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olicy for Establishment of Green Infrastructure

녹색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정책

  • Park, Jae-Chul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 Yang, Hong-M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Jang, Byoung-Kwa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aegu University)
  • Received : 2012.10.19
  • Accepted : 2012.09.16
  • Published : 2012.10.31

Abstract

The Green Infrastructure Framework refers to an interconnected network formed by greenways that links gardens, parks, green spaces, streams, wetlands, agricultural lands, and green belts. Green infrastructure supports diverse functions to environment, provides various benefits to people, and helps in the community's health and viability. It can store stormwater runoff and abate its non-point source pollutants. Due to its advantages and profits, advanced countries in environment policies have adopted green infrastructure in planning and implementing urban and regional development. The Korean government and municipalities have focused upon grey infrastructure investment in the past, which causes occurrence of natural disasters such as draught, flood, and landslides, degradation of water and air quality, decline of biodiversity, and even inhibition of economic activities. In order to alleviate these problems, it is requested to formulate and implement policies for green infrastructure at the national government level. USA and Korean situation of green infrastructure were investigated; forty components of green infrastructure were drawn. Nine policies utilized in the USA cases were identified, which are applicable to Korea. Among them, five policies can be implemented in public sector and four in private one. The green infrastructure law needed in Korea was suggested. The amendments of laws regarding green infrastructure and alternatives expending it were proposed.

녹색 인프라 구축이란 정원, 공원, 녹지, 하천, 습지, 농경지, 그린벨트 등을 녹색길로 연결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녹색 인프라는 인간은 물론 환경에도 유익한 기능과 편익을 제공하고, 건강하고 활기찬 지역사회를 만드는데 기여한다. 수질관리 측면에서도 녹색 인프라는 강우유출수를 저류하고, 비점오염물을 저감시키는 장점이 있다. 녹색 인프라에 대한 이런 장점과 편익이 알려지면서 환경 선진국에서는 도시 및 지역 개발에 녹색 인프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회색 인프라 위주의 국가 건설정책으로 가뭄, 홍수, 산사태 등 자연재해 발생, 수질과 대기 질 악화, 생물다양성의 저하, 지역경제 활성화 저해 등 다양한 환경적 경제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에서 녹색 인프라 구축에 대한 정책의 수립과 수행이 필요하다. 녹색 인프라 구축에 관한 미국의 사례와 국내의 상황의 분석을 통하여, 녹색 인프라를 구성하는 40개의 항목을 추출하였고, 국내에 적용 가능한 녹색 인프라 구축 정책수단으로 공공부문 5개와 민간부문 4개를 제시하였다. 녹색 인프라 구축을 위한 법안과 관련법의 개정안을 제안하였고, 녹색인프라를 확충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경호(2012) 녹색 인프라 구축 보고서 자료. 한국조경학회(인쇄중).
  2. 김학용 대표발의(2012) '도시공원 및녹지 등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 법률안.
  3. 나정화(2012) 녹색 인프라 구축 보고서 자료. 한국조경학회(인쇄중).
  4. 변재상(2012) 녹색기반법 제정의 배경과 주요 내용. 한국조경학회(인쇄중).
  5. 서주환(2012) 녹색 인프라 구축 보고서 자료. 한국조경학회(인쇄중).
  6. 성현찬, 서정영, 이용구, 강대인, 황소영, 이양주(2009) 이용자 중심의 도시공원 조성방안. KYDI 위탁연구.
  7. 안명준(2012) 녹색 인프라 구축 보고서 자료. 한국조경학회(인쇄중).
  8. 윤은주(2011) 주민참여를 통한 공원조성 활성화 방안. 한국조경학회 조경문화제 심포지움 발표자료. pp. 1-28.
  9. 이연숙(2010) 사회통합과 녹색성장의 구심점으로서 한국 아파트혁신방안. 사회통합 친환경 정책 심포지움 발표자료. pp. 32-41.
  10. 장병관(2011) 녹색 인프라 구축의 필요성과 구축 방법. 한국조경학회 조경문화제 심포지움 발표자료.
  11. 장병관(2012) 녹색 인프라 구축 보고서 자료. 한국조경학회(인쇄중).
  12. 최영국 (1991) 우리나라 도시공원의 실태와 당면과제. 국토정보 9(5) : 2-84.
  13. 한국조경학회(2012) 녹색 인프라 구축 방안(인쇄중).
  14. Benedict, M. A. and E. T. McMahon(2006) Green Infrastructure: Linking Landscape and Communities. Washington. Islandpress. pp. 1-22.
  15. Clark, P. ed.(2006) The European City and Green Space, Burlington. Ashgate Publishing Company. pp. 159-174.
  16. Erickson, D.(2006) MetroGreen: Connecting Open Space in North American Cities. Washington. Islandpress. pp. 3-44.
  17. Wolf, K. L.(2008) Metro Nature: Its Function, Benefits, and Values. In Birch, E. L. and S. M. Wachter eds., Growing Greener Cities.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pp. 294-315.
  18. http://www.epa.gov/owow/NPS/lid/gi_case_studies_2010.pdf
  19. http://www.urbanparks2012.org/
  20. www.americanrivers.org
  21. www.greeninfrastructure.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