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stimation of Appropriate Infiltration Rate and the Effects of the Flowerbed Type Infiltration System

화단형 침투시설의 단위설계침투량 산정 및 효과분석

  • Han, Young-Hae (Eco-Arche Institute of Ecological Urban Design and Architecture) ;
  • Lee, Tae-Goo (Dept. of Architecture Engineering in Semyung University)
  • 한영해 (에코아르케 생태도시건축연구소) ;
  • 이태구 (세명대학교 건축공학과)
  • Received : 2012.08.28
  • Accepted : 2012.09.21
  • Published : 2012.10.31

Abstract

This study developed a flowerbed type infiltration system that could control the amount of runoff discharge under a certain level estimated its proper design infiltration rate, and analyzed the effects of its implementation. Analyzing the performance of infiltration system is the one of the essential processes that should be under review to predict its effects after implementation when a rainwater infiltration system is included in a district-based plan. To estimate the unit design infiltration rate of this system, the runoff decrease effect was analyzed by varying the unit infiltration rate of the system applied to the parking lot adjacent to the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laboratory building by using a water balance analysis program. After varying the unit design infiltration to $0.1{\sim}3m^3/m^2.day$ to analyze the variation in the rate of runoff, 80% of the runoff was infiltrated at $1.0m^3/m^2.day$, and the unit infiltration design rate at the time was 0.0416(m3/m2.hr). It was also found that the unit design infiltration rate obtained from a field infiltration test of the developed system was about $0.045m^3/hr$. Based on this study, it was possible that infiltration rate is estimated to consider the economic scale and environmental effect. It is significant to apply the spatial plan of rainwater infiltration system as green infrastructure.

본 연구에서는 우수 유출량을 일정수준 이하로 제어할 수 있는 화단형 침투시설을 개발하여 이의 적정 설계침투량을 산정하고 적용효과를 분석하였다. 침투시설의 설계침투량을 산정하고 성능을 분석하는 것은 지구단위계획과 같은 공간계획에 구체적으로 빗물침투시설을 계획할 경우에 적용 후 효과를 예측하는데 있어 반드시 검토되어야 할 사항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실험동 옆 주차장을 대상으로 본 시설의 단위설계침투량에 변화를 주어 물수지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 유출량 감소효과를 분석하였다. 침투시설의 설계침투량을 $0.1{\sim}3m^3/m^2.day$로 각각 변화를 주어 유출율 변화를 분석한 결과, $1.0m^3/m^2.day$에서 유출량 80%를 침투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때의 단위설계침투량이 0.0416($m^3/m^2.hr$)이었다. 또한 개발한 시스템을 현장침투실험한 결과, 단위설계침투량이 약 $0.045m^3/m^2.hr$으로 나타났다. 이 값은 시뮬레이션한 단위설계침투량과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경제적인 규모와 환경적 효과를 최대한 고려한 침투량 산정이 가능하였으며, 또한 도시에서의 녹색인프라로서 빗물침투시설을 공간계획에 적용할 때 고려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는 데 의의를 갖는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주석, 한무영, 송호면 옮김, (사)일본우수저류침투기술협회 지음(2006) 일본의 빗물침투시설 기술-조사․계획편. 빗물학회. 한국빗물모으기운동 본부.
  2.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2012) 기후변화 대응형 도시 빗물관리시스템 연구보고서. 국토해양부․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3. 신상영, 이석민, 박민규(2011) 기상이변에 대응한 서울의 수해방지전략. SDI정책리포트 제96호.
  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10) 도시유역 물순환 해석 모형(ver.5) 사용자 매뉴얼.
  5. 한영해(2005) 도시 주거지역에서의 분산식 빗물관리 계획모형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Benedict, M. A. and E. T. McMahon(2000) Green Infrastructure: Smart Conservation for the 21st Century. Spprawl Watch Clearinghouse Monograph Series.