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atching and Attribute Conflating Method for Linking the Digital Map with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 Focused on the Road Centerline Layer -

수치지도의 도로명주소 체계 연계를 위한 매칭 및 속성 융합 방안 - 도로중심선 레이어를 중심으로 -

  • 방윤식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
  • 가칠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
  • 유기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 Received : 2012.08.10
  • Accepted : 2012.08.31
  • Published : 2012.08.31

Abstract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has begun to be applied and widely used since 2011. However, the Digital Map, or the national representative basic map, has no reference to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It causes some difficulties to use the Digital Map under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In this paper, we suggest a method for generating the expanded Digital Map by adding information about Road Name Address system into the objects of the Digital Map. First, object matching pairs between the road section layer from the Road Name Address Map and the road centerline layer from the Digital Map are found. Then attributes to be copied from the Road Name Address map to the Digital Map are extracted by comparing their attribute tables. Finally the extracted attributes are copied from the Road Name Address Map to the Digital Map. The expanded road centerline layer of the Digital Map then has attributes about road name according to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so that the georeferencing of the Digital Map according to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becomes possible.

2011년부터 본격적으로 도로명주소 체계가 시행 및 활용되고 있으나, 가장 대표적인 국가기본도인 수치지도는 현재 도로명주소 체계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지 않고 있는 관계로 도로명주소 체계하에서의 활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수치지도 객체의 속성정보에 도로명주소 관련 정보를 추가하여 확장형 수치지도를 생성할 수 있는 방법론을 연구하였다. 먼저 도로명주소 지도의 도로구간 레이어와 수치지도 도로중심선 레이어와의 중첩 분석을 통하여 두 레이어의 객체간 매칭 관계를 도출였으며, 두 레이어의 속성항목 분석을 통하여 도로명주소 지도에서 수치지도로 추가할 속성항목을 추출하였다. 도출된 결과를 이용하여 도로명주소 지도의 도로명주소 관련 속성정보들을 수치지도 도로중심선 데이터로 전달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속성 확장된 수치지도 도로중심선 레이어는 도로명주소 체계에 따른 도로명 정보를 속성으로 갖게 되며, 이에 따라 수치지도 활용시에 도로명주소 체계에 따른 위치참조가 가능하게 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2006), 수치지도작성작업규칙, pp. 1-4.
  2.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2010), 수치지도 2.0 지형지물 속성 목록, p. 2.
  3. 김정옥, 김지영, 배영은, 유기윤 (2008), 건축물대장을 이용한 수치지도 속성정보의 효율적 갱신방안 : 새주소사업의 건물번호 이용을 중심으로,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26권, 제 3호, pp. 275-284.
  4. 박경열 등 (2002), 제2차 기본지리정보 구축 시범연구, 건설교통부 11-1500148-000042-01, 공간정보기술(주), pp. 부록3-부록83.
  5. 방윤식, 유기윤 (2010), Line Hausdorff 거리를 이용한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의 링크 매칭 알고리즘,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pp. 83-84.
  6. 새주소안내시스템 (2012), 도로명주소란, 행정안전부, http://www.juso.go.kr/street/StreetAbout.htm.
  7. 양성철, 최재완, 유기윤 (2009), 준공도면에서 추출된 CAD 객체를 이용한 수치지형도의 갱신 시스템 개발,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제 17권, 제3호, pp. 13-21.
  8. 유기윤 등 (2011), 공간정보 비용편익(B/C) 분석 연구, 국토해양부 11-1611265-000059-01, 국토지리정보원, pp. 119-123.
  9. 행정안전부 (2011), 도로명주소 전자지도 컬럼 정의서, pp. 10-12.
  10. Cobb, M., Chung, M. J., Miller, V. and Foley, H. (1998), A rulebased approach for the conflation of attributed vector data, GeoInformatica, Springer, Vol. 2, No. 1, pp. 7-35. https://doi.org/10.1023/A:1009788905049
  11. INSPIRE (2012), About INSPIRE, Infrastructure for Spatial Information in the European Community, http://inspire.jrc.ec.europa.eu.
  12. NGA (2012), NGA, National Geospatial-Intelligence Agency, https://www1.nga.mil.
  13. Walter, V. and Fritsch, D. (1999), Matching spatial data sets: a statistical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for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Taylor & Francis, Vol. 13, No. 5, 445-473. https://doi.org/10.1080/136588199241157
  14. Zhang, M. and Meng, L. (2007), An iterative road-matching approach for the integration of postal data, Computers, Environment and Urban Systems, Elsevier, Vol. 31, No. 5, pp. 597-615. https://doi.org/10.1016/j.compenvurbsys.2007.08.008

Cited by

  1. Line Matching Method for Linking Wayfinding Process with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vol.24, pp.4, 2016, https://doi.org/10.7319/kogsis.2016.24.4.115
  2. Standardization of Underground Shopping Center Address System for the Three-Dimensional GIS-based Emergency Management vol.22, pp.4, 2014, https://doi.org/10.7319/kogsis.2014.22.4.063
  3. Developing Data Fusion Method for Indoor Space Modeling based on IndoorGML Core Module vol.22, pp.2, 2012, https://doi.org/10.12672/ksis.2014.22.2.031
  4. 수치지도와 도로명주소지도의 통합 활용을 위한 건물 매칭 분석과 신규 건물 갱신 vol.32, pp.5, 2014, https://doi.org/10.7848/ksgpc.2014.32.5.459
  5. 3차원 실내공간 모델링 원시자료의 활용도 평가 vol.22, pp.6, 2014, https://doi.org/10.12672/ksis.2014.22.6.033
  6. 계층적 매칭 기법을 이용한 수치지도 건물 폴리곤 데이터의 자동 정합에 관한 연구 vol.33, pp.1, 2015, https://doi.org/10.7848/ksgpc.2015.33.1.45
  7. Comparison between the Road-based and the Parcel-based Address Coordinates for Urban Air Pollution Estimation - A Case Study of Yeongdeungpo-gu, Seoul, Korea - vol.46, pp.2, 2016, https://doi.org/10.22640/lxsiri.2016.46.2.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