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ccuracy Analysis of Cadastral Control Points Surveying using VRS case by Jinju city parts

가상기지국을 활용한 지적기준점 관측 정확도 분석 -진주시 일원을 중심으로-

  • 최현 (경남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김규철 (경남도청 토지정보과)
  • Received : 2012.08.13
  • Accepted : 2012.08.31
  • Published : 2012.08.31

Abstract

After development of GPS in the 1960's, the United States released SA(Selective Availability) in 2000 and then the GPS has become commercialized to the present. The result of repeatedly developed GPS observation, the GPS real-time observation methods is RTK which basically always needs two base stations and has a fault of the accuracy decreasing as the distance between a mobile station and a receiver is increasing. Because of these weakness, VRS method has come out. VRS(Virtual Reference Station) generates the imaginary point near mobile station from several observatory datum of GPS, sets the accurate location of mobile station, thus shows high reliability and mobility. Now, the cadastral datum point is used with azimuth, repetition, and graphical traversing method for traverse network. The result of measurement indicates many problems because of different accomplishment interval given point, restrictions on the length of the conductor, many errors on the observations. So, this study did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adastral datum points through VRS method by Continuously Operating Reference Station. Through the above comparative analysis, The comparative result between surveyed result with repetition method through total station observed Cadastral Control Points and surveyed result with VRS-RTK has shown that average error of x-axis is -0.08m, average error of y-axis, +0.07m and average distance error is +0.11m.

1960년대 GPS가 개발되어 2000년도 미국에서 SA(Selective Availability)를 해제함에 따라 본격적인 상용화가 시작되며 현재에 이르렀다. 개발을 거듭해온 GPS의 관측 방식 중 실시간 이동측량방식은 항상 2대의 수신기가 필요하며 기준국과 이동국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개선방안으로 가상기지국 방식이 도입되었다. 가상기지국은 여러 개의 GPS상의 관측소 자료로부터 이동국 인근에 가상점을 생성시켜 이동국의 정밀한 위치를 결정하는 방식이므로 신뢰성과 이동성이 높다. 또한 현재의 지적기준점은 방위각법, 배각법, 다각망도선법 등의 방법으로 관측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측량성과가 서로 다른 기지점의 성과차, 도선의 길이에 대한 제약, 관측시의 여러 오차들로 인하여 문제점들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시관측소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적기준점에 대하여 가상기지국 방식을 통한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였다. 관측결과, 지적기준점을 관측한 토털스테이션을 사용하여 배각법으로 관측한 성과와 VRS-RTK로 관측한 성과를 비교한 결과 X축 평균오차 -0.08m, Y축 평균오차 +0.07m, 평균거리오차 0.11m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감래, 강대룡, 송근필(2009), VRS를 활용한 Network RTK의 지적측량 활용방안, 한국지적정보학회지, 한국지적정보학회, 제11권, 제1호, pp. 89-99.
  2. 박민호, 김병주 (2007), RTK-GPS측량기법에 의한 도근점 좌표결정 방법, 한국지적정보학회지, 한국지적정보학회, 제 9권 1호, pp. 45-56.
  3. 박춘수, 홍성언, 박종오, 정택승, 성백영 (2010), 지적좌표계의 세계좌표 변환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제18권, 제3호, pp. 105-114.
  4. 신동윤, 김진수 (2008), VRS RTK GPS를 이용한 지적기준점의 정확도 평가, 한국지적학회지, 한국지적학회, 제24권, 제2호, 12(2), pp. 127-134.
  5. 장상규, 김진수, 정공운 (2009), VRS GPS를 이용한 필계점의 정확도 평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제17권, 제1호, pp. 37-42.
  6. 최우석, 유환희 (2011), VRS-RTK GPS측량을이용한지적도근점정확도분석-거제시사례를중심으로-,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제19권, 제4호, pp. 65-70.
  7. 황병달, 김욱남 (2010), Network RTK를 이용한 3차원 지적 기준점의 활용방안, 한국지적정보학회지, 한국지적정보학회, 제12권, 제2호, pp. 101-109.
  8. Gunther RETSCHER (2002), Accuracy Performance of Virtual Reference Station(VRS) Networks, Journal of Global Positioning Systems, Vol. 1, No. 1, pp. 40-47. https://doi.org/10.5081/jgps.1.1.40
  9. Trimble (2001), Introducing the Concept of Virtual Reference Stations into Real-Time Positioning, Technical information, 2001.

Cited by

  1. Evaluation of Network-RTK Survey Accuracy for Applying to Ground Control Points Survey vol.22, pp.4, 2014, https://doi.org/10.7319/kogsis.2014.22.4.127
  2. Analysis on the Accuracy of a Network Real Time Kinematic GPS Using the Steel Tape and Triangulation vol.446-447, pp.1662-7482, 2013, https://doi.org/10.4028/www.scientific.net/AMM.446-447.1601
  3. VRS-GPS 자동측위시스템을 이용한 해안매립지 측량 vol.14, pp.10, 2013, https://doi.org/10.5762/kais.2013.14.10.5215
  4. FKP-RTK 측위의 시공측량 적용성 실험 vol.31, pp.6, 2012, https://doi.org/10.7848/ksgpc.2013.31.6-1.463
  5. Development of Positioning System Based on Auto VRS-GPS Surveying vol.32, pp.3, 2012, https://doi.org/10.7848/ksgpc.2014.32.3.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