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Construction Method of Hybrid Web-based Smart Learning Systems

하이브리드 웹 기반의 스마트 러닝 시스템 구축 방안 연구

  • Kim, JongBae (Department of Computer Engineering, Seoul Digital University)
  • 김종배 (서울디지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 Received : 2012.03.08
  • Published : 2012.09.25

Abstract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of constructing of hybrid web-based smart learning system to operable in a variety of mobile devices. To do this, the proposed system is developed a learning system with standardized and enhanced functions. In the proposed method, API specifications based on the standard functionality of smart learning system are created. And then, by building the API provider on a legacy system an organic linkage between the legacy system and the smart learning system is guaranteed. A standard API method is applied to data integration between the PC-based learning system and the smart learning system. The smart learning system interacts with legacy learning systems though Json/XML data forms via the https protocol. As a result, the legacy system using the proposed method dose not require major modifications and changes for a smart learning service.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모바일 기기에 운용 가능한 표준화와 고도화 기능을 충족시키기 위한 하이브리드 웹 기반의 스마트 러닝 시스템 구축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한 연구에서는 스마트 러닝 시스템 기능 정의를 바탕으로 표준 API 사양서 작성하고 이를 근거로 PC 기반의 e-러닝 시스템의 데이터를 API 연동 규격에 맞게 ASP 페이지를 구현한다. 그리고 PC 기반의 e-러닝 시스템과 모바일 기반의 스마트 러닝 시스템 간의 데이터 연동은 표준 API 방식 연동을 통한 Json/XML 형태의 데이터를 Https 프로토콜 기반으로 상호 연동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별도의 기반 시스템 및 지원 시스템 없이 즉시 데이터 교환이 가능한 구성을 가지며 PC 기반의 e-러닝 시스템의 수정 및 변화 없이 모바일 기반으로 학습 서비스가 가능함으로써 비용적인 측면에서 효과적인 시스템 구축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S. Kim and Y. I. Yoon, "A model of smart learning system based on elastic computing", Proc. of the Conf. on Software Eng. Research, Manag. and App., 184-185, 2011.
  2. L. Uden, et al., "The future of E-learning: Elearning ecosystem", Pro. of the Conf. on Digital Ecos. and Tech., pp.113-117, 2007.
  3. 김용, 손진곤, "스마트폰 활용을 위한 초․중등 교육용 이러닝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 12, no. 4, pp.135-143, 2011.
  4. 스마트 시대의 패러다임 변화 전망과 ICT 전략, 한국정보화진흥원 조사연구보고서, 2011.
  5. 민성기, 양승빈, "모바일 환경에서의 스마트 러닝 시스템 개발 전략",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논문집, vol. 38, no. 1, pp.16-19, 2011.
  6. 이성훈, 한동원, "스마트 기술의 응용 현황 및 미래", 한국정보기술학회지, vol.9, no.2, pp.45-52, 2011.
  7. 이상희, 정애경, "스마트폰을 활용한 이러닝 콘텐츠 교수학습 운영에 관한 연구", 대한전자공학회 추계학술대회, 593-594쪽, 2010.
  8. 김훈희, 심송학, "웹 기반 콘텐츠의 스마트 러닝 적용 방법", 한국인터넷정보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vol. 12, no. 2, pp.235-236, 2011
  9. 방송통신위원회, http://www.kcc.go.kr
  10. 이원석, 전종홍, 이승윤, "스마트폰용 하이브리드 웹 플랫폼, HyWAI", 정보처리학회논문지, vol. 17, no. 3, pp.93-99, 2010.
  11. http://blog.daum.net/tomayoon/7094001
  12. 곽덕훈 외 5명, 대학 e-러닝지원센터 내실화 및 발전 방안 수립 연구, Keris 연구보고서, CR2006-42, 2006.
  13. 스마트교육 추진전략 실행 계획, 교과부 보도자료, 2011.
  14. 김규진, 이종숙, 조금원,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 러닝 환경 구축", 한국인터넷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 pp.205-206, 2010
  15. 이성춘, 이승환, 김연, "iPhone과 캠퍼스라이프 혁신(울산과학기술대)", KT경제경영연구보고서, 2010.
  16. http://www.kbench.com/digital/?no=93566&sc=1
  17. http://www.nocutnews.co.kr/show.asp?idx=1712205
  18. http://web.mit.edu/newsoffice/
  19. http://www.nemopan.com/photo_school/3032646
  20. 신화선, 김용환, 최병호, "모바일 플랫폼에 특성화된 미디어 프레임워크 설계 연구", 대한전자공학회 하계학술대회, pp.2055-2057, 2010.
  21. 안영두, 임황빈, "XML 3-tier 기반의 가상교육 시스템 평가", 대한전자공학회 논문지, 제39권, IE, 2 호, 124-133쪽, 2002년.
  22. 김종배, et al., Smart Learning 시스템 구축 및 운영 선도대학 보고서, KERIS, 2011.11.
  23. 김종배, 2011 KERIS 교육정보화 심포지움: 스마트 교육 추진 전략의 현황과 과제, KERIS, 2011.
  24. 김종배, "API 기반의 스마트 러닝 시스템 구축 방안 연구", 정보 및 제어 심포지엄, pp.171-172, 2012.

Cited by

  1. 스마트러닝을 위한 실시간 학습평가 및 상호작용 시스템 구현 vol.2, pp.6, 2012, https://doi.org/10.3745/ktccs.2013.2.6.245
  2. WebRTC 기반 원격 협업 학습 플랫폼 기술 연구 vol.40, pp.5, 2012, https://doi.org/10.7840/kics.2015.40.5.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