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pplicability of Emergency Preemption Signal Control under UTIS

UTIS를 이용한 긴급차량 우선신호 제어방안

  • Received : 2012.07.05
  • Accepted : 2012.09.20
  • Published : 2012.10.31

Abstract

Even thought the firefighters have to hurry to the scene to extinguish the blaze, the fire engines could not rushed out due to the worst of traffic condition. Traffic signal control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ethods to minimize the fire engines's travel time. The focus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traffic control strategy, which is emergency vehicle preemption algorithm considering pedestrian in order to reduce travel time of emergency vehicle. This algorithm also includes recovering strategy after preemption signal to minimize the other vehicle's delay. In order to estimate the effectiveness of traffic control, traffic simulation was performed using VISSIM micro simulation tool for two different kinds of networks, which were non-coordinated corridor and coordinated corridor. The differences of travel time and average delay between emergency vehicle and ordinary vehicle were respectively estimated under pre-existed pretimed signal and preemption traffic control at two respective networks. The results of the simulation for the emergency vehicle, travel time was reduced to 36.8~43.3% under "Add or Subtract" method whereas it was reduced to 30.7~46.0% under "Dwell" method. In addition, in non-coordinated corridor case of ordinary vehicle, average control delay of "Dwell" method was increased 33.5% whereas it grew 0.5% under coordinated corridor. And "Add or Subtract" method was confirmed that average control delay of ordinary vehicle was increased 0.7% under non-coordinated corridor whereas it swelled 4.5% under coordinated corridor.

최근 10년간 긴급차량(소방방채청 기준)의 출동 건수 및 출동 시간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혼잡으로 인한 출동여건은 나빠지고 있다. 특히, 일반 승용차의 양보가 힘든 상황에서 신호제어 전략은 출동시간을 줄일 수 있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로서 본 연구에서는 경찰청의 UTIS 사업과 연계하여 신호교차로에서 사용가능한 긴급차량 preemption 알고리즘을 보행자를 고려한 현시전략 및 주기 회복 전략을 고려하여 개발하였다. 또한 이를 평가하기 위한 방안으로 VISSIM을 이용하여 대전에 위치한 비연동축 및 연동축에 대하여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모의실험의 객관적 평가를 위해 네트워크 정산 및 검증 과정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기존 고정식 신호제어와 preemption 신호제어에서 긴급차량과 일반차량의 통행시간 및 평균지체를 검토하였다. 긴급차량의 경우 preemption 이후 주기회복에 "Add 또는 Subtract"을 사용할 경우 36.8~43.3%, "Dwell" 방식을 사용할 경우 30.7~46.0%의 통행시간 감소가 확인되었으며, 일반차량의 경우, 비연동축에서 Dwell 방식을 취할 경우 평균지체가 33.5%까지 증가하였으며, 연동축에서는 0.5% 증가만 확인되었다. 또한 비연동축에서 "Add 또는 Subtract"은 0.7%, 연동축에서는 4.5% 평균지체 증가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preemption 이후 주기회복과정은 연동축에서는 "Dwell", 비연동축에서는 "Add 또는 Subtract"의 방식이 우수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연동축에 대한 명확한 구분이 어려울 경우, "Dwell" 방식의 사용은 신중히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소방방재청, "2011년도 구조활동 실적분석", 구조구급과, pp.15, 2012
  2. 도로교통공단 교통과학연구원, "도시교통정보시스템(UTIS) 표준 S/W 개발 및 활용방안", 2010
  3. 박현준,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 "주요 교차로의 평균지체를 고려한 긴급차량 우선처리 신호모형 개발 : 회복주기의 신호시간 산정을 중심으로", 2006
  4. 이재영, 아주대학교, 석사학위, "대기행렬길이 제약조건을 고려한 Preemption 제어 전략에 관한 연구", 2008
  5. 양륜호, 아주대학교, 석사학위, "긴급차량 우선신호(preemption) 제어 적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2008
  6. 김상복, 아주대학교, 석사학위, "과포화 교통축에서의 Preemption 신호제어 우회기준 설정 방법론 개발", 2010
  7. Bullock, D., Morales, J. M., and Sanderson, B., "Impact of Signal Preemption on the Operation of the Virginia Route 7 Corridor," Proceedings of the 1999 ITS America Conference, April 19-22, 1999.
  8. Nelson, E and Bullock, D., "Impact of Emergency Vehicle Preemption on Signalized Corridor Operation: An Evaluation," The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vol. 1727, pp.1-11, 2000 https://doi.org/10.3141/1727-01
  9. Yun, I., Best, M., and Park, B., "Evaluation of Emergency Vehicle Preemption Strategies on a Coordinated Actuated Signal System Using Hardware-in-the-Loop Simuation," The 85th TRB Annual Meeting CD-ROM, 2007
  10. 도로교통공단, 도시교통정보시스템(UTIS) 규격서, 2010

Cited by

  1. A Selection Method of Implementation Area for Emergency Vehicle Preemption System Using Dispatch Data Analysis vol.15, pp.2, 2016, https://doi.org/10.12815/kits.2016.15.2.024
  2. Adaptability Analysis of Emergency Preemption System in Field Operation vol.16, pp.3, 2017, https://doi.org/10.12815/kits.2017.16.3.95
  3. A Passive Traffic Signal Priority Control Algorithm for Emergency Vehicles vol.16, pp.3, 2017, https://doi.org/10.12815/kits.2017.16.3.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