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of Cause-Related Marketing on Consumer Attitude for Fashion Brand

패션브랜드의 공익연계마케팅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 Park, Kyunga (Dept. of Fasion Design, SungKyunKwan University) ;
  • Hwang, Sunjin (Dept. of Fasion Design, SungKyunKwan University)
  • 박경아 (성균관 대학교 의상학과) ;
  • 황선진 (성균관 대학교 의상학과)
  • Received : 2012.08.27
  • Accepted : 2012.10.29
  • Published : 2012.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ause-related marketing on consumer attitude for fashion brand in terms of brand familiarity, consumer's propensity for data processing and types of advertising. The design of this study is comprised of 2(brand familiarity : high vs low)${\times}$ 2(consumer's propensity for data processing : high vs low), designed with three mixed elem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308 male and females in twenties or thirties from the area of Seoul, Kyunggi, Busan and Daegu. Data analysis is carried out through T-test, and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fashion brand pursues cause-related marketing, brand familiarity, consumer's propensity for data processing and types of advertising have statistically interaction effect on consumer's preference. Second, rational appeals in advertising have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n consumer's preference in terms of brand familiarity. Rational appeals are preferred to Emotional appeals in both familiar and unfamiliar brand. Third, when fashion brand pursue cause-related marketing, brand familiarity, consumer's propensity for data processing, and the types of advertising have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n consumer's preference.

