상생활활동과 삶의 만족도에 가장 영향력을 미치는지 인과 관계 분석을 하였다. 국립재활병원에 입원한 환자 중 실험군 41명과 대조군 41명을 선정하여 도구적 일상생활활동수행능력을 평가하고 삶의 만족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의 도구적 일상생활활동수행능력 비교에서 실험군이 대조군 보다 높은 기능을 보였으며, 삶의 만족도 비교에서도 모든 항목에 대해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K-ADL과 K-IADL 및 삶의 만족도에 일반적인 특성 항목 중 어떤 항목이 영향을 주는지 알아 본 결과 K-ADL과 K-IADL 모두 연령, 경제상태 순으로 나타났으며, 삶의 만족도에서는 경제상태, 학력, 혼인상태, 직업유무, 일상생활시 조력자 유무 순으로 나타났다. K-ADL과 K-IADL에 삶의 만족도 항목 중 어떤 항목이 영향을 주는지 알아 본 결과 K-ADL은 통증, 사회기능, 정신건강, 신체적 역할 순으로 나타났으며 K-IADL에서는 신체적 역할제한이 가장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뇌졸중 장애인들이 병원에서 재활치료가 끝난 이후에 신체적 기능을 유지하고 이차 장애를 예방하며 사회통합과 삶의 만족도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 지속적인 재활치료가 강조되어야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추도연, 뇌졸중 환자를 위한 재활 낮병원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2. C. F. Bontke and C. Boake, "Traumatic brain injury rehabilitation," Neurosurg clinics of north America, Vol.2, No.2, pp.472-482, 1991.
  3. M. A. Tucker and J. G. Davidson, "Day hospital rehabilitation effectiveness and cost in the elderly," British Medical Journal, Vol.40, No.1, pp.1209-1212, 1984.
  4. D. Zeeli and B. Issacs,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geriatric day hospitals," Postgrad Med J, Vol.64 No.2, pp.683-686, 1988. https://doi.org/10.1136/pgmj.64.755.683
  5. C. A. Stephenson and S. M. Glladman, "Parents and carer satisfaction in geriatric day hospital," Disabil, Vol.17, No.5, pp.252-255, 1995. https://doi.org/10.3109/09638289509166643
  6. 김재선, 윤형철, 이후경, 성상경, 함웅, 이규항, "정신병 환자의 통합치료를 위한 낮병원 모델의 효과성 연구", 신경정신의학회지, 제37권, 제6호, pp.1099-1110, 1998.
  7. 김재원, 뇌졸중환자 부양가족의 욕구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8. V. J. Mark and A. K. Robert, "Cost-benefits of medical rehabilitation," Arch Phys Med Rehabili, Vol.64, No.3, pp.147-154, 1983.
  9. 박시운, "뇌손상 환자를 위한 낮병원; 국립재활병원 모델을 중심으로", 국립재활원 세미나자료집, pp.45-58, 2001.
  10. 박시운, 김지영, 강민정, 장순자, 김병식, 고광욱, "국립재활병원 낮병원 프로그램의 평가", 대한재활의학회지, 제24권, 제5호, pp.1002-1009, 2000.
  11. 전세일, 재활치료학, 계축문화사, pp.248-249, 1998.
  12. 이정아, 이재혁, 임승만, 박상동, "뇌졸중 후 우울증과 일상생활 수행능력과의 상관관계",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제11권, 제2호, pp.149-154, 2000.
  13. 강복희,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가족지지와 일상생활동작 수행과의 관계 분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14. 최혜숙, 뇌졸중 환자의 신체적 회복 정도와 사회심리적 적응간의 관계,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15. 백태선, 뇌졸중환자의 삶의 질에 관한 실증적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16. 정미정, 뇌졸중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수행정도와 삶의 질,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17. M. F. Folstein, S. E. Folstein, and P. R. McHugh,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 Psychiatr Res, Vol.12, No.3, pp.189-198, 1975. https://doi.org/10.1016/0022-3956(75)90026-6
  18. 권용철, 박종한, "노인용 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의 표준화 연구: MMSE-K의 개발", 신경정신의학회지, 제28권, 제1호, pp.125-135, 1989.
  19. 한태륜, 김진호, 성덕현, "뇌졸중 환자에 있어서 Mini-Mental State 검사와 기능적 회복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대한재활의학회지, 제16권, 제2호, pp.118-122, 1992.
  20. 원장원, 양금열, 노용균, 김수영, 이은주, 윤종률, "한국형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와 한국형 도구적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의 개발", 대한노인병 학회지, 제6권, 제2호, pp.107-120, 2002.
  21. J. E. Bost, B. A. Williams, M. T. Bottegal, Q. Dang, and D. M. Rubio, "The 8-item Short-Form Health Survey and the physical comfort composite score of the quality of recovery 40-item scale provide the most responsive assessments of pain, physical function, and mental function during the first 4 days after ambulatory knee surgery with regional anesthesia," Anesth Analg, Vol.105, No.6, pp.1693-1700, 2007. https://doi.org/10.1213/01.ane.0000287659.14893.65

Cited by

  1. Effects of Auricular Acupressure Therapy on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mong Stroke Patients at Home vol.18, pp.2, 2015, https://doi.org/10.7587/kjrehn.2015.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