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actors Related to Depression of the Elderly Patients in Geriatric hospital

요양병원 입원 노인의 우울 관련요인

  • Received : 2012.11.02
  • Accepted : 2012.12.22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Objective : The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factors related to depression of the elderly patients in geriatric hospital. Method : The subjects consisted of 198 old people who admitted in three geriatric hospital located in Daegu City.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terview with questionnaire from July 16 to August 16, 2012. Results :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hich significantly affected depression was perceived health status(F=18.158, p=.000). There was a slight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ctivity daily living & depression(r=-.378,p=.000) and strong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life satisfaction & depression(r=-.573, p=.000). Among the factors related to depression of the subjects, life satisfaction had highest expanatory power of 32.8%. Conclusion : The finding of this study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constructing an intervention program and care for the elderly patients in geriatric hospital with depression.

Keywords

References

  1. 고령자 통계. 서울 통계청. http://kosis.nso.go.kr 2008.
  2.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건강행태 및 만성질환 통계 자료집. 질병관리본부 만성병조사팀. 2006.
  3. 통계청 고령자통계. 장래 인구추계. 2010.
  4. 노인요양병원협회. 대한노인요양병원협회보. 2009 ; 10(1).
  5. 염현이. 노인 만성질환자의 우울, 스트레스와 약물처방치료 순응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6. 유형준 외. 노인병학. 대한노인병학회. 2005.
  7. Cummings SM, Neff JA, Husaini, BA. Functional impairment as a predictor of depressive symptomatology. The role of race, religiosity, and social support, Health & Social Work. 2003 ; 28 : 23-30. https://doi.org/10.1093/hsw/28.1.23
  8. 노국희. 일부 지역사회 노인들의 우울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1998 ; 9 : 104-116.
  9. 송양순. 재가노인의 우울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목원 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0. 송민선, 김남초, 이동한. 우울노인의 일상생 활활동과 우울영향요인. 노인간호학회지. 2008 ; 10(1) : 20-26.
  11. Ang YH, Au SYL, Yap LKP, Ee CH. Functional decline of the elderly in a nursing home. Singapore Medical Jounal. 2006 ; 47(3) : 219-224.
  12. 이재신, 전병진. 노인요양시설 이용자의 특성 에 관한 연구: 사전조사.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2007 ; 1 : 7-15.
  13. 김동배, 이효정, 전홍진, 채수진, 조맹제 .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의 우울증상 유무 에 따른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인지기능비교.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8 ; 47(2) : 183-189.
  14.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요양병원형 건강보험수가 시범사업 및 평가체계. 2004.
  15. Christophe JB, Vincent w, Bernard B. Symptoms as a predictor of 6 month in elderly medical patients. Archives. 2001 ; 2609-2615
  16. Yesavage JA, Brink TT, Rose I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l geriatric depression screeing scale. Journal of the Psychiatric Research. 1982 ; 17(1) : 37-49. https://doi.org/10.1016/0022-3956(82)90033-4
  17. 기백석. 한국판 노인 우울 척도 단축형의 표준화 예비연구.1996 ; 35(2).
  18. 송미순. 노인의 생활기능상태 예측모형 구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
  19. 최성재. 노인의 생활만족도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문화연구원. 1986.
  20. 강지선. 노년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21. 이예선. 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노인의 친숙함과 우울, 인지력, 일상생활 동작능력간의 관계. 한양대 임상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2. 윤가빈. 요양병원 입원 노인의 우울 관련 요인. 고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3. 이혜영. 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노인의 친숙함과 우울, 인지력, 일상생활 동작능력간의 관계. 연세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4. 이삼순. 거제시 일부 농어촌지역 노인의 우울정도와 관련요인. 거제대학 간호과. 2005.
  25. 김지애. 노인요양시설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불안, 우울에 관한 연구 .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 연구소. 2008.
  26. Bondevik M, Skogstad A. The Oldest Old, ADL, Social Network and Loneliness. Western Journal of Nusing Research. 1998 ; 20(3) : 325-343. https://doi.org/10.1177/019394599802000305
  27. 서희숙, 한영현. 재가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우울 및 수면이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 노년학연구. 2006 ; 15 : 159-170.
  28. 송후승. 노인복지시설 거주 노인의 우울 영향 요인. 고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