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tus of Herbal-drug-associated Adverse Drug Reactions Voluntarily Reported by EMR

1개 대학 한방병원에서 EMR을 통해 보고된 한약에 의한 약물유해반응의 현황

  • Kwon, Yeong-Ju (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Graduate School of Dong-Guk University) ;
  • Cho, Woo-Keun (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Graduate School of Dong-Guk University) ;
  • Han, Chang-Ho (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Graduate School of Dong-Guk University)
  • 권영주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심계내과학교실) ;
  • 조우근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심계내과학교실) ;
  • 한창호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심계내과학교실)
  • Published : 2012.12.30

Abstract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investigate herbal-drug-associated adverse drug reactions (herbal ADRs) reports submitted by a single oriental hospital and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causative agents, clinical manifestations, severity and types of herbal medicines which caused herbal ADRs. Methods : This study proceeded with IRB approval. The data on herbal ADR were collected prospectively from January 2008 to February 2012 by EMR of Dongguk University Ilsan Oriental Hospital.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Uppsala Monitoring Center (UMC) criteria was used to determinate causality for each herbal ADR. WHO-Adverse Reaction Terminology (WHO-ART) System Organ Class (SOC) code and WHO severity category were also used in this study. Results : A total of twenty eight cases were reported. Twenty two cases were assessed to have over possible relations with herbal medication. The gender ratio of these cases were 64.6 percent female and 36.4 percent male, demonstrating no statistical significance. Patients aged over 60 were 59.1%. Gastro-intestinal system was reported to be the most frequently affected organ (38.8%), and followed by psychiatric system (22.4%), and integumentary system (22.4%). The most common clinical symptom was headache (12.2%), followed by diarrhea (10.2%), and pruritus (10.2%). The severity of most cases was assessed to be mild (89.8%). The percentage of moderate ones was 10.2%, and there were no severe cases. Conclusions : Progressive study and further analysis on herbal ADRs are warranted for safety in the clinical use of herbal medicines.

