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Nocturnal Surface Cooling and Cold Air Transport Analysis Based on High Density Observation - A Case Study of Eunpyeong New Town in Seoul

고밀도 관측자료를 이용한 야간 지면냉각과 찬공기 이동 분석 - 서울 은평구 뉴타운 사례

  • 이채연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
  • 김규랑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
  • 최영진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
  • 원혜영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
  • Received : 2012.10.12
  • Accepted : 2012.12.14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Climate analysis is important in urban planning for human comfort. Synoptic weather conditions can only resolve the 30% of local variance of wind conditions whereas 70% of the variance arise from local terrain, buildings, and other small scale thermal conditions. Climate Analysis Seoul (CAS) was developed to resolve such micro-scale climate. The Local-scale air temperature Deviation (LD) analysis map from CAS showed the co-existence of built-up and suburban areas in the study region (CR, Cold-air analysis Region) despite its small extent. Temperature, humidity, wind speed, and wind direction were monitored in CR. Hourly observed cooling rate agreed well with LD. Cold air production, transportation, and stagnation was visualized by the observed Vertical Temperature Gradient (VTG) along the small stream in CR. VTG observed at the upper-most stream can be divided into two components: radiative cooling and cold air inflow from outside. Radiative cooling exists regardless of the wind speed whereas cold air inflow occurs only with calm wind. From the regression analyses based on the wind speed, the inflow portion was determined as 84% of radiative cooling. Climate analysis in the future will be able to characterize the changes in cold air by urban development plan to support the human comfort.

기후분석은 도시 쾌적도를 고려하는 도시계획에 있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도시지역의 기후는 종관규모보다 작은 국지규모의 기후 영향을 받는데, 본 연구에서는 도시 안에서의 야간 지면냉각과 찬공기 생성 및 유입의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도시지역의 국지기후에 대한 영향을 정량화 하고자 하였다. 서울관측소 풍속에 미치는 종관 기상의 영향은 30%정도인 반면, 관측소 주변의 지형 건물 열적 현상의 영향은 70%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울 은평구 뉴타운의 연구지역에 대하여 서울기후분석(CAS, Climate Analysis Seoul) 모델로 분석한 결과, 국지영향 기온편차 분포에서 토지피복률에 따라 도시 및 도시외곽 지역의 기온 특성이 함께 존재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고밀도 관측 자료로부터 각 지점들의 시간대별 열적반응이 국지영향 기온편차 분포와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관측지점들 중 실개천을 따라 설치된 지점들의 일변동은 유사하게 나타났는데, 인근 산으로부터 경사면을 따라 유입된 찬공기의 생성, 이동, 정체는 관측된 수직기온경도를 이용하여 표현되었다. 실개천의 입구에서 관측된 수직기온경도는 지면 냉각에 의한 것과 외부로부터의 찬공기 유입이라는 두 가지로 설명될 수 있다. 지면냉각은 풍속과 관계없이 존재하지만, 찬공기 유입에 의한 냉각효과는 풍속이 낮을 때만 일어났다. 풍속의 강약에 따른 회귀분석식을 이용하여, 찬공기 유입 냉각효과는 국지적인 지면 냉각의 84%였다는 것을 밝혔다. 본 연구를 통해 지역특성이 국지기후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를 기존의 정적인 기온영향 분석에서 동적인 찬공기 유입분석으로 확장하였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기후분석에서는 도시민의 쾌적도를 지원하기 위한 도시개발계획의 찬공기 특성 변화를 분석할 수 있게 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류지원, 정응호, 기대욱, 차재규, 손경수. 2008. KLAM_21을 활용한 바람생성기능 평가분석 연구: 대구시를 대상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2):85-92.
  2. 명수정. 2009. 도시지역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열섬효과 완화방안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3. 송봉근, 박경훈. 2010. 기후생태적 기능을 고려한 찬공기 생성지역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1):114-127.
  4. 신동훈, 조상필, 森山正和, 竹林英樹, 이규석. 2011. 친환경 도시계획을 위한 도시기후지도 작성에 관한 연구. 서울도시연구 12(1): 1-16.
  5. 엄정희. 2010. 용산미군기지 지역의 기후정보 구축 및 계획적 활용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 학회지 45(1):185-198.
  6. 이채연, 안승만, 김규랑, 최영진, Dieter Scherer. 2012. 상세 공간정보를 활용한 국지기온 분석 개선 -서울 은평구 뉴타운을 사례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1):144-158.
  7. 이채연, 엄정희, 최영진, 김규랑, Dieter Scherer, Ute Fehrenbach, 김근회. 2011. 토지이용도와 기상모델을 이용한 서울기후분석(CAS)지도 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4(1):12-25.
  8. 정응호, 김대욱, 류지원, 차재규, 손경수. 2008. 위성자료를 활용한 대구지역 바람길 생성의 공간적 특성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 (2):73-84.
  9. Chow, W.T.L. and B.M. Svoma. 2011. Analyses of nocturnal temperature cooling-rate response to historical local-scale urban land-use/land cover change.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and Climatology 50(9):1872-1883. https://doi.org/10.1175/JAMC-D-10-05014.1
  10. Eum, J.H. 2008. Integration of Climate Information into Spatial Planning in Seoul South Korea. Dissertation, Technical University of Berlin, Berlin, Germany.
  11. Goldbach, A. and W. Kuttler. 2012. Quantification of turbulent heat fluxes for adaptation strategies within urban plan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33(1):143-159.
  12. Kuttler, W. 2002. Local cold air and its significance for the urban climate. 4th AMS Symposium on the Urban Environment. Norfolk, pp.56-57.
  13. Lengfeld, K., and F. Ament. 2011. Observing local-scale variability of near-surface temperature and humidity using a wireless sensor network.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and Climatology 51:30-41.
  14. Perego, S. 1999. Metphomod-a numerical mesoscale model for simulation of regional photosmog in complex terrain: model description and application during Pollumet 1993 (Switzerland). Meteorology and Atmospheric Physics 70(1/2):43-69. https://doi.org/10.1007/s007030050024
  15. Zangl, G. 2005. Dynamical aspects of wintertime cold-air pools in an Alpine valley system. Monthly Weather Review 133(9):2721-2740. https://doi.org/10.1175/MWR2996.1

