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zing the Applicability of Greenhouse Detection Using Image Classification

영상분류에 의한 하우스재배지 탐지 활용성 분석

  • Received : 2012.08.10
  • Accepted : 2012.08.25
  • Published : 2012.08.31

Abstract

Jeju where concentrates on agriculture and tourism, conversion of outdoor culture into cultivation under structure happens actively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profit so continuous examination on house cultivation area is very important for this region.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effective image classification method using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 to detect the greenhouse. We carried out classification of greenhouse using the supervised classification and rule-based classification method about Formosat-2 images. Connecting result of two classification try to find accuracy improvement for greenhouse detection. Results about each classification method were calculated the accuracy by comparing with the result of visual detection. As a result, mahalanobis distance among the supervised methods was resulted in the highest detection. Also, it could be checked that detection accuracy was improved by tying with result of supervised method and result of rule-based classification. Therefore, it was expected that effective detection of greenhouse would be feasible if henceforward further study is performed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supervised classification and rule-based classification.

농업과 관광이 주요 산업인 제주지역은 소득 증대를 위해 노지재배에서 시설재배로의 전환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므로 하우스재배지에 대한 지속적인 현황 파악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하우스재배지 탐지를 위한 효과적인 영상분류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Formosat-2 위성영상을 대상으로 감독분류와 규칙기반분류 방법을 적용하여 하우스재배지를 분류하였으며, 두 가지 결과를 연계하여 하우스재배지 탐지를 위한 정확도 향상 방안을 모색하였다. 각 분류 방법별 결과는 육안 탐지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정확도를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감독분류 방법 중 마하라노비스 거리법이 가장 높은 탐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감독분류 결과와 규칙기반분류 결과의 연계 시 탐지 정확도가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향후 감독분류 결과와 규칙기반분류 결과의 연계 과정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하우스재배지의 효율적인 탐지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윤성탁, 김선오, 임상규 (2001), Landsat TM 영상자료를 이용한 평택지역의 토지피복 현황 및 분류정확도 평가, 한국농림기상학회지, 한국농림기상학회, 제3권, 제3호, pp. 163-170.
  2. 정인균, 박근애, 김경열, 김성준 (2001), Landsat TM 영상을 이용한 논지역 내 비닐하우스 면적 추정, 한국관개배수, 한국관개배수위원회, 제8권, 제2호, pp. 45-54.
  3. 김은석 (2005),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토지피복 분류정확도 향상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4. 이종열, 김병선 (2008), 공간패턴을 이용한 자동 비닐하우스 추출방법, 대한원격탐사학회지, 대한원격탐사학회, Vol. 24, No. 2, pp. 117-124. https://doi.org/10.7780/kjrs.2008.24.2.117
  5. Ho-Wen Chen, Ni-Bin Chang, Ruey-Fang Yu, Yi-Wen Huang (2009), Urban land use and land cover classification using the neural-fuzzy inference approach with Formosat-2 data, Journal of applied remote sensing, Vol. 3, No. 1, 033558. https://doi.org/10.1117/1.3265995
  6. 공간정보 중앙교육센터, http://ngis.go.kr:9080/egis /inde.j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