Keywords

References

  1. 이선동, 박영철. 한약 독성학 I. 파주: 한국학술 정보(주); 2012, p. 42-3.
  2. 권기태. 독성 한약의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학위논문(박사).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2009, p. 2-3, 12-20, 22-4.
  3. 한국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의약품안전고지 제 2009-208호, 의약품등 안전성 정보관리. 2009.12.22. 제 2조 5항.
  4. 유기연. 한국식품의약품안전청 약물유해반응 보고 자료 분석. 학위논문(석사). 숙명여자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10, p. 1-5.
  5. 홍은진. 의약품 이상반응 정보관리와 보고체계의 연구. 학위논문(석사). 숙명여자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06, p. 1-4, 80.
  6. 박실비아, 채수미. 외국의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제도 현황과 국내 실시 방안. 한국임상약학회지 2008;18(1):18-27.
  7. 이정헌. 의약품 이상반응 모니터링 시스템 시범기관 실시후의 반응에 관한 연구. 학위논문(석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2, p. 1-2, 46-7.
  8. 임경화, 신현택, 손현순, 전효정, 이주현, 이유정, 등. 의약품 부작용에 관한 국제 분류체계인 WHO -ART와 MedDRA의 비교분석. 한국임상약학회지 2007;17(1):46-51.
  9. 안희정, 김선하, 한서경, 박병주. 약물 부작용 사례 코딩용어체계: MedDRA를 중심으로. 대한임상약리학회지 2005;13(1):15-23.
  10. 손명균, 이용원, 정한영, 이승우, 이광훈, 김승업, 등. 약물유해반응의 인과관계 판정을 위한 Naranjo와 WHO-UMC 지표의 비교. 대한내과학회지 2008;74(2):181-7.
  11. Hinrichsen VL, Kruskal B, O'Brien MA, Lieu TA, Platt R. Using electronic medical records to enhance detection and reporting of vaccine adverse events. J Am Med Inform Assoc 2007; 14(6):731-5. https://doi.org/10.1197/jamia.M2232
  12. 김민강, 강혜련, 김주희, 주영수, 박성훈, 황용일, 등. 단일기관에서 전산을 통해 수집된 자발적 약물유해반응 보고사례들의 분석. 대한내과학회지 2009;77(5):601-9.
  13. 윤덕용. 전자의무기록을 이용한 약물 감시 연구. 학위논문(석사).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0, p. 1-6.
  14. 박승화, 최수임, 이은경. 약물이상반응으로 입원한 환자에 대한 분석. 병원약사학회지 2001; 18(2):265-9.
  15. 권희. 지역약물감시센터 보고사례의 간독성 약물 부작용 연구.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2009, p. 1-5, 30.
  16. 이진이, 박세영, 허지행, 박미혜, 하지혜, 이의경. 의약품 부작용의 심각도 조사 비교분석. 한국임상약학회지 2011;21(3):237-42.
  17. Montastruc JL, Lapeyre-Mestre M, Bagheri H, Fooladi A. Gender differences in adverse drug reactions: analysis of spontaneous reports to a Regional Pharmacovigilance Centre in France. Fundam Clin Pharmacol 2002;16(5):343-6. https://doi.org/10.1046/j.1472-8206.2002.00100.x
  18. Li C, Xia J, Deng J, Jiang J. A comparison of measures of disproportionality for signal detection on adverse drug reaction spontaneous reporting database of Guangdong province in China. Pharmacoepidemiol Drug Saf 2008;17(6):593-600. https://doi.org/10.1002/pds.1601
  19. Rodenburg EM, Stricker BH, Visser LE. Sexrelated differences in hospital admissions attributed to adverse drug reactions in the Netherlands. Br J Clin Pharmacol 2011;71(1):95-104. https://doi.org/10.1111/j.1365-2125.2010.03811.x
  20. Zopf Y, Rabe C, Neubert A, Gassmann KG, Rascher W, Hahn EG, et al. Women encounter ADRs more often than do men. Eur J Clin Pharmacol 2008;64(10):999-1004. https://doi.org/10.1007/s00228-008-0494-6
  21. Zopf Y, Rabe C, Neubert A, Janson C, Brune K, Hahn EG et al. Gender-based differences in drug prescription: relation to adverse drug reactions. Pharmacology 2009;84(6):333-9. https://doi.org/10.1159/000248311
  22. Puche CE, Luna DC. Adverse drug reactions in patients visiting a general hospital: a meta-analysis of results. An Med Interna. 2007;24(12):574-8.
  23. Falip M, Artazcoz L, Peña P, Pérez SA, Martín MM, Codina M. Classic antiepileptic and new generation antiepileptic drugs: gender differences in effectiveness and adverse drug reactions. Neurologia 2005;20(2):71-6.
  24. Lazarou J, Pomeranz BH, Corey PN. Incidence of adverse drug reactions in hospitalized patients: a meta-analysis of prospective studies. JAMA 1998;279(15):1200-5. https://doi.org/10.1001/jama.279.15.1200
  25. 강인철. 약물유해반응 보고 활성화 교육에 따른 약사들의 인식도 변화정도 평가.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11, p. 16-22.
  26. 최윤희, 손의동. 3차 병원에서 보고된 의약품 부작용 현황 조사와 약물 부작용 관리를 위한 약사의 인식도 조사. 한국임상약학회지 2003; 13(2):72-81.
  27. 최남경, 권혁부, 이애영, 박병주. 자발적 부작용 신고제도 인식도 및 약물유해사례 경험에 대한 설문조사 : 고양시 의사 및 약사를 대상으로. 대한약물역학위해관리학회지 2008;1:68-74.
  28. 설재균, 김지양, 김해중, 신용진, 전지영, 고석재, 등. 한약 투여 후 발생한 특이반응의 급성 약물유인성 간손상 치험 1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9;spr(1):176-81.
  29. 장인수, 양창섭, 이선동, 한창호. 최근 독성 문제가 제기된 한약에 대한 오해와 실제.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7;spr(1):67-74.
  30. 윤영주, 신병철, 이명수, 조성일, 신우진, 박히준, 등. 한약 복용이 간기능에 미치는 영향 : 국내 문헌에 대한 체계적 고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9;30(1):153-72.
  31. Barnes J. Pharmacovigilance of herbal medicines : a UK perspective. Drug Saf 2003;26(12) :829-51. https://doi.org/10.2165/00002018-200326120-00001
  32. Firenzuoli F, Gori L, Menniti-Ippolito F. Symposium on pharmacovigilance of herbal medicines, London, March 28, 2006. eCAM 2008;5(1):117-8.
  33. 정종미, 손창규. 한약물의 유해반응에 대한 고찰: 간손상을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논문집 2008;17:53-7.
  34. 윤영주. 한약이 간손상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가 : 한약 관련 간손상에 관한 국내 연구의 체계적 고찰. 학위논문(박사). 경희대학교 동서의 학대학원; 2009, p. 1-7, 15-9, 36-64.
  35. 김동준. 독성 간손상의 평가. 대한소화기학회지 2009;53(1):5-14.
  36. 강만호, 설무창, 문자영, 이상호. 6개월간 동일 한약을 복용한 외래환자 117례의 간기능 분석.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7;fal(1):106-12.
  37. 김태식, 정한수, 정희. 증례를 통해 본 한약투여가 간질환 환자의 간손상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0;21(2):349-54.
  38. 이영준. 간, 신장수치 이상 환자에 부자 등이 포함된 처방투여가 그 수치에 미치는 영향. 학위논문(석사).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원; 2012, p. 1, 7-21.
  39. World Health Organization, Media centre, Fact sheet[internet]. [2012.11.12.검색]. Avaliable from: 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293/en/.
  40. 김성진. 지역사회 주민의 한약복용에 대한 의식 조사 연구. 학위논문(석사). 경산대학교 보건대학원; 1999, p. 46.
  41. 權奇泰. 독성 한약의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학위논문(박사).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2009, p. 1-3, 14-20.
  42. 전국한의과대학 신계내과학교실. 신계내과학. 서울: 군자출판사; 2011, p. 336-8.
  43. 김철홍, 성보경, 정경진, 정해영. 노화와 노인성 질환.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4;aut(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