Cited by

  1. Chang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Urban Heat Environment with Residential Redevelopment vol.55, pp.5, 2016, https://doi.org/10.1175/JAMC-D-15-0321.1
  2. Impact of the Local Surface Characteristics and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Heat Island to Suburban Areas on the Night Temperature Distribution over the Seoul Metropolitan Area vol.17, pp.1, 2014, https://doi.org/10.11108/kagis.2014.17.1.035
  3. Management of the Nakdong-Jeongmaek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Cold Air - Focused on Busan, Ulsan, Pohang - vol.44, pp.5, 2016, https://doi.org/10.9715/KILA.2016.44.5.103
  4. Atmospheric Characteristics of Fog Incidents at the Nakdong River : Case Study in Gangjeong-Goryeong Weir vol.24, pp.5, 2015, https://doi.org/10.5322/JESI.2015.24.5.657
  5. Development of an Urban High-Resolution Air Temperature Forecast System for Local Weather Information Services Based on Statistical Downscaling vol.9, pp.5, 2018, https://doi.org/10.3390/atmos9050164
  6. 서울 도시계획 정책을 적용한 기후영향평가 - 남북녹지축 조성사업을 대상으로 - vol.24, pp.2, 2015, https://doi.org/10.14249/eia.2015.24.2.134
  7. 도시 열환경개선을 위한 공간지형적 특성에 따른 바람길 유동 비교 분석 vol.20, pp.2, 2012, https://doi.org/10.11108/kagis.2017.20.2.075
  8. 낙동강 중류에서 하천 증발이 안개에 미치는 영향 vol.38, pp.6, 2012, https://doi.org/10.5467/jkess.2017.38.6.395
  9. 하늘시계지수 비교 및 도시기온 상관성 연구: 강남 선정릉지역을 중심으로 vol.27, pp.4, 2012, https://doi.org/10.14191/atmos.2017.27.4.483
  10. 전주지역의 바람길 특성 분석 및 활용 방안 vol.33, pp.3, 2019, https://doi.org/10.13047/kjee.2019.33.3.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