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valuation of Patient Dose in Interventional Radiology

중재적방사선검사에서 환자 피폭선량에 관한 연구

  • 박형신 (동국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 임청환 (한서대학교 방사선학과) ;
  • 강병삼 (신구대학교 방사선학과) ;
  • 유인규 (한서대학교 방사선학과) ;
  • 정홍량 (한서대학교 방사선학과)
  • Received : 2012.10.03
  • Accepted : 2012.12.10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To perform patient dose surveys in major interventional radiography procedures as a mean of inter-institutional comparison and of establishing reference dose levels with the ultimate goal of optimizing patient doses in the field of interventional radiography. We reviewed international patient dose survey data in the literature and measured patient dose in major interventional radiography procedures (TACE, AVF, PTBD, TFCA, GDC embolization). ESD(Entrance Skin Dose) was measured using TLD chips attached to the patient skin and ED(Effective Dose) was calculated using angiography unit-derived DAP. A survey of patient dose in interventional radiography procedures were also performed with a questionnaire for interventional radiologists and we proposed a guideline for optimizing patient doses in the field of interventional radiology. The patient dose survey data in interventional radiography procedures were very rare in literature compared with those in diagnostic radiography procedures. In TACE, the mean ED was 25.43 mSv and the mean ESD was 511.75 mGy. The mean ED of TACE was not high, but the cumulative dose should be checked, due to longer procedure TACE. In TFCA, the mean ED was 22.6 mSv and it was relatively high compared with data of other countries. In GDC embolization, the mean ED was not available, because GDC embolization was performed with old Image-Intensifier-type unit and there has no unit-installed ionization chamber. Also, the mean ESD of GDC embolization was up to 2,264 mGy and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alculate the net ED of GDC embolization. Patient dose occurred during interventional radiography procedures are high related with the difficulty of the procedure, fluoroscopy time, the number of angiographies and the treatment protocol. Therefore, continuous education and efforts should be made to optimize the patient dose in the field of interventional radiology.

본 연구의 목적은 주요 중재적 시술을 시행 받는 환자를 대상으로 각 시술 당 환자의 피폭선량을 측정 및 평가하여, 우리나라 환자들이 중재적 시술을 시행 받을 때에 받게 되는 방사선 피폭의 위험도를 평가하고, 중재적 방사선 시술 시 환자 피폭선량에 대한 기준 선량 권고안을 마련하며, 환자의 피폭선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각국의 중재적 방사선 분야에서의 환자 피폭선량을 조사하였고, 주요 병원에서 대표적인 중재적 시술을 대상으로 각 시술 당 환자가 받게 되는 피폭선량을 주요 신체 부위에 부착한 열형광선량계(TLD) chip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혈관조영장비에서 얻어지는 면적선량(dose area product ; DAP)값을 이용하여 유효선량(effective dose; ED)을 측정하였다. 중재적 방사선분야에서의 환자 피폭선량과 관련된 연구와 자료는 진단 방사선 영역과는 달리 상당히 적은편이었다. 이번 연구에서 TACE의 평균 ED는 25.19 mSv로 나타났다. 다른 나라에 비해 높은 편은 아니지만, 몇 달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시행 받아야 하는 시술의 특성상 누적선량(cumulative dose)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TACE의 평균 표면입사선량(ESD)은 511.75 mGy로 비교적 안전한 편이나, 최대 ESD는 4,346 mGy까지 측정되어 시간이 오래 걸리는 일부 TACE 시술에서는 결정적 효과에 대해서도 시술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AVF 시술과 PTBD의 평균 ED는 각각 0.28 mSv와 4.8 mSv로 비교적 낮은 수준의 환자 피폭선량을 보였다. TFCA의 경우 평균 ED는 22.6 mSv로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환자 피폭선량을 보였다. GDC embolization의 경우 대부분의 병원에서 DAP값이 지원되지 않는 구형장비를 사용하는 관계로, 이번 연구에서는 ED값을 구하지 못하였다. 하지만 평균 51.1분의 투시시간과 평균 2,264 mGy의 높은 ESD를 보이고 있어, ED 역시 상당히 높으리라 예상되며, 이에 대한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TFCA와 GDC embolization을 병행하여 시행하는 경우 약 3 Gy의 선량이 피폭되므로 방사선으로 인한 장해를 방지하기 위해서 조사야를 변경하여 시술하는 것을 권고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도영수: 중재적방사선분야 종사자 안전관리기준평가, 식품의약품안전청 연구결과보고서, 2005
  2. 이광용: 진단방사선분야에서의 진단참고준위 확립을 위한 워크숍, 식품의약품안전청, 3-33, 2008
  3. B J McParland: A study of patient radiation doses in interventional radiological procedures. The British Journal of Radiology, 71, 175-185, 1998
  4. 손진현: CIRS Phantom과 TLD를 이용한 간동맥화학 색전술 시 복부장기의 선량 실측 및 분석, 고려대학교 의용과학대학원 석사논문, 2004
  5. 김유현: 진단방사선영역에서 의료피폭선량의 기준 개발, 과학기술부 최종 연구보고서, 2005
  6. 고신관, 강병삼, 임청환: 중재적방사선분야 방호용구 차폐효과, 방사선기술과학, 30(3), 213-218, 2007
  7. D Bor, T Sancak, T Olgar, Y Elcim, A Adanali: Comparison of effective doses obtained from dose area product and air kerma measurements in interventional radiology, The British Journal of Radiology, 77, 315-322, 2004 https://doi.org/10.1259/bjr/29942833
  8. Brambilla M, Marano G, Dominietto M, Cotroneo AR, Carriero A: Patient radiation doses and references levels in interventional radiology, Radiology and Nuclear Medicine,107, (4), April, 408-18, 2004
  9. C.Theodorakou, J. A. Horrocks, A study on radiation doses and irradiated areas in cerebral embolisation: The British Journal of Radiology, 76, 546-552, 2003 https://doi.org/10.1259/bjr/26353198
  10. F. W. Schultz and J. Zoetelief: Dose Conversion Coefficints for Interventional Procedures, Radiation Protection Dosimetry, 117(1-3), 225-230, 2005 https://doi.org/10.1093/rpd/nci753
  11. Theodorakou, J. A. Horrocks: A study on radiation doses and irradiated areas in cerebral embolization, The British Journal of Radiology, 76, 546-552, 2003 https://doi.org/10.1259/bjr/26353198
  12. 김태일, 윤진호, 백금문, 김정이, 오제선, 이형진: 디 지털 디텍터 방식(Flat pannel detector) 혈관조영장비 의 선량비교, 대한심맥관중재기술학회지, 10, 84-91, 2007
  13. 한재복, 최남길, 성호진: 입사 표면 선량 계산에 따른 진단용 X선 촬영시 피폭선량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1(12), 2011
  14. Bozkurt A, Bor D: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equivalent dose to organs and tissues of the patient and of the physician in interventional radiology using the Monte Carlo method, Phys Med Biol, 52,317-330, 2007 https://doi.org/10.1088/0031-9155/52/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