Keywords

References

  1. 안광호, 황선진, 정찬진 (2010), 패션마케팅(제3 개정판), 서울: 수학사.
  2. 유승엽, 김은희 (2007), "기업의 특성에 따른 사회공헌활동 활용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8(3), pp.315-338.
  3. Varadarajan, P. Rajan and Anil Menon (1988), "Cause-related marketing: A coalignment of marketing strategy and corporate philanthropy," Journal of Marketing, 52 (July) 58-74. https://doi.org/10.2307/1251450
  4. Pringle, H., & Thompson, M. (1999), Brand spirit: How cause related marketing builds brands, Chichester; New York: John Willey.
  5. Baron, M. J., Miyazaki, A. D., & Taylor, K. A. (2000), "The influence of cause-related marketing on consumer choice: Does onegood turn deserve another?".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28(spring),pp. 248-262. https://doi.org/10.1177/0092070300282006
  6. 이소연 (2005), "공익광고의 광고소구 유형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관한 연구: 2000년 이후 주요 일간지 신문광고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이정민 (2007), "광고메시지주장, 광고유형 및 자기감시가 도움행동에 관한 공익광고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조성준 (2008), "공익광고 표현의 은유성에 있어서 이슈 관여도에 따른 광고효과 연구",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양석주 (2008), "공익광고의 소구유형에 대한 자기감시와 도덕성이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인터넷관련 공익광고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광고홍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조형오 (2000), "공익연계마케팅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광고학연구, 49, pp.127-175.
  11. Petty, Richard E., & Cacioppo, John T.(1986), The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of persuasion,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In L.Berkowitz(Ed.), pp. 123-205.
  12. 양윤,김경민(2004), 광고유형, 정보단서유형 및 정보처리양식에 따른 우연광고노출의 영향, 광고연구, 64, pp.161-189.
  13. 권미정, 이계숙, 이순덕 (2005), "패션기업의 사회지향적 마케팅 실천 및 전략에 관한 연구",한국생활과학학회지, 14(1), pp. 179-192.
  14. 권미정, 이계숙, 이순덕 (2005), "국내패션기업의 사회지향적 마케팅 실천에 관한 연구" pp.1-19.
  15. 고현진 (2010), "패션기업의 공익추구현상", 한국의류학회지, 34(10), pp. 1717-1730.
  16. 황선진, 이윤경 (2008), "문화마케팅을 통한 패션업체의 브랜드 이미지 관리에 대한 연구- 패션브랜드와 문화예술 이미지 부합도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2(2), pp. 223-234.
  17. 김은경, 성희원 (2011), "캐주얼브랜드의 사회적 책임과 문화마케팅에 대한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3(2), pp.162-172.
  18. "패션업계 기업 철학 담은 이색 사회공헌 캠페인 열풍"(2012.5.24), 패션저널, http://okfashion.co.kr/index.cgi?action=detail&number=23728&thread=81r07
  19. "Fashionable CSR"(2010.12.09.), 삼성디자인넷, http://www.samsungdesign.net/Report/Report/List.asp?An=619
  20. 이은영. (2008), "공익연계마케팅 프로그램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항공경영학회지, 6(2), pp. 123-137.
  21. Alba, J. W & Hutchinson, J. W.(1987),Dimensions on Consumer Expertis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3(March), pp.411-454. https://doi.org/10.1086/209080
  22. Tellis, G, J. (1997), "Effective frequency:One exposure or three factor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37(4), pp. 75-80.
  23. 손영석 (2002), "스포츠 스폰서쉽에 대한 소비자 태도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소비자학 연구, 13(3), pp. 121-150.
  24. 김하연 (2004), "공익연계 공동 마케팅 광고가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브랜드 친숙성과 제품의 공익관련성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서은경, 황선진 (2009), "공익마케팅을 전개하는 패션브랜드에 대한 소비자 태도와 친 숙성이 신뢰와 구매촉진에 미치는 영향", 복식, 59(6), pp. 1-15.
  26. Chaiken (1980), "Heuristic versus systematic information processing and the use of source versus message cues in persua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 pp.752-766. https://doi.org/10.1037/0022-3514.39.5.752
  27. Celsi & Olson (1988), Celsi, R.L. and Olsen, J.C. (1988), "The role of involvement in attention and comprehension processe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5(2), pp. 210-224. https://doi.org/10.1086/209158
  28. Chaiken (1980), "Heuristic versus systematic information processing and the use of source versus message cues in persuasion",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 pp.752-766. https://doi.org/10.1037/0022-3514.39.5.752
  29. Johar, J. S., and Sirgy, J. M. (1991),"Value-expressive versus utilitarian advertising appeals: When and why to use which appea", Journal of Advertising, 20, pp.22-33.
  30. 최지현 (2008), "이성 감성소구유형과 환경가치지향에 따른 공익광고 효과 연구 : 일회용품 사용자제 인쇄 광고물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구자열, 조봉진 (2000), "광고표현방법, 상품/상표 친숙성, 상품평가특성과 상품상징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경영학연구, 29(1), pp. 291-319.
  32. 황선진, 송기은, 이윤경 (2003), "조정변수로서 소비자의 유행관여, 상표친숙성, 부정적 정보가 의류상표확장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7(1), pp.9-17.
  33. 윤지영 (2007), "제휴 의류제품에 대한 사전지식, 파트너 브랜드의 선도적 지위 및 파트너 브랜드의 부정적 정보유형에 따른 제휴 의류제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양석주 (2008), "공익광고의 소구유형에 대한 자기감시와 도덕성이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인터넷관련 공익광고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5. Fishbein, M., & Ajzen, I. (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ading, MS:Addison-Wesley.
  36. 이학식, 김영 (1997), "반복광고 실행과 광고효과 간의 관계에 대한 조정변수들의 역할", 광고학연구, 34, pp.51-77.
  37. Campbell, M. C., & Keller, K. L. (2003), "Brand familiarity and advertising repetition effect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0(September), pp. 292-394. https://doi.org/10.1086/376800
  38. 오형숙 (1991), "소비자 개인별 특성과 제품 광고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Elaboration Likelihood Model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Cited by

  1. The Effects of Consumer Value and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y on the Attitude toward and Purchase Intention of Fashion Cause-related Marketing Products vol.39, pp.1, 2015, https://doi.org/10.5850/JKSCT.2015.39.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